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황의 하루 - 오늘, 일본 황궁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
요네쿠보 아케미 지음, 정순분 옮김 / 김영사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에게 잔혹한 상처를 준 일본의 천황이기에 관심도 없었고 사실 알고 싶지도 않았던 이야기지만 그럼에도 최근에 읽은 우리나라의 왕들의 모습과 비교해서 일본인의 한사람이 아닌 천황은 어떠한 삶을 살았는 지 궁금해서 읽게 된 책이었다.

모든것이 규율속에 억압된듯한 삶을 살았던 조선의 군주..그리고 군왕의 품위를 지키며 왕권을 강화했던 몇몇 왕들을 제외하고는 오히려 신하들이 득세해서 처세에 자유롭지 못하고 군신의 나라라고 일컬어졌었던 조선의 왕들에 비하면 일본의 천황은 세속적인 왕의 느낌보다는 보다 더 존귀한 존재로서의 대접을 받은것 같다.

`신격화`

이 단어가 제일 적당한 표현이 아닐까 싶은데 그런 천황에게도 세속적인 규율이 존재했으니 생각보다 궁궐의 생활이 편치않고 녹록치않은 점은 조선의 왕들과 차이가 없는 것 같다.

천황의 하루는 비교적 규칙적으로 이루어져있어서 늘 아침은 8시에 기상을 했다.

조금 일찍 일어나는것도 늦잠을 자는것도 주변에서 그를 돕는 사람들에게 피해가 가는 일이라 항상 일정한 시간에 기상을 해서 `오히-루`라는 권전시의 외침을 필두로 마치 말전하기 게임처럼 신분과 절차에 따라 각자에게 전달되었다.

이책에서 소개되는 천황은 메이지천황으로 그 유명한 메이지 유신에 성공하여 개혁을 이루고 청일전쟁,러일전쟁을 일으키고 우리나라와 합병을 해서 일본제국주의의 기틀을 다진 사람이지만 밖으로 보이는 면과 달리 그는 비교적 소박하고 주변사람들에게도 세심한 신경을 쓴 군주로 보인다.시종들에게 승마를 권하고 다양한 운동을 제안하는가 하면 비교적 한가하고 나른 한 오후를 보내기에 적당한 수예를 권장하기도 하는 등 주변에서 볼때의 그는 잠시도 가만있지 못하는 성정을 지녔고 새로운 문물에 대한 관심이 높은 군주였었던것 같다.서양양식을 먹는 방법을 배우고자 노력하고 아침식사로 프렌치 스타일의 조식을 한 천황은 밖의 건물은 서양의 궁정양식을 받아들이면서도 안으로는 전통을 잇고 오히려 에도사회보다 더 폐쇄적인 모습의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는 메이지궁전처럼 검소하고 서민적으로 보이는 모습에다 다이아몬드를 좋아해서 자신이 좋아하는 이들에게 선물도 주는 사치를 하는 양면적인 모습을 보인다.

아침에 일어나서부터 취침에 들기까지 비교적 엄격한 규율이 있고 그 규율을 따르며 전통을 지키고자 노력하는 가운데

일본의 근대화에 압장서서 제국주의의 기틀을 마련했던 인물인 메이지 천황은 알려진것처럼 소박하고 검소하다기보다는

호기심이 많고 늘 주변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데 기존의 천황이나 다른 나라의 군주보다 더 열린 마인드의 소유자가 아니었을까 한다.

`나이기 `라는 천황자신의 사적인 공간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비록 높은 지위의 여성들임에도 불구하고 넉넉치않은 사람들임을 감안해서 자신이 먹는 음식을 풍족하게 만들어 그 음식의 일부만 먹고 나머지는 그들에게 먹도록 해서 그들의 넉넉치않은 살림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든지 하는 부분은 우리나라 군주의 식사와도 비슷한 부분인것 같다.

이웃나라여서인지 우리나라의 왕들과 비슷한 부분이 많은데..계급에 따라 옷차림이 다른거라든가 식사를 하는 부분에서도 독살을 우려해서 몇단계를 거쳐 천왕앞에 오는 부분 그리고 그 넓디넒은 궁궐에서 대부분 여관이라는 여자들에게 둘러쌓여 그들의 보살핌속에 살고 있는 부분은 우리의 왕들과도 비슷하다.

갑갑한 궁궐에 살고있는 천황의 일상속의 하루를 아침 점심 저녁 그리고 밤에 잠자리에 들기까지의 과정을 세심하게 그려놓아서 우리나라의 왕들과 비교 해 보는 재미가 있었고 마냥 군림하며 자유롭게 살았을것 같은 천황도 짜여진 규율속에 살면서 급변하는 세상에 맞춰 개혁하고 변하고자 했던 노력들이 보였다.

그리고 그런 천황을 보필하는 여관들과 전시 권전시를 비롯한 많은 시중들의 역활을 읽는 재미도 괜찮았다.

비교적 낯설었던 천황의 하루를 들여다보는 재미를 준 책이었고 생각보다 어렵지않아서 읽는 재미도 좋았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