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제3인류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장편소설 <제3인류>는 인류의 진화과정과 미래를 베르나르 베르베르 특유의 상상력으로 기록한 SF 소설이다. 워낙 SF 소재를 다룬 이야기를 좋아하는 스타일이라 설렘으로 읽기 시작해서 정신없이 읽어나갔다. <제3인류>는 가이아(지구)와 다비드 웰즈&오로르 카메러의 관점과 에몽드 웰즈(다비드의 증조부)의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내용을 인용함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내가 베르베르를 알게 된 첫 번째 소설이자 베르베르 자신의 소설 <개미>에 나왔던 에몽드 웰즈의 후손이 등장한다는 점이 반가웠다.
책장을 처음 넘기는 순간, 우리가 사는 지구가 자아를 지닌 존재라는 내용부터 호기심을 자극한다. 가이아(지구)는 테이아란 행성과의 충돌로 인한 트라우마 덕분에 의식이 깨어나 자아를 갖고 있음을 깨닫는다. 테이아의 충돌이 너무나 강력했기 때문에 자신을 지켜줄 존재가 필요했다. 그 필요로 인류를 만들었는데 최초 인류는 우리 인류보다 10배는 큰 17미터의 거인이었다. 이 인류는 8천 년 전 멸망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명한 고생물학자 샤를 웰즈가 교수가 자신의 가설을 확증하기 위해 남극 대륙에서 시추 탐사하다 17미터에 달하는 거인 유골을 찾아낸다. 거인족의 벽화를 보며 그들의 문명과 삶을 추측하고 '호모 기간티스'라는 이름을 붙여주지만, 탐사대는 불의의 사고와 함께 파묻히고 만다.
소르본 대학에서 '진화에 관한 학술 경연 대회' 참가 프로젝트를 하던 다비드 웰즈는 아버지인 샤를 웰즈 교수가 남극 탐사 과정 중 불의의 사고로 사망한 소식을 전해 듣게 된다. 다비드는 아버지 유품을 정리하다 아버지가 '호모 기간티스' 에 대해 기록한 수첩을 발견하게 되고, 수첩을 통해 아버지의 주장이 자신이 연구하는 소형화 진화와 같다는 것을 읽게 된다. 프랑스 대통령 드루앵은 인류의 진화에 대한 연구를 비밀리에 진행하면서 <피그미, 소형화를 통한 진화> 프로젝트를 발표한 다비드 웰즈와 <아마존, 여성 호르몬에 의한 면역 체계 강화> 프로젝트를 발표한 오로르 카메러를 후원하게 된다. 그 결과는 '에마슈'라는 17센티의 초소형 신인류인 제3인류를 창조하고 마는데….

포식자들은 이빨, 근육, 발톱, 독 따위를 강력하게 만드는 것에 승부를 걸었다. 포식자들은 먹잇감들의 단백질을 흡수하면서 저희의 근육을 더욱 발달시켰고, 그러면서 더욱 빠르고 잔인해졌다. 238페이지
믿고 읽는 베르나르 베르베르. <제3인류>를 읽으면서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기발한 상상력에 감탄한다. 핵 실험, 자연재해와 환경 파괴, 자원 고갈, 전염병, 무분별한 자본주의, 종교문제 등으로부터 인류의 파멸을 막기 위한 비밀 프로젝트로 창조된 제3인류 이야기. 많은 노력이 있었겠지만 이런 이야기를 누구나 쓸 수 있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다. 그의 특유의 긴장감으로 새벽까지 책을 놓을 수 없었다. 출근해야 하는데…. 특히, 독감이 발병하면서 다비드는 어머니를, 오로르는 아버지를 찾으러 나설 때의 과정은 몰입도가 대단했다. 요즘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미드 <워킹데드>가 오버랩이 되면서 손에 땀을 쥐며 읽었다. 지금까지 내가 읽은 것은 1권과 2권으로 <제3인류> 1부에 지나지 않으므로 12월에 출간되는 2부를 읽어보고 더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다. 과연 제3인류를 창조한 제2인류는 큰 실수를 하는 것이 아닌지. 그리고 제3인류 '에마슈'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