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프 보이스 - 법정의 수화 통역사
마루야마 마사키 지음, 최은지 옮김 / 황금가지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농인들의 세계를 그리고 있는 `데프 보이스`
일단 낯선 용어들이 눈에 띈다.
농인, 청인, 코다 등등
무엇보다 놀라운 건 농인들이 사용하는 수화에도 한 가지만 있는 게 아닐뿐더러 태어나면서부터 들리지 않는 사람부터 자라는 동안 안 들리게 된 사람들 사이에도 서로 벽이 있고 특히 태어나면서부터 농인들은 자신들이 농인이라는 걸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설명은 의외이자 신선한 충격이었다.
이 책의 주인공은 다소 특이한 환경에서 자란 사람이다.
선천적 농민인 부모에게서 들리는 아이 즉 코다로 태어나 역시 선천적 농민인 형과 가족 사이에서 늘 소외감을 느끼며 살았던 아라이 나오토는 가족에게서도 늘 소외감을 느끼고 자라서인지 사회생활을 하는 데에도 아웃사이더 같은 모습을 한 채 조직생활에 스며들지 못하고 겉돌다 결국 한 사건으로 인해 스스로 조직에서 물러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자신들의 세계에만 있는 가족에게서도 혼자서만 듣는다는 이유로 소속되지 못하고 바깥에서도 농인 가족으로 인해 제대로 소속되지 못해 겉돌던 아라이가 마침내 두 세계에서 제대로 된 목소릴 내게 된 계기가 발생한다.
취업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취득한 수화 통역사 자격으로 한 사건을 만나게 되는데 우연히도 그 사건 피해자가 17년 전 자신이 수화를 통역으로 자리했던 사건 피해자의 아들이란 걸 알게 된 아라이는 경찰 수사와 별도로 사건의 진상에 대해 의문을 느끼고 조사를 하게 되면서 17년 전의 사건과 현재의 사건이 연결되어있음을 알게 된다.
17년 전 자신이 수화 통역자로 참가했던 사건에서 용의자인 농인이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으며 누구도 그의 들리지 않는 목소리에 대해 귀 기울여 듣는 사람이 없을 뿐 아니라 자신조차 제대로 이의를 제기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을 가지고 있었던 아라이는 현재에도 농인 용의자에 대한 처우는 전혀 달라지지 않았을 뿐 아니라 서로 간 소통에 많은 문제가 있음을 깨닫고 그들의 편에서 도움을 주고자 하지만 자신을 환영할 것 같은 농인 사회에서도 그에게 의심의 눈초릴 보내고 질문을 던지다. 우리 편인가? 적인가?
늘 어딘가의 편에도 설 수도 낄 수도 없었던 코다라는 입장에서 어떤 길을 선택할지 고민하던 아라이는 어쩌면 누구의 찬성도 얻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사명감을 느끼고 사건에 임하게 된다.
우리가 장애인이라는... 우리보다 약하고 못한 존재라고 믿었던 농인들에게도 자신만의 언어가 있으며 자신들은 장애를 가진 사람이라고 여기지 않을 뿐 아니라 자신들만의 목소릴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놀라웠지만 살인사건이라는 소재를 통해 현실에서 그들이 처한 상황을 멋지게 그려내고 있다.
두 건의 살인사건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 과정을 그리고 있는 데프 보이스는 반전과 살인의 동기에 있어서도 멋진 미스터리 소설이었지만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사회적 약자에 대해서도 깊은 생각을 하게 한 작품이었다.
이 작품이 작가의 데뷔작이자 마쓰모토 세이초상의 최종 후보작이었다는 게 놀라우면서도 한편 납득이 되었고 작가의 다른 작품도 만나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