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여름 - 개정판
소메이 다메히토 지음, 주자덕 옮김 / 아프로스미디어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한창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복지제도의 형평성이다.

연금도 그렇고 저소득층 지원 문제에 있어서도 그렇다.

분명 사회안전망을 보충하기 위한 제도의 취지는 좋으나 그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 부정수급하거나 연금의 고갈 문제로 정작 제대로 납부했던 사람이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많은 공분을 사고 개선을 요구하지만 이런저런 이해관계로 인해 쉽지 않은 현실이다.

이 책 나쁜 여름에서 다루는 게 그런 문제 중 하나로 주인공인 26세의 사회복지과 생활보호대상자 관리 직원 마모루가 유난히 무더웠던 여름에 겪은 일을 다루고 있다.

그가 담당하는 복지 대상자 중에도 분명 가짜 수급자가 있지만 그들은 오히려 뻔뻔하게 눈앞에서 거짓말을 일삼으며 오히려 마모루와 같은 케이스워커를 비웃기까지 한다.

마모루 역시 이 일을 하면서 조금의 노력조차 하지 않은 채 그저 나라에서 주는 생활보조금을 타서 살아가는 수급자 그중에서도 부정수급자에 대한 시선이 고울 수가 없는 상태였지만 단 하나의 사건으로 그는 깊은 나락으로 추락해간다.

마모루가 어떻게 성실한 청년에서 제대로 된 판단조차 하지 못하는 모습으로 추락하게 된 건지 그 나락의 과정을 담고 있는 나쁜 여름은 요코미조 세이시 미스터리 대상의 우수상 수상작품으로 이번에 영화화되면서 새롭게 재출간된 작품이다.

입소문이 난 작품답게 가독성 좋고 무엇보다 우리가 현재 안고 있는 문제를 고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 현실감 있게 와닿는 작품이었다.

책 속에서도 나오지만 어디에서도 도움받을 길이 없어 도움을 청한 모자 가정이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생활보조금을 받지 못하고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장면에선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가 느껴졌다.

반면에 충분히 자신의 생활비를 벌 수 있는데도 아무런 노력은 하지 않은 채 마치 눈먼 돈처럼 생활보조금을 지원받는 걸로 모자라 더 받아내기 위해 범죄마저 망설임 없이 저지르는 다른 수급자들의 모습은 사회복지제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부분이었다.

물론 재미를 위해 그런 부분에 중점을 두고 과장한 것도 있지만 현실에서도 번번이 부정 수급자의 실태를 고발하는 시사프로를 본 적이 있어 더 몰입하며 읽게 만든다.

이런저런 문제가 많지만 그럼에도 책 속에서 가장 나쁜 놈으로 나오는 야쿠자가 하는 말이 이 사회의 문제점을 가장 적확하게 찌르는 말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중간까지도 언제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르는 긴장감이 흘렀다면 중간 이후부터 폭주하면서 궤도를 이탈해 너무 가버린 게 아닐까 하는 아쉬움이 남았지만 재미와 사회고발을 잘 살린 작품이 아니었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