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란 문학과지성 시인선 373
이병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시를 잘 읽지도 않으면서, 또한 아주 오랜만에 시를 읽었다. 

'찬란'이라...뭔가 찬란하단 말인가? 왠지 그 앞에 '유치'란 말을 조어로 넣어줘야만 할 것 같다. 난 그렇게 해서 그 단어를 받아들이곤 했으니까. 그만큼 나의 삶은 이 '찬란'이란 단어를 한번도 찬란하게 받아 들이지 못할만큼 유치하고 허접했는지도 모른다.    

시인의 시는 대체로 어려웠다. 시인의 마음을 알 수가 없으니 어려울 밖에.

'찬란'은 무엇일까. 시인은 말한다. "살고자 하는 일이 찬란이었"다고. 빛이 번쩍거리거나 수많은 불빛이 빛나는 상태, 또는 그 빛이 매우 밝고 강렬하여 매우 화려하고 아름다운 상태.  

그러나 내가 읽어 본 시인의 작품들은 그런 것을 노래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아 보였다. 오히려 너와나, 그것과 이것, 현재와 과거가 만나지지 못한 '찰라'의 아쉬움을 노래하고 있다고나 할까? 그런 느낌이다. 표제작을 볼까? 

햇빛의 가랑이 사이로 북회귀선과 남회귀선이 만나
는 것도
무시무시한 찬란이다

찬란이 아니면 다 그만이다
죽음 앞에서 모든 목숨은
찬란의 끝에서 걸쇠를 건져 올려 마음에 걸 것이니

지금껏으로도 많이 살았다 싶은 것은 찬란을 배웠
기 때문
그러고도 겨우 일 년을 조금 넘게 살았다는 기분이
드는 것도
다 찬란이다
                -'찬란' 중에서- 

북회귀선과 남회귀선이 만나고, 지금껏 많이 살았다 싶은 것과 겨우 일 년을 조금 넘게 살았다는 기분이 드는 것도 찬란이란다. 시인이 말한 이 두 가지는 사실 해와 달이 포개어지는 개기일직처럼도 느껴지지만 이건 그저 인간의 의식에서나 가능할 뿐 실제에서는 결코 만나지지 않을 것이다. 

그뿐인가? 시인은 '생활에게'란 시에선 이렇게 말한다. 

일하러 나가면서 절반의 나를 집에 놔두고 간다
집에 있으면 해악이 없으며
민첩하지 않아도 되니
그것은 다행한 일
(중략)
반죽만큼 절반을 뚝 떼어내 살다 보면
나는 어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곳에도 없으며
(중략)
그중에서도 살아갈 힘을 구하는 것은
당신도 아니고 누구도 아니며
바람도 아니고 불안도 아닌
그저 애를 쓰는 것뿐이어서
단지 그뿐이어서 무릎 삭는 줄도 모르는 건 아닌가
  

개인적으로 난 이 시가 그 난해한 시들중 그나마 제일 마음에 와닿았다. 그것은 나의 학창시절을 떠올리기에 충분히 자극적이다. 그 시절 나는 학교 다니는 것이 너무 싫어 학교에 있으면서 집에 있는 나를 상상하며 학교에 있는 시간을 버티곤 했다. 글쎄, 그 의식은 꽤 오랫동안 나를 지배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지금까지 종종 여기에 있으면 저기 있는 나를 상상하고, 저기에 있으면 여기에 있는 나를 상상하며 내가 어딘가에 있음을 견뎠던 것 같다. 하지만 결국 남는 건 시인이 말했던 것처럼 어느 곳에도 나는 없었던 것 같다. 온전한 실존주의자로 살아 간다는 건 얼마나 힘든 일이었는가? 나는. 그래서 무엇을 갈구하고, 누구를 갈망하기에도 나는 온전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러면서 나는 이렇게 나이 먹어간다. 시인의 말마따나 무릎이 삯는 줄도 모르고 말이다. 

작품의 분위기는 대체로 허무와 이루지 못한 아쉬움과 더불어 전생과 회귀를 표현하려고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이를테면, 위의 시들과 더불어 <절연>이란 시는 또 후자의 것을 내포하기도 한다. 

어딘가를 향하는 내 눈을 믿지 마오
흘기는 눈이더라도 마음 아파 마오
나는 앞을 보지 못하므로 뒤를 볼 수도 없으니
(중략)
묶지 않은 채로 꿰멘 것이 마음이려니
잘못 알어 밉게 녹는 것이 마음이리니

눈 감아도 보이고 눈을 감지 않아도 보이는 것은
한 번 보았기 때문
심장에 담았기 때문
(중략)
지독히 전생을 사랑한 이들이
다음 생에 앞을 못 본다 믿으니
그렇더라도 눈을 씻어야 다음 생은 괜찮아진다 믿
나니

많이 오해함으로써 아름다우니
(이하 생략)    

이 시는 어느 시각장애자를 모델로 쓴 시 같기도 하다. 어찌보면 헬렌 켈러를 연상케도 하고. 하지만 이렇게 전생과 회귀를 미망하는 마음이 나타나 있기도 하다. '많이 오해함으로써 아름다우니'이 말이 참 희망적여 보인다. 그래도 시각장애자의 오해와 비시각장애자의 오해는 다를 것이다. 전자는 실상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좋고, 아름답지 않을까를 생각하겠지만, 후자는 두 눈을 다 가지고도 온갖 추문의 상상을 하는 존재들이 아니던가? 그렇다면 시각장애자 보다 나을 것이 뭐가 있는가? 빛을 보기 원하는 그들과 매일 빛을 보고 빛속에 살아 가면서도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지 못한다면 말이다. 이것을 깨닫는 빛이 번쩍거리는 순간 어디쯤에 시인이 말하는 '찬란'이 있는 것은 아닌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0-03-07 22: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병률의 최근 시집이군요.
제가 얼마전부터 자꾸 '찬란한'이라는 낱말이 맴돌았는데 말에요.

stella.K 2010-03-08 10:44   좋아요 0 | URL
프레이야님, 사실 시를 읽은지가 하도 오래돼나서 모처럼 읽었는데 어렵더군요. 이 허접한 리뷰를 읽어주시다니 그저 감읍할 다름이옵니다. 흐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