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작별의 나날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알랭 레몽 지음, 김화영 옮김 / 비채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은 무한한것이 아니고 영원한것은 없다는걸 알면서도 늘 사람은 영원을 꿈꾼다.

누군가의 말처럼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이미 죽음의 카운트 다운은 시작된거라고 하지만 어느순간 문득문득 시간의 제한을 깨닫을때마다 깜짝깜짝 놀라서 살아온 나날을 되돌아보기도 하고 다시는 되돌아오지못한다는걸 새삼 깨달으며 허무해지기도 한다.

이렇게 누구나 알고는 있지만 살아가는 동안 하루하루가 그날의 최후가 될수도 있음을 평소에는 자각하지못하다가 문득 주변사람의 갑작스런 부고를 듣고는 아..우리가 영원히 사는게 아니구나 하는 걸 깨닫는 순간이 올때면 살아가는게 무섭기도 하고 별일 아닌것에 화를 내거나 사람을 미워하는것만큼 부질없는게 없다는 걸 새삼 깨닫기도 한다.

이렇게 사람의 삶이 무한하지 않고 어느날 갑자기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의 순간이 올수 있음을 알게 해주는 책이 바로 이 책 `하루하루가 작별의 나날`이 아닐까 생각한다.

 

저자인 알랭 레몽의 자전적 소설인 이 책에는 단순히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만을 이야기하지않고 있다.

어린시절 남들보다 많은 형제자매로 둘러싸여 넉넉하진않지만 아이들끼리 서로를 보살피고 늘 웃음이 있어 행복하게만 느껴지던 그 시절의 작별을 고한건 아빠와 엄마가 서로 사랑하지않는다는걸 깨닫는 순간이었으며 그걸 깨닫는순간 행복했던 어린시절이 끝났으며 더 이상 어린아이가 아닌 성장을 하게 된 알랭은 어느순간부터 집에 돌아오면 늘 엄마와 큰소리로 싸우기만 하던 아버지를 끝내 이해하지 못한 채 영원한 작별을 고하게 된다.이렇게 아무것도 몰라서 매일매일이 행복하기만 하던 때에서 어느날 내 눈에 씌여진 뭔가가 떨어져나가고 진실이 보이는 순간이 바로 어린시절과 작별하는 순간이 아닐까?

그리고 그렇게 행복하던 어린시절을 잊고 살던 그에게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한게 바로 그때 그와 가족이 살았던 트랑의 그 집이 헐리게 되었다는 소식이었고 마침내 그 집에서 있었던 유년시절의 기억을 글로 적고 기억함으로써 스스로의 전쟁을 끝낼수 있었던것 같다.

행복하지만은 않았던 유년시절의 기억을 그린 작품이 `하루하루가 작별의 나날`이었다면 `한 젊은이가 지나갔다`에서는 저자 자신이 걸어온 길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구도자의 길을 걷고 싶었던 이유의 태반이 어린시절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의해 자연스럽게 꿈꿨던 것이라면 청년이 되어 자신이 만났던 사람들과 자신이 봤던 것들로 인해 가치관이 달라지고 끊임없이 자신의 길에 대한 의문과 스스로의 갈등에 대한 이야기를 쓰고 있다.

어린시절의 이야기와 가족의 이야기가 주를 이룬 `하루하루가 작별의 나날`은 읽으면서 누구나 그런 경험을 가지고 있기에 쉽게 공감을 할수 있었고 누구라도 비슷한 경험을 통해 어느순간 어린시절과 작별하게 되고 아이에서 청년으로 성장하게 되는 과정을 겪기에 더욱 그가 쓴 덤덤한 문체의 이야기가 가슴에 와닿았다면 저자본인의 경험과 고민이 주를 이룬 `한 젊은이가 지나갔다`는 비록 고민하고 갈등하는 주제는 다르지만 젊은 시절 누구라도 자신이 걸어온 길 혹은 걸어가고자 하는 길에 대한 고민이나 갈등이 있기에 그의 고민과 갈등하는 마음에 대한 이야기가 와닿기도 했다.

좀 더 긴 인생을 살아온 저자는 아마도 삶이 무한하지않고 유한하며 매일매일을 서로 사랑하며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쓴 게 아닐까 생각한다.

지금도 앞이 보이지않는 미래에 대해 두려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걸어온 길을 덤덤하게 이야기해주는 그에게서 뭔지 모를 가슴 뜨거움과 약간의 위로를 받는것 같다.

책을 읽는 내내 어린시절이 순간순간 떠오르기도 하고 아련한 슬픔같은게 느껴진건...나 역시 나이를 먹은탓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