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잭 웨더포드 지음, 정영목 옮김 / 사계절 / 2005년 2월
평점 :
새 밀레니엄을 맞아 칭기스칸 재조명이 유행이었을 때 몇 권의 책을 구입해놓고는 읽지는 않았었다. 뒤늦게 책장에서 이 책을 찾아 읽으면서 정말
책과도 인연이라는 것이 있구나,하는 감상적 생각을 조금 했다. 몽골과 칭기스칸, 유라시아 유목문명에 대한 책들의 목록을 주욱 뽑아 놓고 계단
올라가듯 차근 차근 읽고 있는 중인데, 이 책을 끝으로 쉬운 대중서는 더 이상 읽지 않아도 될 것 같은 느낌이다. 그럭저럭 이 책은 요즘
유행어로 '칭기스칸의 대중서 종결자'인 셈.
칭기스칸의 생애와 업적, 아들, 손자들의 대제국 건설 관련 내용은 기존 역사서의 내용과
일치하므로 굳이 쓸 필요를 못 느끼겠다. 이 책의 특징만 잡아서 기록해 본다면, 일단은 서양 학자의 시선으로 쓰기에 몽골제국이 이후 유럽에 미친
영향 위주로 서술한다는 점이 보인다. 그렇다고 몽골을 비하한다는 것은 아니고, 저자는 칭기스칸과 몽골제국의 업적 그 자체보다 이후 서구에 미친
영향을 주로 다룬다는 뜻이다. 티무르라든가 여타의 유목 제국 군주들이 행사한 잔학 행위들을 유목 정복 군주의 대명사격 인물인 칭기스칸이 부당하게
뒤집어쓴 점을 밝혀주는 저자의 시선으로 보아, 저자가 서구편향적으로 칭기스칸을 보는 사람은 절대 아님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내가 읽으면서 재미있었던 점은 인류학자답게 저자가 칭기스칸의 행위의 이유와 그 제국의 정책들에 대해 문화인류학적 해석을 해 준다는 점이다.
<몽골비사>에는 아마도 서술자인 몽골인들에게는 너무 당연하기때문에 구태여 그 의미나 까닭을 설명할 필요를 못 느껴서 지나쳤을법한 세부
사항들에 대해 저자는 깊이 해설해 준다. 예를 들어, 문자 기록이 아니라 구전민요의 가락에 맞춰 군령을 노래로 외워 전달하는 부분 등의 설명이
참 재미있었다.
또 이 책의 장점은 명 이후 서술이 끊기는 다른 책들과 달리, 이후 몽골제국이 어떻게 세계역사에서 재해석되고
부당하게 이용당했는가, 하는 점까지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볼테르 등 자신의 군주를 직접 비판하지 못하는 입장에 놓인 유럽의 지식인들이 자신
나라의 전제군주들를 칭기스칸에 빗대어 비판하는 글을 썼는데 그 숨은 의도와 달리 그 글이 칭기스칸과 몽골제국의 잔혹성을 널리 알리는 역할을
했다던가, 제국주의자들이 유전학적으로 몽골인의 후진성을 조작, 아시아를 지배하는 근거로 삼기도 했다는 점, 일제의 경우 자신들의 아시아 지배
야욕을 위해 범몽골리즘을 주장했다는 점, 아프가니스탄 침공 당시 소련을 몽골제국에 빗대 반몽골 감정이 일어나 하자라족이 학살을 당하기도 했다는
점(<연을 쫓는 아이>에 잘 나와있듯),,, 등등,,,
하지만 저자가 사학전공이 아니기에 부분적 오류가 종종 보인다. 이
부분은 역자가 주를 달아 '저자는 본문에 이렇게 썼지만 실재 역사상은 이랬다'고 보완을 해 주셔서 읽는데 크게 지장은 없다. 몽골 침략전쟁을
치룬 이후 우리나라가 민족의식을 느껴 삼한통일이 된 것으로 저자가 잘못 쓴 부분도 역자분이 이미 언급해 놓으셨다. (그런데 356쪽의 티무르와
셀주크 술탄의 에피소드의 경우, 내 부족한 지식으로는 셀주크 투르크가 아니라 오스만 투르크 술탄과의 일화가 아닐까 하는데 그 부분은 역자의 주가
달려 있지 않다. 티무르가 활약한 14세기말이면 오스만 투르크가 맞지 않을까? 이 부분 아시는 블로거분들, 제게 알려
주세요^^)
다 읽고나서 리뷰 쓰느라 다시 훑어보니 뜻밖에 지도, 도표가 둘 밖에 없었다. 지도광인 내가 이를 눈치채지도 못하고
단숨에 읽은 것으로 보아 이 책이 매우 흥미로운 책임은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