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홉 명의 목숨
피터 스완슨 지음, 노진선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8월
평점 :
대놓고 아가사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참고로 했다는 이 작품 아홉 명의 목숨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가 피터 스완슨의 작품이다.
이제까지의 작품과는 조금 결이 다른 이 작품은 처음부터 아홉 명이 누군가의 표적임을 보여준다.
즉 그들이 누군가에 의해 살해될 사람이지만 그들이 왜 살해 표적이 되었는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이 작품은 범인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 들은 왜 죽어야 하는지 그 동기도 밝혀야 하는 과제지만 중반 이후까지 좀처럼 범인의 목적을 밝혀내기가 쉽지 않다.
그런 반면 희생자가 될 사람들의 면면은 평범하기 그지없어서 그들이 왜 범죄 피해자가 돼야 하는지 그 이유가 드러나지 않는다.
좀처럼 공통점이 드러나지 않아 다소 지지부진한 가운데 마침내 하나의 단서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범인이 왜 이런 일을 벌여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조금씩 해소되기 시작하지만 왜 그들이어야 하는지... 왜 지금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은 다소 떨어진다.
어느 날 발신자의 이름이 없는 편지가 도착한다.
거기에는 아무런 설명 없이 그저 아홉 명의 이름만 쓰여 있을 뿐...
그 편지를 받고 누군가는 별생각 없이 치워버리거나 쓰레기통에 버리고 누군가는 찜찜함을 느끼지만 누가 이런 편지를 자신에게 보냈는지를 궁금해한다.
그리고 누군가는 이 편지에 쓰인 명단을 보자마자 곧바로 이건 살인 명단이라는 걸 간파한다.
그걸 일찍 간파한 사람은 아홉 명중 FBI에 소속된 제시카
그녀는 이 명단 속 사람들을 찾아 연락을 취하지만 누구도 그 명단 속 사람을 아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만 깨닫는다.
하지만 그녀는 이 명단의 의미와 그 속에서 누군가를 알아보면서 그들의 공통점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지만 그녀 역시 살인자의 손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의 내용처럼...
이제까지 읽었던 작가의 작품의 특성은 치밀함이나 복잡하게 짜인 복선 같은 게 아니라 단순하면서도 명쾌하고 살인을 하는 데 있어 감정이 있기보다 마치 버라이어티 쇼처럼 화려하게 눈길을 사로잡는 오락성에 있다고 보는데 이번 작품에선 그런 화려한 오락쇼 같은 맛은 없다.
아마도 작가하면 떠올리는 그런 부분이 아니라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싶은 작가의 마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작가의 이전 작품 같은 화려함이나 의외성을 기대한다면 다소 아쉽게 느껴질 수도 있다.
나 역시 스토리 전개 방식이나 살인의 목적 같은 부분이 조금 아쉽게 느껴진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