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넘브라의 24시 서점
로빈 슬로언 지음, 오정아 옮김 / 노블마인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어릴적에 여러가지 꿈 중에 하나가 서점주인이 되어 원하는 책이랑 읽고 싶은 책을 맘껏 읽으며 여유작작하게 살아가는 거였다.

커서보니 이제는 서점은 어느덧 사양직종중 하나가 되어 온라인이나 대형화되지못하면 작은 서점은 살아남지 못하는 환경이 되어

책을 좋아하는 사람중 한 사람으로써 안타깝기 그지없는 상황이다.

하지만...어쩌면 어디쯤엔가는 이렇게 24시간 열어두는 서점이 있다면 그것도 나름 운치있지않을까 생각해본다.

만약 없다면 내가 한번 해봐도 괜찮을것 같기도 하고...

책을 읽으면서 내내 이 책의 제목처럼 24시간 열어놓는 서점이 있다면 한번쯤 가보고 싶고 책속의 서점 주인인 페넘브라를 한번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왠지 그와는 말이 잘 통할것도 같고...

 

웹디자이너로 잘살아가다 경기가 불황인 탓에 갑작스런 실직을 하게 된 클레이는 여러곳에 이력서를 내지만 취업은 쉽지않다.

고민하던 중 문득 눈에 띈 한 곳이 바로 서점...것도 24시간 문을 여는곳으로 서점이름은 페넘브라 서점

좋아하는 책에 대해 물어봐서 취업을 결정하는것도 특이하지만 요구조건도 상당히 특이한 이곳은 오래된 책들로 가득할뿐 아니라 이른바 뒤쪽 목록이라고 부르는 책은 절대 열어봐서도 안된다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일자릴 잃어버릴것을 두려워하는 클레이는 페넘브라가 말한 조건을 절대적으로 지키고 있었지만 그의 오랜친구들이 서점을 방문하면서 그의 호기심이 동하게 된다.

그리고 서서히 드러나는 뒤쪽 목록의 정체와 그 책을 빌려가는 사람들의 정체가 드러나고 호기심을 이기지못한 클레이는 업무일지를 몰래 가져가 컴퓨터를 이용해서 퍼즐을 풀게되고...

 

조금 특색있고 특이한 서점이 엄청난 수수께끼와 비밀을 간직한 단체와 연관이 있고 그 속에 상상도 못할 엄청난 비밀이 숨겨져있다는 설정이 일종의 판타지같은 전개지만 판타지보다는 지적게임에 더 가까운 내용이다.

오래된 비밀을 풀기위해 수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오랜세월 연구하고 공부하지만 찾기 힘들었던 퍼즐조각을 구글이라는 만인의 검색엔진을 이용해서 단시간에 비밀 가까이 접근한 클레이와 친구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마치 오늘날 빠르고 급변하는 시대의 변화를 바라보는 구시대의 시선과도 닮아있다.

비밀을 풀기위해 변화된 환경과 도구를 이용해서라도 적극적으로 풀어볼려는 페넘브라와 오래된 방식 그대로를 고집하며 모든것을 예전과 똑같은 형식을 취할려고 하는 코르비나...비밀을 둘러싼 둘의 대립은 왠지 `장미의 이름`이 생각나게 한다.

이 책에서는 구글과 같은 최신의 기기나 기구들이 모든것을 해결하고 모든것의 답을 알고 있다고 맹신하는 요즘 세대에게 아주 오래전부터 내려온 방식이 반드시 요즘의 것보다 못하거나 어리석은 방식만은 아니라는걸 알려준다.

그럼에도 수많은 컴퓨터들이 오래전 한 사람이 남긴 그 비밀을 밝히기위해 동시에 가동하고 답을 찾는 그 장면을 상상하면 장관이 아닐수 없다.

단순히 책을 사고 파는 서점이라는 공간을 이렇게 은밀한 비밀이 숨겨져있는 매력적인 곳으로 바꿔놓은 이책...매력적이고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