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쌀례 이야기 - 전2권 - 개정증보판
지수현 지음 / 테라스북(Terrace Book)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때는 일제가 극악을 떨던 1943년
평생 밥 굶는 일 없이 풍요롭게 살라는 뜻에서 아명인 쌀례를 이름처럼 불린 소녀 박성례는 15살을 얼마 안 남긴 14살 경성으로 시집을 가게 된다.
남들과 같은 꽃가마가 아닌 낯선 열차를 타고 혼례를 치르러 가던 길에 강도를 만나지만 교복을 입은 훤칠한 남학생에게서 도움을 받아 가까스로 위기를 모면하게 되고 그 남자가 바로 남편이 될 남자였다.
그리고 쌀례의 낭군이 될 남자는 갓 20살의 대학생으로 자신의 아비가 일제 앞잡이 노릇으로 거금을 벌어들이고 그 돈으로 자신이 먹고 입고 배우고 있다는 현실을 부끄러워하는 한선재라는 남자였다.
일제가 금지하는 야학을 하다 쫓기는 신세가 되어 잠시 떠나 있는 동안 아버지는 말도 없이 자신의 혼례를 준비했을 뿐 아니라 그 상대가 14살짜리 어린 계집아이라는 사실에 분노를 넘어 허탈하기까지 한 선재는 결혼을 하지 않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지만 아버지의 뜻을 거스를 수 없었고 울며 겨자 먹기로 쌀례와 혼례를 치르게 되지만 이 결혼을 인정할 수 없었다.
어릴 때부터 양반가의 자식으로서 아녀자의 도리를 배우고 자란 쌀례는 자신이 있는 곳에서 최선을 다하지만 시아버지 외에는 그녀를 따뜻하게 보는 사람이 없었고 시누이 은재는 글자를 모르는 쌀례를 몸종같이 무시하고 얕잡아보기 일쑤일 뿐 아니라 나중에는 선재와 쌀례를 오랜세월 만날수 없게 한 원흉이다.
이렇게 서로 극명하게 차이 나던 두 사람이지만 어느새 선재에게서 글자를 배우게 된 쌀례는 선재의 도움으로 학교에 입학해 공부를 배우게 되고 서로 조금씩 마음이 열릴 즈음 야학하던 선재가 잡혀 전쟁터에 끌려가게 되면서 소용돌이 속으로 휘말리게 된다.
냉혹한 아비는 아들을 살리기 위해 자신의 집에서 머슴 일을 하던 찬경에게 대신 그 짐을 지운 게 되고 그게 나중 부메랑이 되어 돌아와 선재와 쌀례를 괴롭히게 된다.
자신을 낳아준 어미로부터도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아보지 못했던 찬경에게 늘 오라버니라고 부르며 따뜻한 시선으로 끼니를 걱정해주던 쌀례를 마음에 품었던 찬경은 그 시선을 자기 것으로 하기 위해 몹쓸 짓도 서슴지 않고 온갖 것에 손을 대 큰 돈을 벌지만 늘 마음 한편은 비어있는 듯 허전하기만 하다.
이 갈증을 해결해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쌀례뿐이지만 자신과 선재를 끝내 생이별하게 만든 찬경을 더 이상 예전의 그 오라버니가 아닌 자신의 원수로 여기게 된 쌀례는 곁을 내어주지 않으면서 선재와 찬경 그리고 쌀례를 둘러싼 갈등은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해방되고 다시 6.25전쟁이 발발해서 흉흉하던 그때 여자의 몸으로 아이까지 업고 온갖 고생을 하며 그저 서방님이 살아돌아오길 기다리던 쌀례
그런 쌀례 곁에서 자신이 가진 돈으로 그녈 보살펴주던 찬경
하지만 주변 시선은 그런 그들을 곱게 보지 않을 뿐 아니라 가만 내버려 두지도 않는다.
 책을 읽으면서 그 시절 비단 쌀례뿐만 아니라 전쟁미망인으로 혼자 살아남아 자식들을 먹여살리기 위해 온갖 굳은 일을 마다하지 않았던 당시의 모든 여자가 겪은 일이었음에도 답답하고 먹먹했다.
그리고 그런 고지식한 마음가짐을 가진 쌀례가 답답하면서도 그런 쌀례만을 바라보는 찬경의 사랑이 안타깝기도 하고...
지금시절의 눈으로 본다면 솔직히 선재의 선비같은 고고한 자태와 마음가짐도 멋지긴 하지만 자신의 여자를 위해 무슨일이든 할수 있고 해낼수 있으면서도 오직 한 여자만 바라보는 찬경이 여자들에게 더 어필하지않을까 생각한다.
아비의 부끄러운 돈을 늘 부담스럽게 생각하면서도 아비의 뜻을 거역하기 힘들어했던 선재는 쌀례에게 일편단심인건 마찬가지지만 쌀례보다 우선 순위의 것이 있었던 반면 찬경에겐 그 모든것보다 늘 쌀례가 우선이었다는 점에서 여자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지않을까 생각해본다.
둘의 사랑이야기보다 당시 시대적 배경에 따른 여자의 일생이야기에 가깝달까...여자들의 수난이 읽기에도 녹록치않아 마음이 편치않았고 특히 이 모든 불행의 씨앗이 되었던 선재 여동생 은재에게 별다른 제재가 가해지지않고 큰 벌이 내려지지않았다는 점에서 짜증이 났다.
역시 로맨스소설은 해피엔딩에다 둘이 달달한 모습을 보여주고 그 달달함을 보면서 대리만족을 느끼는 게 로맨스소설의 역활이 아닐까 생각하면 이 책은 그 부분에서 아쉬웠다.
죽도록 고생하는 쌀례의 모습이 안타깝고 주변상황에 헤어짐이 긴 것도...그 둘을 방해하는 사람이 많은것도 아쉽지만 역시 아프도록 안타까운 찬경의 사랑이 못내 가슴아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