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2016년이었네요. [양생과 치유의 인문의학 동의보감]을 멋 모르고 읽고 "재밌다"며 반했던 때가. 큰 맥락에서 살필만큼 시야가 넓지 못해서, 저자 안도균 선생님의 문장 중 심장에 콕콕 와 박히는 부분만 발췌해 기억했습니다. 2021년, 제목부터 "코시국"을 내세운 [펜데믹 시대에 읽는 동의보감 강의: 유동적 지성으로 몸과 세계를 사유하다]를 펴내셨기에, 반가운 마음에 읽었습니다.
안도균 선생님은 수의학(서양의학)을 전공했지만 한의학 및 역학에 관심이 많아 2015년에도 과천 부근의 공부모임에서 강의를 하셨더랬죠. 2021년 신간 책날개에서는 선생님의 핵심정체성을 "작가"로 소개합니다. 그간 꾸준히 강의와 저술활동을 해오셨나봅니다. 2015년 당시에는 <관문학당>과 <서인학당>에서 활동하셨는데, 2021년 <도담학당>을 운영하고 계시나봅니다. [펜데믹 시대에 읽는 동의보감]은 "2020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사업에 초빙강사로 3회 강의한 내용을 정리해낸 책입니다.
https://youtu.be/7Cye4KbDVHA
제 1강 - [예측불능시대의 창조적 진화]
https://youtu.be/yfeEZE6BuX0
제 2장- [ 동의보감에 숨겨진 무위의 통치술]
https://youtu.be/MUvULsi1qbk
3강 양생과 치유의 실천들
코로나 팬데믹으로 드러난 시대의 문제들을 진단하는데 "유동적 사유"가 유용한데, 우리 시대는 "분석적 사유"에 치우쳐 있으니 이 두 사유를 조화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핵심 표현으로 달리 설명하자면, 생명에는 두 가지 힘인 구심력(안정성을 유지하려는 힘)과 원심력(안정성을 깨고 창조적 역량 발휘하려는 생명적 본능)이 있는데, 원심력적인 힘을 억압한 결과 개인도 사회도 문제가 생긴다. 역시 두 힘을 조화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동의보감]의 무위의 통치술에서 지혜를 빌어오자. "미병" 상태일 때 몸의 병을 치료하면 가장 좋듯, 사회의 문제 역시 드러나기 전 양생의 힘으로 다룬다.
이상, 좁은 제 시야에 들어온 도담 선생님의 말씀이었습니다. 얇은 강의록이지만 많이 배웠습니다. 영상강의와 보충해가며 다시 공부하려 합니다. 선생님께서는 유동적 사유가 사적 문제를 다루거나 미래예측의 운명학으로 좁게 오해되는 데 안타움을 느껴서, 유동적 사유가 "시대와 존재를 연결하고 그 흐름을 진단하는 역할(8)"을 수행하도록 "학문적 지성화"(8)하시는 데 관심을 두고 계십니다. [펜데믹 시대에 읽는 동의보감]은 그런 큰 지향을 드러내주는 "전략적 과정의 입구(11)"라 겸손히 말씀하시니, 입구 안까지 안내해주시면 감사한 마음으로 따라 가겠습니다. 도담 선생님의 1, 2, 3강 강의들을 관통할 핵심 주장으로 다음의 문장을 옮겨봅니다.
"지금까지 인류가 분석적 지성으로 세계를 바라봐 왔다면, 팬데믹의 시대가 던져 주는 여러 문제들을 유동적 지성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 눈으로 볼 때 문명과 질서에 안주하려는 구심력적인 힘이 아니라 우리 안에서 바깥으로 향하는 원심력적 생명의 고양감이 중요하다고 했고요. 하지만 이런 힘 역시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몸을 상하게 합니다. 그래서 우주적인 차원의 계산으로 길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그러려면 무위지치의 통치술이 필요하다."
도담 선생님의 작업이 "학문적 지성화" 중간 궤적에 있다 하여도 언어의 문제를 고민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