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 괴물이 된 이십대의 자화상 지금+여기 3
오찬호 지음 / 개마고원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

 


애꿎게도 소위 '생산적이지 못했던 2017' 게으름을 자기에게 돌려, 책 안 읽는 형벌을 내리더니만........ 제 기질은 어쩌지 못한다고 다시 서가를 기웃거린다. <아픈 몸을 살다> 처럼, 책덕후들의 블로그를 놀러다니다가 셀프추천 받은 책 중 하나인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를 이제 막 다 읽었다. 사실 오찬호 박사의 <진격의 대학교>를 먼저 읽었다. 참. 신. 했. 다! 블로그 기사 모음집처럼 속도감을 내는 쉬운 문장에 설득력 넘치는 실제 사례 덕분에 집자 마자 다 읽어버렸다. <괴짜사회학>과 <플로팅 소사이어티>의 수디르 벤카테시 (Sudhir Venkatesh)가, 동료 사회학자들의 따가운 시선을 충분히 의식하며 대중적 글쓰기와 '사회학계' 내 통용될 고전적 글쓰기 사이의 줄타기 과정을 보여주는데 반해, 오찬호는 초연하게 쭉쭉 나아간다. 저자 약력이나 본문 중간중간 등장하는 '대학 시간 강사'로서의 언급이 아니었던들, 신문연재기사나 파워블러거의 리뷰라는 착각이 들 정도로 술술 쉽게 읽힌다. 어쩌면 그것이 오찬호 박사의 전략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보다 많은 이들에게 대한민국 20대의 민낯, 진짜 얼굴 보여주고 생각하게 하기!


 

20171230_113607_resized.jpg


 사실 <진격의 대학교>에서 오찬호 박사의 자료를 버무려내는 솜씨와 말빨(?)에 기대가 컸던지라, 서강대 사회학과 박사논문을 다듬어 낸 <우리는 차별에 반성합니다>에는 살짝 실망도 하였다. '보고 싶은대로 보고, 보인다'의 위험을 어찌 사회과학전문가가 놓쳤으랴나마는, 그가 그리는 대한민국 20대의 몽타주는 오찬호 박사가 보고싶은 부정적 면을 강하게 부각시켰다. 그가 보여주는 20대는 한결같이 사회불평등에 비굴하리만큼 순응적이면서도 '자기계발' 신화를 먹이로 삼는 성공욕 때문에 자기분열을 보인다. 또한 책 제목에서는 "우리"라는 대명사를 썼지만 그 안에서도 서울대를 서열사다리의 '넘사벽'으로 교묘하게 편집해내고 있지 않나 싶다. "서울대 = 이미 사회특권층(에 가까운 가정 출신 등)"이라는 일반화 아래서, 서울대 출신 김난도 교수가 34에 대학 교수가 "되네 마네"하는 고민을 하더니만, 마찬가지로 서울대 출신 제자들이 20대에 "UN에 들어 가네 마네"의 고민을 상담해준다면서, 자기계발서로서의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이미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올라 있는 소수만을 위한 '아프니까 청춘'이라면서.

*

<아프니까 청춘이다>를 비롯한 여러 자기계발서들이 간과한 사회적 현실이란 게 사실 놀랄 만한 뉴스는 아니다. 살면서 누구나 몇번씩은 들어봤음직한 이야기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자기계발서의 이야기에 별다른 의심을 품지 않는다. 이유가 뭘까? 바로 '능력주의'에 대한 신뢰 떄문이다. 쉼 없이 달려온 청춘이 지쳐 쓰러졌는데, '원래 아픈 거다'라는 식의 맥 빠지는 조언에도 폭발적으로 공감하는 건 바로 자기계발담론의 세계관을 떠받치고 있는 능력주의에 적극 동의하기 때문이다. (204쪽)

*

그는 서강대 출신으로서 한국 사회 학벌주의가, 그것을 비판하고 그에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의해 계속 공고하게 만들어지는 현상을 기술한다. 오찬호 박사가 운영한 사회학 강좌 수강생이 제출한 과제물과 강의실에서의 토론, 그리고 야밤의 술자리로 이어지는 대화를 자료삼아 21세기 대한민국의 20대가 사회적 약자인 동시에, 신자유주의의 경쟁 논리를 온몸으로 살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만이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난 수년간 동덕여대, 목원대, 서강대, 세종대, 아주대, 안양대 등에서 강의하면서 face - to -face로 20대를 밀착해 만나온 그만이 가진 자료에 바탕했으니까. 따라서 "그래서 뭐?"하는 식의 깐족거리는 반응은 자중해야겠다. 오찬호 박사만이 가진 자료인데......

 

*

 

단, 해석에서 흥미로운 점 하나. 그는 시종일관 한국 출판계의 '자기계발서' 열풍을 시니컬한 어조로 비판하면서 '열심히 살려는 20대들이여, 그대들 자기계발서의 논리에 속고 있는 거야!'라고 일깨워주는데 흥미롭게도 '신자유주의'라든지 푸코를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일부러 한 선택이라고 생각이 드는데 왜 였을까? 궁금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01-04 10: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해 인사가 쪼금 늦었어요.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이 책에 푸코까지 언급되면 책 내용의 난이도가 급 향상되었을 것입니다... ㅎㅎㅎ

AgalmA 2018-01-04 11: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셀프 추천ㅎㅎ 넘 공감되는!
얄라알라북사랑님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같이 셀프 추천 책들과 신나는 모험을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