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별 없는 아침
린우드 바클레이 지음, 박현주 옮김 / 그책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자고 일어났더니 나만 빼고 온가족이 사라져버렸다.

도대체 밤 사이 무슨일이 벌어진걸까? 왜 나만 남겨진걸까?

14살 어린 소녀 신시아는 자신을 가족을 죽인 범죄자로 보며 의심스러워 하는 눈초리에도 힘들었지만 왜 이런일이 생긴건지 이유도 모른채 남겨진 게 더 고통스러운 삶을 25년째 살아가고 있다.

자신을 사랑해주는 남편과 딸아이를 둔 주부로서의 삶도 만족스럽지만 이런 의문을 해소하지않는다면 온전한 삶을 살아가기 힘들다고 생각할즈음 방송국에서 그녀에게 생긴 일을 다루게 되면서 평화롭던 일상이 흐트러지고 침잠해 있던 일들이 떠오르기 시작하고 마침내 그토록 원했던 그날 밤 사건의 진실에 가까이 갈 수 있는 퍼즐조각들이 하나씩 맞춰지기 시작한다.

사건당시 14살에 불과하던 어른 소녀 신시아는 갑자기 온 가족이 사라졌다는 충격외에도 그 전날밤 꾸중하는 가족을 향해 `다 죽어 버렸음 좋겠어`라는 독설을 남긴 자신 스스로를 용서하지 못하는 죄책감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그리고 그런 소녀의 반항적인 태도는 경찰조사에서도 불리하게 작용하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가족을 죽였을지도 모르는 아이라는 의혹어린 시선에 괴롭힘을 당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방어적인 태도를 가진 날카롭고 예민한 어른으로 성장하게 된 계기로 작용한다

이렇게 극적인 삶을 살아가게 된 신시아의 이야기를 그녀 자신이 화자가 되어 설명해가거나 그녀의 시선으로 풀어가는 방식이 아니라 그녀를 사랑하지만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어 객관적이고 관찰자적인 입장을 가진 남편인 태리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태리의 입장에선 그녀 신시아를 사랑하고 그녀가 겪은 일이 충격적이라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벌써 사건이 발생한지 25년이 지났고 이미 자신들의 가정을 이루고 있는 상황에서 그 옛날에 벌어진 일에 연연하여 지금 현재의 삶이 일그러지거나 위축되는 걸 이해할수 없다.

하지만 아내 신시아는 이미 죽었을 것이 확실한 가족의 행방을 찾기 위해 지금의 가정이 위태로울수도 있는 선택을 하고 있으며 우연일수도 있는 작은 것들에 지나치게 예민하게 반응하며 주변사람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고 그 위태로움이 일상을 위협하는 현재의 모습을 태리는 납득하기가 어렵다.전화가 온 흔적이 없는데도 이상한 전화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누군가 자신들을 미행한다 주장하는 등 아내가 점점 이상해져간다고 불안해할 즈음 그들 부부가 고용한 사립탐정으로부터 놀라운 이야기를 전해듣는다.

그녀의 아버지가 서류상에는 존재하지않는 사람이라는...

비밀로 둘러쌓인 그날 밤 사건의 진실을 찾기 위해 하나하나 퍼즐을 맞추다보면 또다른 비밀이 등장하고 그 퍼즐은 이제까지 생각했던 것들을 뒤집는 결과가 되면서 좀처럼 사건의 진실을 알기 힘든 구조로 되어있다.

스토리자체도 흥미진진하지만 단지 사라지기한 했을뿐 확실히 사건이라는 것조차 밝혀지지않아 스릴러이면서도 피한방울 흘리지않고 사건다운 사건조차 발생하지않았으면서도 이토록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를 펼칠수 있다니 작자의 역량이 놀라울 뿐이다.

그러고보니 작가의 다른 작품 `네버 룩 어웨이`도 상당히 인상적으로 읽었던 기억이 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