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은 누가 죽여요?" 퍼디타가 말했다. " 우리 모두가 죽이지." 지노가 말했다. "주인공 ㅡ햄릿, 오셀로, 레온테스, 돈조반니, 제임스본드ㅡ이 직접 죽이지 않는다 해도 그의 영혼을 위한 희생양이 될 뿐이야." -263
한 친구는 나보다 두 살이 어린데 그러므로 내 남편과 동갑이다. 내가 한창 지금의 남편과 연애할 때 하루는 셋이 함께 어떤 이유로 지하철을 타게 되었다. 친구는 나로 인해 내 남편과 안면이 있는 정도였는데 그날 지하철에서 둘이 몇 마디 나누더니 서로 동갑인 것을 알았다. 누가 먼저였는지 기억나진 않는데 동갑이니 서로 말 놓자고 하는 거다. 나는 속으로 '나한테 언니라고 하면서 내 남편과 친구가 되겠다고? 내 의견도 묻지 않고?' 하며 순간 둘 사이에 내가 끼어 있다는 느낌이 들면서 기분이 더러워졌다. 나로 인해서 둘이 알게 된 거니까 나를 중심으로 관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거 아닌가? 그러니 차라리 '형부'가 맞지 않은가? 어떻게 둘이 곧장 친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지? 마치 나 없이 둘이 소개팅이라도 하는 거 같다? 뭐 그런 식으로 생각했었다.
이른바 쿨하다는 서구의 문화에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지만 내 남자친구를 내 친구에게 소개해 주거나 내 남편을 내 친구에게 소개해 서로서로 친하게 지내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같이 어울리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아주 잠시였지만...아마도 이런 사고에는 아버지의 영향이 크지 않나 짐작한다. 우리 아빠는 내가 초등학교에 다닐 때 유독 엄마의 외도를 의심했다. 내가 볼 때도 우리 엄마는 섹시했다. 훗날 당시 엄마의 사진을 앨범에서 봤는데 더욱 그렇게 느껴졌다. 사진 속 화사한 블라우스 차림의 엄마는 활기가 있고 젊음으로 생기가 있었다. 미드 브이에 나올 법한 여배우 같은 분위기! 그런 저런 이유로 10살이나 많은 아빠는 불안했을 거다.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했다. 하루는 엄마가 친구를 만나고 늦게까지 집에 들어오지 않았는데 초조해진 아빠가 나에게 마음에 담아둔 의혹을 토로했다. 그 이야기를 듣자 감정적으로 이해가 되었다. 나는 아빠와 같은 마음으로(당시에는 그렇게 믿었다) 엄마를 기다렸다. 얼마 후 엄마가 집에 돌아오고 거실에서 말싸움이 들렸다. 나는 숨죽이며 내 방에서 무슨 대화가 오가는지 귀기울여 듣고 있었다. 그 때 난 아빠 편이었고 억울해하는 엄마 편이기도 했다. 종잡을 수 없는 양가적 감정이 이후 이성을 만날때 얼마간 반영이 되었다.
연인이 있거나 배우자가 있어도 누군가에게 마음이 가는 건 어쩔 수가 없다. 그걸 탓하거나 매달려봐야 무슨 소용인가. 붙잡고 산다고 있던 일이 없던 일이 되나? 그런 감정을 속이고 옆의 사람을 기만하기보다 털어놓고 헤어지는 편이 모두를 위해 낫다. 속이고 몰래 만나는 것이야말로 최악이다. 그러므로 작은 꼬투리로 상대를 의심하기보다는 이쪽에서도 일단 믿어야 한다. 이게 내 결론이지만 문학적으로는 이런 최악의 기만이야말로 흥미진 대목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의심하는 사람의 고통받는 내면은 너무너무 재미있다. 킬킬거리면서 읽고 있는 나 때문에 가끔 섬뜩하다. (아빠 미안해...) 이런 내가 <시간의 틈>을 읽었다. 이쯤에서 짐작했겠지만 이 소설에는 불륜을 의심하는 대목이 나온다. 리오는 절친 지노가 자신의 아내이자 임신 중인 미미와 친근하게 함께 있는 모습을 목격한다. 의심은 붉어져 집안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그들을 주시한다. 모든 의심이 그렇듯 정작 보이는 것보다 그의 의혹의 이미지는 현실을 앞서간다. 그의 상상 속에서 두 사람은 음탕한 배신자들이다. (리오의 욕설이 섞인 노골적인 대목을 올릴 수 없어 참고삼아 무난한 장면만 인용했습니다.)
미미는 지노 곁에서 편안하다. 같이 잔 사람과만 저렇게 편할 수 있는 법이다. 미미가 꿈틀거리며 아기가 든 배 위로 드레스를 올린 다음 지노가 지퍼를 올릴 수 있도록 돌아섰다. 그가 지퍼를 올린 다음 엉덩이 부분의 매무새를 다듬었다. 그 길고 섬세한 손가락을 내 마누라 엉덩이에서 떼! ㅡ87
이런 의문을 품어 보지 않은 사람도 있을까; 나는 괴물일까, 아니면 이게 내가 인간이라는 뜻일까? -별의 시간
리오의 의심은 오셀로가 그랬던 것처럼,<겨울 이야기>의 시칠리아 왕이 그랬던 것처럼 모든 소중한 것들을 무너뜨린다. 그리고 되돌릴 수 없는 선택으로 그를 몰아간다. 미미의 아기(딸)는 친자가 아닐 거라는 리오의 광적인 불신, 예기치 않은 우연의 결과들로 인해 다른 장소에서 자라게 된다. 이것은 운명이었을까? 인간은 본질 적으로 무로 돌아가려는 욕구가 있는 것일까. 그 때문에 갖가지 악의를 저지르고 또는 그것을 욕망하는 걸까. 추락한 천사. 흩어진 깃털들. 하지만 어떤 것들은 되돌릴 수 있다. 지넷 윈터슨이 셰익스피어의 <겨울 이야기>를 새롭게 창작한 것처럼. 시간의 틈을 발견한다면 가능하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을 만든 건 항상 자리를 비우는 신이 아니라 추락한 루시퍼 같은 인물이라는 거지. 일종의 흑천사야, 우리는 죄를 짓거나 지위를 잃은 게 아니야, 우리 잘못이 아니었지. 우리는 이렇게 태어났어. 우리가 무얼 하든 그건 결국 추락이야 걷는 것조차 일종의 잘 통제된 추락이지. 하지만 실패와는 달라, 우리가 이걸 안다면 영지, 그러니까 안다는 거야 고통을 견디는 게 더 쉬울 거야."-107
시간을 되돌리는 방법이 궁금하신 분들은 이 책을 읽어보시면 됩니다. 읽어도 모르신다면...그건 책임지지 않....
호가스 셰익스피어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