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회화전 - 지상 최대의 미술 사기극 밀리언셀러 클럽 133
모치즈키 료코 지음, 엄정윤 옮김 / 황금가지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고흐라는 사나이를 보면 늘 참으로 불쌍하게 살다간 비극의 인물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그가 그린 유명한 그림도 인상적이지만 철저하게 비극적인 그의 일생 역시 그의 그림을 빛내는 데 한몫을 하는 장치로 여겨지는 건 너무 잔인한 말일지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늘 고흐 하면 맨먼저 떠으로는게 광기로 자신의 귀를 자른 인물이라는 수식어가 생각난다.

그런 고흐의 그림중에서 해바라기나 별이 빛나는 밤과 같은 유명세를 덜 치른 작품중 버블이 한창일 시기 미술계를 돈의 힘으로 그야말로 좌지우지 했던 일본인이 엄청난 거금으로 사들여 유명세를 치른 작품중 하나가 `가세박사의 초상`이라는 작품이었는데..

이 책은 그 작품을 둘러싼 희대의 사기극을 유쾌하고 통쾌하게 그려내고 있다.

마치 그 옛날 마지막 치밀했던 반전으로 오랫동안 사람들 입에 오르내렸던 영화 `스팅`의 한장면이 생각나는 작품이라고 할수 있을 정도로 읽는 동안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한다.

 

런던의 미술품 경매회사 루비에 묘한 긴장감이 흐른다.

한 작품을 둘러싸고 두 사람이 치열하게 각축전을 벌인 가운데 묘령의 일본인이 그 작품을 드디어 손에 넣게 되고 그렇게 사람들의 눈에서 고흐의 작품인 가세박사의 초상은 사라지게 된다.

그렇게 십여년이 흐른후 모두의 기억속에서 사라졌던 그림이 엉뚱한곳에서 떠오르게 된다.

한 은행의 그림창고에 잠자고 있던 그림이 부자집 아들로 태어나 평생을 일다운 일없이 그저 부모의 등골을 빼먹던 소스케와 긴자의 호스티스 출신이며 빚때문에 도망다니는 신세가 된 아카네 두사람의 막무가내로 밀어부친 은행강도짓에 의해 강탈당하게 되고 그림의 소유를  둘러싼 신경전이 치열해지는데...

 

책내용에서도 그런 말이 나오지만 고흐의 다른 작품에 비해 탁월하지도 특별하지도 않은데 왜 하필 가세박사의 초상일까?

하는 궁금증이 일어서 찾아보니 실제로 그 작품을 일본인이 그 당시 사상 최고가로 사들였다는 내용이 있는걸 보고  어느정도 납득하는 마음이 들었다.

당시 신문이나 뉴스에 종종 일본인들이 벌이는 돈잔치가 자주 거론되었는데 외국의 유명한 건물이나 부동산은 물론이고 그림까지 싹쓸이하다시피하던 일본인들을 걱정반 우려반의 시선으로 바라보던 서양인들이 많았던걸로 기억한다.

심지어는 일본이 세계유명문화재며 건물을 싹쓸이하는걸 국가적 차원에서 막아야한다는 우려섞인 말들까지 나왔었는데 가만보면 그때가 일본의 경제가 한창 버블이 커질때였던것 같다.

특별한 안목도 명화에 대한 관심도 없이 그저 돈을 굴리는 수단이자 재테크의 요소로 그림을 봤던 당시의 미친것 같던 미술시장에 대해 통찰력있고 조리있는 설명으로 작품을 더욱 빛내고 있는데 우리에게 그 당시의 일본의 분위기나 우리가 잘 모르는 미술계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꾼이자 작품에서 중요한 작전 설계자인 시로타가 돈이 궁해 막다른 곳에 이르게 된 두 사람 즉,소스케와 아카네에게 같이 그림창고에 쳐박혀있다시피한 명화들을 훔치자고 유혹할때 그림이 왜 그림창고에서 아무의 관심도 없이 숨겨져있다시피한지 들려주는 대목에선 절로 한숨이 나온다.

모두가 볼수있고 모두에게 사랑받을 그림을 단순히 돈불리는 수단으로 취급한 사람들의 대표적 인물인 이케타니가 벌이는 행태는 대범하다못해  어의없을 정도로 그 과정이 단순하지만 그 피해는 잔인할정도로 크기에 그가 당하는 대목에선 속이 후련함을 느낀다.

일순 단순해보이던 과정이 뒤로 갈수록 치밀해지고 복잡해지면서 그 과정을 따라가는 독자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안겨주는 반전까지..

과연 일본 미스터리 문학 대상 신인상을 수상할만한 작품이 아니었나 싶다.

이 작품을 쓰기 위해 작가가 얼마나 치열하게 조사하고 공부했는지 알수있었고 그런 작가의 노력이 빛나는 작품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