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자의 심판 모중석 스릴러 클럽 38
프레드 바르가스 지음, 권윤진 옮김 / 비채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추리소설과 크라임소설계에 유럽파가 대세인건 더 이상 뉴스도 아닌데 초기의 북유럽쪽에서 이제는 전 유럽의 다양한 나라의 장르소설들이 소개되고 있어 장르소설을 사랑하는 나에게 바랄나의 없는 희소식이다.

특히 프랑스의 심리스릴러나 범죄소설은 기존의 문학작품과 조금 다르게 대중성을 갖추고 있는데다 심리묘사에 두드러진 특징을 보이고 있어 프랑스소설은 재미없고 딱딱하며 난해하다고 생각하던 나의 기존 입장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프랑스 추리소설의 여제라고 불리우는 프레드 바르가스의 이 책 `죽은 자의 심판`은 특히 파리 강력계의 형사이자 기존의 형사반장과 너무 다른 수사기법을 보이는 아담스베르그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일종의 시리즈로 다소 엉뚱하고 몽상가적인 중년의 남자로 섹스어필하거나 모성본능을 일으키는 기존의 형사캐릭터완 확실히 다른 매력을 보여주며 시리즈를 이끌어가고 있다.

 

 

 

죄를 지었지만 교묘하게 법망을 피해간 사람들을 처단하러 나타나는 신의 대리자같은 전설의 성난군대

오랜세월 이 전설이 지배하는 노르망디의 작은 마을에 또 다시 성난군대를 본 예언자가 그 표적에 대해 이야기하는 순간 작은 마을 오르드벡은 공포와 혼란이 뒤덮게 되며 표적이라 지목된 사람중 한 사람이 사라졌다 시체로 발견된 순간 전설은 마침내 눈앞의 실체가 되어 나타난다.

오르드벡과 거리가 떨어진 파리 강력계에 나타난 한 부인의 요청으로 이 사건에 발을 디밀게 된 아담스베르그는 파리에서 일어난 자동차방화살인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약간의 시간이 필요했던 터라 이 사건의 수사 요청을 수락하게 되고 마침내 전설이 지배하는 그곳으로 가게 된다.

 

책속에 등장하는 아담스베르거라는 인물은 상당히 독특한 수사를 보여주고 있다.

증거와 각종 과학 장비의 도움을 받은 과학적 수사기법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경찰수사와 전혀 다르게 눈으로 보는 모든것을 기억하고 거기에 상상력과 영감을 덧붙여 나름의 그림을 그리고 그 그림에서 빠진 조각을 찾아다니는 일종의 조각그림맞추기와 같은 기법을 보이고 있어 상당수의 범인을 잡은 그의 이력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런 수사 기법에 못마땅한 팀원도 있지만 그들의 이런 불만 아닌 불만은 오히려 수사에 플러스로 작용하고 있어 환상의 팀웍을 보여주고 있다.

서로 앙숙이지만 급할땐 멋진 팀웍을 발휘하는 형사들이 있고 엄청난 덩치를 가진 여자지만 남자보다 강력한 힘을 가지고 스스로 생각하며 작전을 구사하는 여형사가 있으며 시도때도 없이 먹어야하는 형사와 잠이 많아 곤란한 형사가 있다.

얼핏 엉터리 같은 이런 팀원들이 이들보다 더 엉터리같은 형사반장인 아담스베르그를 중심으로 허술한듯하지만 결국에는 올바른 길로 접어들어 결국엔 증거조차 없는 범인을 색출하는 과정이 더디지만 흥미로운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곳곳에 유머코드가 숨겨져있어 살벌하기 그지없는 살인의 현장에서도 그 잔인함이 어느정도 상쇄되는 효과가 있다.

길거리에 흔하디흔한 비둘기를 괴롭히는 것 하나까지도 예사로 보지않는 그의 성격과 자신이 생각하는 것과 본 것의 차이를  정리되지않은 채 중얼거리듯 하는 장면을 보면 왠지 정신사나운듯한 느낌도 들지만 이런 점이 그와 기존의 형사들과의 차이라고 본다면 오히려 캐릭터가 확실해지는 느낌이다.

성난군대라는 전설을 이용해 잔인하기 그지없는 살인사건을 일으키는 범인을 찾는 순간순간에 번뜩이는 영감이 엉뚱하게도 파리에서 벌어진 자동차방화살인사건의 범인을 범죄를 입증하는 증거가 되는 장면을 보면 그 기발함에 놀라게 된다.

다소 몽상가적이면서도 번뜩이는 영감을 가지고 작은것에도 예사로 보지않는 그의 따듯하면서도 엉뚱한 면이 시리즈를 이끄는 매력으로 작용하는 게 아닐지...

확실히 기존의 형사캐릭터와 다른 매력을 보여주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