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줏간 소년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패트릭 맥케이브 지음, 김승욱 옮김 / 비채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이다보니 특히 아이들이 학대받거나 부당한 처우를 받고 있는 걸 다룬 소재의 책은 읽기가 왠지 불편하다.

그런 책의 대부분이 부모로부터 엄청난 학대를 당하거나 혹은 학교같은 곳에서 왕따를 당하고 있는 아이의 고통을 주로 이야기하는데 정상적이지못한 부모나 주변사람에 비해 한없이 여리고 약한 아이가 심적 불안과 고통에 시달리며 방황하다 구원을 받거나 누군가의 도움을 통해 그곳에서 탈출한다는 설정이 대부분이라 아이의 고통이 극명해도 결국에는 구원 내지는 탈출한다는 걸 알고 있음에도 역시 그 과정을 함께 겪는 느낌은 불편하기 그지없다.

이런 대부분의 공식과도 같은 과정을 무시한 책이 바로 아일랜드의 소설가인 `패트릭 매케이브`가 쓴 이 책 `푸줏간 소년`이다.

동명의 영화가 개봉되기도 하고 연극으로도 유명한 이 작품은 소년이 무너져가는 과정이 너무나 현실적이라 읽기도 불편하고 다 읽고나서도 우울함을 떨치기가 쉽지않았다.

 

 

 

프랜시브레디에게는 늘 술에 취해 있는 아빠와 그런 남편의 폭력에 지쳐 항상 자살을 시도하는 엄마가 있다.

이웃과 주변사람들로부터 받는 멸시의 시선과 비웃음에도 견딜수 있었던 건 프랜시에게는 친구 조가 있었기 때문이고 늘 위태로운 듯하지만 그럼에도 자신에게는 따뜻한 엄마가 있었기때문인데 이런 엄마의 기대를 저버리는 일이 일어난건 젠체하는 태도와 깔끔한 옷차림으로 그들 가족에게 경멸과 혐오의 시선을 보내는 누전트부인이 등장하고부터이다.

그녀의 시선과 태도에서 자신의 처지를 절실히 깨닫게 된 프랜시가 스스로를 그녀가 말한 돼지라고 칭하며 자신의 가족을 안줏거리삼아 수선거리고 비웃어 대는 마을사람들에게 마치 조롱하듯 정면으로 비꼬기 시작하고 누전트 부인에 대한 적대감을 발현하게 된다.그리고 이때부터 조금 불안정하던 프랜시의 정신세계가 허물어지기 시작해서 환각이 보이고 망상을 겪으며 모든 잘못된 일의 근원을 누전트로 인한것이라는 피해망상에 시달리게 되면서 자멸의 길을 걷게 된다.

누전트부인의 외아들 필립의 등장은 프랜시에게 자신도 모르는 새 그들의 삶을 동경하게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그런 무의식은 엄마를 배신하는 결과가 되면서 프랜시의 삶은 무너져내리는 결말을 맞게 되는데 그 과정이 자뭇 끔찍하다.

작은 마을이라 모두의 생활을 속속들이 알수 있기에 그들이 브레디 집안 사람을 겉으로는 걱정하는 체 하지만 비웃고 경멸하는 태도를 보이는게 잔인하게도 보이고 위선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그들 마을 사람들의 모습이 나와 내 주변 사람들의 모습과 그다지 다르지 않기에 편하게 그들을 욕하기도 어려운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더 이 책을 읽는게 불편하게 다가온다.

늘 술에 취해 주변에게 민폐를 끼치고 자신의 가정을 보살피지않는 가장과 그런 남편에게 늘 맞고 살면서 정신병원을 들락거리는 아내와 그런 부부사이에 태어나 엉뚱한 행동을 하며 난폭한 짓을 일삼는 문제아들이 주변에 있다면...나 역시 그런 사람들 곁을 얼씬거리지않고 내 아이가 그런 아이와 친하게 지내지 못하게 막았을 것이 분명하기에 프레디가 그 사람들 앞에서 스스로를 돼지라고 칭하며 비웃듯이 말하는 장면이 속을 들킨듯 불편했다.

조금 엉뚱하고 약간 망상을 지녔지만 그래도 평범하게 보이던 프래디가 모두가 그렇게 될것이라 생각하듯이 결국 무너져 내리게 된 데에는 그런 사람들의 시선과 태도가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런 모두의 대표가 바로 누전트 부인이었기에 그녀를 향한 프래디의 맹목적인 적의가 조금은 이해가 되기도 했다.마치 그녀와 그녀 가족만 등장하지않았어도 겉으로는 문제아지만 조금은 평범하게 살수 있었을것처럼...

아마 그가 꿈꿔왔던 가정의 모습이 누전트가족의 모습이기에 어떻게 해도 그들과 닮아질수 없는 자신의 가족을 직시하게 한 그들이 밉고 싫었을것이고 자신의 유일한 친구인 조 마저 그 가족과 친구가 된 모습에서 프래디는 도저히 견딜수 없었을 것이라는 걸 알수있게에 결국 그들의 관계는 파국으로 치달을수 밖에 없는 결말은 당연한 귀결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불안정한 가정에 태어나 불안한 생활을 하던 소년 프래디는 걱정과 위안하는 척만 하고 아무도 도움을 주지않았을 뿐 아니라 경멸의 시선을 보내며 배척하는 모두에게 결국 스스로를 놓아 그들이 원하던 모습을 보여줌으로 통렬하게 비웃어 주고 있다.

혼잣말을 하며 환상을 보고 망상을 하는 소년 프래디의 고백과 독백, 대화 모두과 뒤섞여 읽기에 녹록치않고 남과 다른 환경을 지닌 사람들에게 위로와 걱정을 하는 척하지만 사실은 조금도 걱정하지않고 오히려 자신에게 피해를 주지않나 전전긍긍하는 우리의 모습을 맨얼굴로 보는듯해서 불편할만큼 현실적인 소설이었다.

피와 광기와 폭력 그리고 뒤틀린 웃음이 섞인...편안하지않은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