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하루 - 실록과 사관이 미처 쓰지 못한 비밀의 역사 하루 시리즈
이한우 지음 / 김영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안다고 생각하는 왕의 모습은 늘 여인들의 처소를 들락거리며 신하들의 맹공에 휘둘리고

이런저런 계파에 갈피를 못잡고 위로는 중국을 받들고 아래로는 백성들위에 군림하면서 현실과 거리가 먼 정치를 하는

그야말로 왕손으로 태어나 평생을 편안하게 그저 맛난 진미나 먹으며 놀고먹는 쪽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아마도 이렇게 생각하게 된 영향은 주로 드라마에서 비쳐지는 왕의 모습이 늘 여인들 치마폭에 둘러쌓여 있거나 신하들의

정치에 휘둘리는 허약한 군주의 모습이 인상깊은 까닭이 아닐까 싶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특히 조선의 왕들이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 몇몇의 군주를 제외하고 신하들의 파당정치에 휘둘린게 사실이기도 하니 몇몇의 왕을 제외하곤 억울할것도 없지않을까 싶다.

이 책 `왕의 하루`는 역사를 뒤바꾼 운명의 그 하루에 대해 왕의 시선으로 변명아닌 변명을 하고

이에 걸맞는 보충설명과 역사적 사실을 곁들이는 방식으로 왕뿐만 아니라 여러사람의 운명을 바꾼 그 하루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물론 평상시의 왕의 하루에 대한 설명도 하고 있지만 역사적인 그 날의 하루만큼 드라마틱하고 짜릿한 하루가 또 있을까? 바로 어제 우리나라에서도 다음 5년의 임기를 이끌어갈 대선이 있었기에 왕의 하루가 더욱 의미있게 읽혀졌다

그저 편한대로 살고 맛있는것만 골라먹으며 여유자적하리라는 예상과 달리 왕의 하루는 새벽 4시부터 바쁘게 시작 되어 웃분들게 문안을 드리고 조찬전에 가벼운 음식으로 입맛을 돋우고 공부를 한 후 아침 10시가 되어서야 비로서 조찬을 한다.

이런 왕들이 일과를 마치는 건 오후5시가 되어서이고 그 이후로 많은 역사가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책에선 크게 3파트로 나눠서 운명의 날을 바꾼 하루와 군신이 격돌한 전쟁의 하루 그리고 조선의 왕들의 일반적인 하루를 이야기하고 있는데...1편과 2편은 정권이 뒤바뀐 하루를 그렸다는 점에서 비슷한 이야기의 연결이다.

조선 역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사건들인 연산군의 이야기나 태종 이방원의 왕자의 난 그리고 세조의 왕위 찬탈사건과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른 중종 반전에 대한 주요 이야기가 그려져있어서 재미있게 읽을수있었다.

특히 우리가 알고있던 사실과 조금 다른 정도전에 대한 평가와 정조 이산에 대한 글 그리고 연산군에 대한 평가가 흥미로웠다.또한 이성계와 그가 조선을 건국하게 된 배경이 재밌는데..자신의 뜻과 전혀 달리 운명이었음을 알수있다.

역시 나라를 세우는 건 한 사람 혹은 몇몇사람들의 뜻만으로 이룰수있는것이 아님을 알수있는데...그런 그에게도 세자 책봉에서의 미진한 실수가 훗날 1,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고 또한 천재라고 알려진 정도전과의 방원이 운명의 대립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이렇듯 당시의 운명의 소용돌이에 휩쓸린 사람은 객관적일수 없기에 역사는 훗날 평가가 된다고 하지만 전후의 사정이나 그 인물이 이후에 취하는 행동들을 미뤄서 유추해보거나 되짚어보는등...당사자가 아닌 사람으로서 그들의 이야기를 읽는 것은 확실히 재미가 있다.잘 몰랐던 사실을 깨달아가는 재미 역시 무시 못하는 재미중 하나인듯...

대선으로 나라의 주인이 바뀐 시점에서 이 책을 읽는 기분은 확실히 묘하다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왕인 그들조차도 마음대로 할수없는 일이 많았고 혈연과 혹은 지연으로 맺어진 관계나 당파에 의해 갈리는 정치적인 현안들..마치 현실속의 정치와 다른 점이 거의 없지않은가?

당파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사안들도 그렇지만 심지어는 왕조차도 갈아치우고 강력한 신권을 행사하던 당대의 권력자들은 어쩜 수백년이 흘러도 변하지않고 있는지...

역사는 되풀이 된다고들 한다.웃기는 소리라고 생각했지만 길게 보면 조선의 역사랑 크게 다른 점이 없는것 같아 답답하다.

중국의 눈치를 보고 강대국들 사이에 치여서 자주적인 목소릴 내지못하는 지금이 왕이 바꿨다고 혹은 세자가 책봉됐다고 명에 고해서 첩지를 받던 그 시대와 단 한발도 나아지지않았다고 생각하는 건 지나친 생각일까?

또한 세자시절부터 제왕학을 수련하고 오랫동안 왕이 되는 공부를 했던 사람들도 현실의 정치에선 제대로 된 뜻을 펴기 힘들었던것을 보면 오늘날 나라의 수장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이 그만큼 공부하고 또 고민을 했는지 물어보고 싶다.

나라의 군주가 잘 못되면 그 백성들의 삶이 얼마나 힘들고 황폐해지는지 역사는 알려주고 있다.

오늘 최고의 자리에 오른 분들도 예전의 왕만큼 노력하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여줬음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래저래 생각이 많아지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