-
-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
다니엘 글라타우어 지음, 김라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4월
평점 :
모처럼 연애소설을 읽었다. 참 특이했던 건, 이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이메일로 진행되며 어떠한 설명도 없이 시종 구어체로 씌여졌다는 것이다. 과연 이런 소설이 가능할까 싶은데, 가능했다.
또한 이 작품은 '사랑의 일생' 즉 사랑은 어떻게 생성되며, 어떤 과정을 거치며, 시들어 가고, 소멸되어 가는가를 (미흡하나마) 보여주고 있기도 한다. 나 개인적으론 사춘기 시절, 학교에서 그렇게 보지 말라던 하이틴 로맨스를 보며 가슴 콩닥거렸던 그 기억이 새롭다고나 할까?
어느 작가는 말했다. 사랑은 '관능'이라고. 그래서 일까? 책속, 아니 이메일에서 보여주는 레오와 에미의 사랑의 밀어는 정말 관능적이다. 그들이 주고 받는 관능적 언어의 향연을 보고 있노라면, 사춘기 때 읽었던 D.H 로렌스의 '채털리 부인의 사랑'을 읽고 후끈 달아올랐던 기억 또한 새롭다. 물론 이 책은 '채털리 부인의 사랑'처럼 실제로 후끈할 정도는 아니다. 그냥 '이렇게 적나라 하다니...?' 정도가 될 것인데, 그건 아무래도 내가 사춘기의 나이에서 너무 많이 떨어져 나온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싶기도 하다. 바꿔말하면, 이 책을 안고 사춘기 시절로 돌아가 읽으면 '채털리 부인의 사랑'을 읽었을 때만큼이나 감흥을 일으켰을지도 모를 일이라는 것이다.
이메일이란 절대적 도구를 통해서만이 소통할 수 있는 사랑. 과연 사랑이라 말할 수 있을까? 있을 수 있을까?
이 책은 한마디로 소설이란 관점에서 보자면, 상당히 영리하게 씌여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랑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일. 사랑할 때 할 수 있는 말. 게다가 상상력의 극대화까지 보여줄 수 있는 건 다 보여준다. 그리고 서로 꼭 만나지 않더라도 사랑은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다. 더구나 독자로 하여금 레오와 에미가 만날 것인가, 못 만날 것인가? 능수능란하게 쥐락펴락한다. 물론 끝이 좀 깨긴 하지만.(그것은 또한 2부를 예약하기도 한다)
솔직히 이메일은 상용은 하지만 좀 특수하기도 하다. 이메일이 있어서 우표 붙이고, 우체통 앞까지 가야하는 번거로움은 해결 됐지만, 그렇다고 정말 이메일이 편지의 원래의 목적을 대신해 줬는가? 하는 것에 나는 좀 회의적이다. 글쎄, 이메일이 쓰이기 시작한 때는 내가 편지를 잘 안 쓰던 때여서인지도 모르겠다. 특별히 사무적인 용도가 아니면 사람들은 고전적 의미에서의 '편지' 또는 '소통'을 위한 이메일은 잘 사용하지 않는 것 같다. 오히려 소통을 위한 도구는 이메일 보다 '블로그'가 아닐까? 나는 이것을 통해 오프 라인에서 알게된 사람 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을 알게되었고, 그들과 소통을 하며 그것이 즐겁다.
언젠가 블로그가 처음 생겼을 때 어느 블로거가 그런 글을 올린 적이 있다. 이렇게 블로그를 통해 만나는 블로거들과의 만남도 과연 '만남'이라고 할 수 있는가? '만남'의 고전적 가치관과 잣대를 들이 댄다면, 서로 눈을 마주쳐야 하고, 체온이 느껴지는 악수도 해야할 것 같고, 같이 밥 먹고, 웃고 떠드는 그런 것이 되어야 한다. 당연 블로그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이 모든 것이 생략된 만남이고, 어느 한 가지 이슈에서만 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시간을 줄여주고, 만남이 훨씬 용이하며, 내가 원하지 않으면 쉽게 단절하면 그만이다. 그것도 분명 '만남'은 만남이다. 그러나 뭔가 채워지지 않는 만남이긴 하다.
하긴, 실제로 만났다고 해서 완전한 만남이라고도 할 수 없다. 즐겁고, 유쾌하고, 재밌고, 뭔가 충만하지 않으면 인터넷에서의 만남 보다 더 질이 떨어진 만남이 될 수도 있다. 그러니 블로그든 실제적 만남이든 중요한 것은 '만남' 그 자체보단 얼만큼 마음을 나눴냐가 더 중요할 것이다.
그런데 익명성이 보장된 만남에선 상상력이 극대화된다. 실제로 블로그를 하다보면 블로거들이 궁금하다. 이 사람은 어떻게 생겼을까? 블로그에 올린 글처럼 멋있을까? 재밌을까? 온갖 상상과 추측을 하게된다. 하물며 우리도 이런데, 책속의 주인공 레오와 에미는 더하지 않을까? 레오와 에미는 만나야만 할 것 같다. 이들의 사랑(로맨스 보단 불륜에 가깝긴 하지만)을 완성하기 위해서라도, 또는 그들의 터무니 없는 사랑의 상상을 깨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상상속에서만 사랑을 한다는 건 얼마나 답답한가?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사랑은 상상을 먹고 자란다. 그 사람의 실체를 사랑하기 보다 상상한 상대를 더 사랑한다. 그래서 사랑하는 사람을 콩깍지가 씌웠고하고, 사랑의 유효기간은 6개월이라고도 말하지 않는가? 그런데 이것 없이는 사랑은 성립되지 않는다. 필연이다. 이 작품은 바로 이 부분을 극대화 했다고 볼 수가 있는데, 작가는 우린 이렇게 사랑하지 않느냐고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작품이 안타까운 건, 연애 그 자체만을 그렸다는 것인데, 그런 점에서 작가는 감성에만 촛점을 맞췄지 그다지 지적여 보이지는 않는다. 사랑도 보면 남자인 레오 보다 여자인 에미가 더 적극적인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물론 나름 설득력 있는 설정이긴 하다. 하지만 조금 더 촉각을 세워서 남자와 여자가 사랑을 느끼는 관점이 어떻게 다른가? 어느 지점에서 만나고, 어느 지점에서 상충되는가를 좀 더 심층적으로 보여줬더라면 지적인 평가까지 받을 수 있지 않았을까? 적어도 사랑의 야수성과 문화성에 대해 건드려만 줬어도. 그것은 나중에 에미의 남편 베른하르트의 이메일 등장에서 얻은 착상이기도 한데, 나는 이 부분에서 저 유명한 윌리엄 골딩의 <파리대왕>의 기시감을 느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난 애석하게도 책으로는 읽지 못하고 영화로 봤는데, 소년들이 섬에 표류하고, 소년들은 문화성과 야만성으로 파가 나뉜다. 그 작품은 결국 문화성이 야만성을 이지지 못한다는 걸 보여주고 있기도 한데, 나중에 문화성을 대표하는 소년이 쫓기는 상황이 되고 야만성을 지닌 소년들이 이를 추격하다 앞의 소년이 결국 돌뿌리에 걸려 넘어진다. 마침 그 앞에는 소년들을 구조하러 온 구조대원이 서 있고 그 구조대원은 "아니 너희들 여기서 뭐했던 거니?"란 질문으로 모든 상황은 종료가 되고, 영화 또한 끝을 맺는다. 바로 그것이 베른하르트의 등장과 흡사해 보인다는 것이다.
에미나, 레오나 심지어 독자까지 그 두 사람이 펼쳐 보이는 사랑의 향연에 빠져 들었다. 그러다 베른하르트가 등장하자 자연스럽게, 아, 맞아. 이들의 사랑은 불륜이지? 이 사람네들 뭐했던 거야? 딱 깨는 느낌을 갖게 만든다. 그 효과가 좋아보인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 등장하는 남자들 즉 레오나 베른하르트나 원래 캐릭터는 그다지 그럴 듯해 보이지는 않는다. 레오는 에미의 적극적인 사랑 공세에 소극적이고, 베른하르트는 레오에게 에미를 만나달라고 징징울며 통사정을 한다. 물론 베른이 생면부지의 남자와 아내가 소통하는 것에 흥분하지 않고 신중한 태도를 보이려 한다는 면에선 세련되긴 하지만, 징징댈 것 까지야 없지 않을까? 거기다 한 술 더 떠 자기 아내와 섹스까지 해 달라니? 그런데 그것에 대한 레오의 반응 또한 못지 않다. 오히려 적반하장 격으로 오히려, 당신이 내 말대로 하지 않으면 당신이 내게 이메일 보낸 사실을 에미에게 폭로할 것이라고 협박까지 한다. 확실히 넌센스다.
적어도 베른하르트의 등장은 감정적으로만 흐르는 에미와 레오에게 블레이크 제동을 거는 것이 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사랑은 관능만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랑의 색깔이 어디 한 가지만 있던가? 어떤 사람은 사랑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다. 그것은 '고통'이라고. 나는 그것에 동의한다. 사랑엔 반드시 '고통'이 따른다. 이 고통의 파도를 넘느냐 못 넘느냐에 따라 사랑은 더 깊어지고 향기를 바랄 수도 있고, 상처와 악취를 낼 수도 있다.
에미와 레오의 사랑에 '고통'이 나타났는가? 나타나지 않았다. 갈등은 나타났다. 갈등은 갈등일뿐 고통의 동의어로 대체될 수는 없다. 오히려 더 성숙한 사랑을 할 가능성이 있는 인물은 에미의 남편 베른하르트다. 그런 점에서 사랑은 '인내'며 '신뢰'이기도 하다. 한순간 달아오른 것만 가지고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이 소설은 에미와 레오가 만나려고 하는 싯점에서 멈추고 만다. 그것도 사랑을 이루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사랑을 끝내기 위한 작별 의식으로. 그리고 역시나 레오의 미적지근한 태도에서 회피하는 쪽으로. 그것은 스토리상 맞는 설정이긴 한데 역시 좀 김이 빠진다. 누구는 또 이렇게 충고하기도 한다. 사랑과 욕망을 혼돈하지 말라고. 어려운 말인다. 하지만 하나 확실한 건 이 작품의 작가는 남녀의 가장 낮은 수준의 사랑을 가지고 썼다는 것이다. 작품 자체는 재미있다. 하지만 읽고나서 남는 것은 그다지 없어 보인다. 그냥 이것저것 복잡하게 따지지 않고 푹 빠져서 즐기는 독서를 하고 싶다면, 이 책은 확실히 읽을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