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스토리콜렉터 46
미쓰다 신조 지음, 현정수 옮김 / 북로드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가게되면 기대감도 있겠지만 이 집에 살았던 사람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하는 불안을 포함한 호기심도 있기 마련이다.

그런 사람들의 심리를 묘하게 파고든 사람이 우리에게 호러,스릴러로 유명한 미쓰다 신조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 책 `화가`는 작가의 집시리즈중 우리에게 두번째로 소개되지만 원래는 첫번째이자 모든것의 시작으로 얼핏 제목만 봐서는 무슨뜻인가 싶었지만 한자를 보고 내용을 본다면 재앙을 부르는 집,화가 미치는 집 이라고 볼수 있겠다.

어느날 갑자기 한날 한시에 부모를 잃은 소년 코타로는 할머니와 함께 살기 위해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그 집을 보자마자 코타로는 이 집을 알고 있다는 기시감을 느낄뿐 아니라 그 집에서 벗어나야한다는 강한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런 코타로의 불안은 옆집의 무섭지만 어딘가가 이상한 코쿠보 할아버지를 만나 그가 내뱉는 이상한 말`꼬마야, 다녀왔니?`라는 말을 들으면서 더욱 강해지지만 할머니가 걱정할까봐 내색하지않는다.

그날밤 2층의 자신의 방으로 가는 길에서 그것의 기척을 느끼고 그것이 쫓아오는걸 깨닫게 되면서 코타로의 악몽은 시작된다.

과연 그 집에서는 무슨일이 일어났을까? 코타로는 그 집을 어떻게 알고 있었던 걸까?

그리고 이 어딘지 무서운 집에서 코타로는 무사할수 있을까?

 

흉가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도 주인공은 어린 소년이다.

왜 하필 갓 중학교에 입학을 하는 소년을 주인공으로 삼았나 생각해보면 아직은 어리지만 소년에서 청소년으로 가는 경계에선 사춘기아이들의 불안한 심리가 어른들은 볼수 없는 이쪽과 저쪽의 경계에 선 그것의 본질과 닮아있고 그래서 가장 잘 파악할수 있는 능력과 어딘가 공명하지않나 짐작해본다.

우리에게 가장 편안하고 친숙한 집에서 낯선 무언가로부터 공격을 당하는데 하필이면 이런일을 당하고 미리 악한 기운을 느낄수 있는 대상이 쉽게 다른 사람들로부터 신뢰와 공감을 받을수 없는 아이들로 설정해서 어른들로부터 도움을 받을수도, 쉽게 비밀을 털어 놓을수도 없이 아이 혼자 고립시킴으로써 공포를 극대화하는 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귀신이나 원혼들과 달리 일본의 그것들은 뚜렷한 원한이나 복수와 같은 목적이 없어 마땅한 해결책이 없을 뿐 아니라 끝없이 재생되고 악행이 되풀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찜찜함과 꺼림찍함이 남는다.

끝나도 끝이 아닐것 같은 느낌이랄까?

3부작이라는 집시리즈의 마지막엔 또 어떤 원한이나 재앙을 보여줄지, 어떤 사연을 가진 집이야기를 들려줄지 그리고 그 끝은 이제까지의 사연을 아우르는 끝을 보여줄지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