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필리어는 인간이 지워진 행성에서 나체와 맨발의 자유를 만끽한다. 칙칙한 작업복을 벗어던져 부끄러워했던 늙은 피부를 드러낸다. 화려한 비즈 장식을 만들어 달고, 알록달록 풍성한 색감의 옷을 입는다. 햇살에 기미가 짙어지건 말건, 모자도 없이 땡볕에서 밭일을 하고, 이웃이었던 사람들의 냉장고를 열어 음식도 챙긴다. 평생 돌보고 일구며 살아온 할머니는 자신의 몸과 집, 이웃의 집, 심지어는 행성에 남은 양과 소까지 챙긴다. 그러다가, "종족" 즉 행성의 원거주생명체를 만나게 되면서 이야기가 급물살을 타고 전개된다.
통념이라는 사회적 잣대로 보았을 때, 할머니는 결핍투성이다. 힘 부족, 학력 부족... 하지만, [잔류 인구]에서 엘리자베스 문이 입체적으로 살려낸 오필리어는, 매 순간 삶의 에너지로 충만하고 자신과 주변을 채워주는 사람이다. 외람되지만, 귀여우시기까지 한 할머니. 어슐러 K. 르 귄 역시 오필리어 할머니를 두고 "“Ofelia—tough, kind, wise and unwise, fond of food, tired of foolish people—is one of the most probable heroines science fiction has ever known.”라고 찬사를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