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사브리나를 봤다. 사춘기 때 처음보고 그간 본 기억이 없으니 거의 백만 년만에 봤다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1954년작이니 거의 로코의 원조는 아닐까. 

솔직히 보면서 욕 좀하려고 했다. 아무리 완벽한 작품이라도 흠은 있게 마련이니. 흠이라면 백인만 나오는 영화라는 정도랄까. 오늘 날로 보면 큰 흠이긴 하다. 안 그래도 트럼프 땜에 백인우월주의가 고개를 들고 있지 않은가. 내가 알기론 감독이 백인우월주의자로인 걸로 알고 있다. 어찌나 부를 자랑하던지. 자가용만 7대가 있다고 하지 않은가.

 

근데 영화 자체로 보면 매력적이긴 하다. 프랑스 샹송 <장미빛 인생>을 변주하면서 적절히 잘 사용했다. 또한 그 노래는 우리가 알고 있는 그런 뜻의 노래가 아니었다. 유리잔이 장미빛이고 그것을 통해 세상을 본 거라나 뭐라나. 그래도 이 영화는 충분히 장미빛 인생이다. 사랑하는 나날처럼 장미빛 인생이 어디있겠는가. 게다가 오드리 헵번의 머리는 한때 유행을 했다. 또한 그녀가 입고나온 옷은 지금 봐도 굉장히 세련됐다. 벌써 70년 가까운 영환데도 말이다. 이 영화를 흑백으로 봤다는 게 좀 아쉽다. 나중에 컬러로 복원됐는지 모르겠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영화가 문제가 아주 없는 건 아니다. 사브리나는 부잣집 운전 기사의 딸이다. 어쩌자고 주인집 바람둥이인 둘째 아들을 좋아하는지 알 수가 없다. 나쁜 남자를 좋아하는 순진한 처녀라니. 자기는 가난한 운전 기사의 딸일뿐이라고 자학하기 일보직전이다. 게다가 첫째 아들을 연기했던 험프리 보카트는 사브리나를 사랑하면서 자신이 정말로 사랑하는지 아닌지도 모르는 멍청이다. 나중에 동생이 파리로 다시 떠나는 사브리나를 잡으라고 말하자 그제야 그럼 그래볼까 하며 꽁지가 빠지게 쫓아가는 모양새라니.

 

영화에선 바람둥이 보다 절도있고 진중한 험프리 보가트가 더 진실된 사랑을 하고 있는 것으로 포커스를 맞추는 것 같은데 이런 사람이 더 위험할 수도 있다. 나중에 결혼하면 아내를 외롭게 할 가능성이 많은 타입이다. 아니 사랑해서 결혼해 주고 옷 사 주고, 좋은 집에서 살게 해 주는데 뭐가 문제냐는 식으로 여자를 전혀 이해하려고 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 

 

가끔 이상형이 어떻게 되냐는 말에 나만 사랑해 주는 사람이라고 다소 철없이 대답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 말이 정답이긴 하지 않는가. 결혼하고도 끝까지 사랑해 줄 남자는 멍청한 첫째 아들 보다 바람둥이 둘째 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물론 사랑이 밥 먹여주는 건 아니잖냐고 말하면 할 말은 없다. 그건 그렇다. 결혼은 사랑이 아니라 삶이다. 사랑과 안락한 삶이 최고의 결혼이겠지만, 차선으로 가난하지만 사랑하는 것과 사랑은 없지만 안락한 삶이 보장되는 것이 그나마 낫고, 사랑도 안락한 삶도 보장 받을 수 없는 결혼이 가장 최악일 것이다.  

 

게다가 이 영화는 상대의 눈에 띄려면 멋을 부리라고 부추기도 한다. 기왕이면 다홍치마라고 사람은 예쁘고 잘 생긴 것만 가지고는 성에 차지 않는다. 예쁘고 잘 생긴 것만큼 옷도 잘 입고 지성도 뛰어나야 한다. 주인집 두 아들을 보라. 그나마 사브리나가 프랑스 최고의 요리학교를 졸업하고 금의환양 하니까 그때야 발정난 개처럼 주위를 어슬렁 거리지 않는가. 그건 어쩔 수 없는 인간의 본능 같긴하다. 그래도 좀 아쉽긴 하다. 그런 것 없이 사람 자체를 좋아하는 거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것을 보면 사람 좋아하는덴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 같다. 그냥은 좋아할 수 없는가 보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이 영화에서 오드리 헵번의 걸음걸이를 유심히 지켜보길 바란다. 그녀가 걸을 때 얼마나 안정되면서도 우아한 보폭으로 걷는지. 거의 체조선수급이다. 배우는 만들어지는 거라고 분명 그 걸음걸이는 그냥 걷는 것이 아닐 거라고 본다. 오드리 헵번은 아름답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선 2020-12-01 00:0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드리 헵번은 발레리나가 되려고 했는데, 키가 커서 발레를 못하게 됐다고 합니다 발레를 해서 걸음걸이가 좋은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희선

stella.K 2020-12-01 15:43   좋아요 2 | URL
아, 그랬군요. 저도 그 생각은 했어요.
하긴 1950년대니 체조 보단 발레가 대중에게
잘 알려지긴 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체조 선수를 연상했던 건
나중에 오드리 헵번이 큰 아들의 집무실을 나가는 장면이
있는데 엉덩이가 생각 보다 크고 걸음걸이가
힘있어 보였어요. 그래서 발레는 아니겠구나 싶었죠.ㅋ

레삭매냐 2020-12-02 19: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드리 헵번의 <사브리나> !

오드리 헵번 나오는 영화는
오로지 <로마의 휴일> 밖에는
모르는 닝겡이네요.
그나마도 하도 오래 전에 봐서
기억이 가물가물...

걸음걸이 주목하겠습니다.

stella.K 2020-12-02 19:17   좋아요 0 | URL
ㅎㅎ 어렸을 때 봤을 땐 그냥 오드리 헵번이
좋아서 자세히 안 본 것 같습니다.
첫번째 볼 땐 그저 스토리에만 치중해서 보는
경향이 있어놔서.
<로마의 휴일>도 다시 봐야하는데...

scott 2020-12-02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드리 첫번째 남편과 연애할때여서인지 사브리나에서 미모가 절정!이였던것 같아요 ㅎㅎ

stella.K 2020-12-02 20:47   좋아요 0 | URL
헉, 그런가요? 모르시는 게 없군요.^^
근데 첫째 남편이 누군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