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다운
피터 메이 지음, 고상숙 옮김 / 북레시피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 몇 년간 전 세계를 옴짝달싹하지 못하도록 사로잡았던 팬데믹 상황

지긋지긋하지만 아직도 인류는 코로나19 바이러스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고 또 다른 변이가 나올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팬데믹 상황이라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두고 이런저런 말들이 많이 나오는 건 어쩌면 당연한 지도 모르겠다.

개중에는 발발 시점이나 장소가 불분명하다는 걸 들어 누군가에 의해 의도적으로 나온 바이러스라는 말도 나오고 온갖 음모론이 등장한다.

아마도 이 책 락다운을 쓴 작가 역시 이런 점에 초점을 맞춘듯하다.

알고 보면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고통받기 전에 이미 소설의 초안을 완성한 듯하지만 그 내용이 너무 허무맹랑하다는 이유로 어떤 출판사에서도 소설로 출간하기를 거절했다는 내용이 있었는데 요 몇 년간 전 세계를 휩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얼마나 많은 희생자를 냈는지를 생각하면 당시 출판사의 판단에도 어느 정도 수긍이 가기도 한다.

팬데믹의 진원지가 된 런던은 계엄령이 내려진 상황이라 마치 유령도시처럼 폐허 상태가 되었다.

그런 가운데 수많은 환자를 임시보호할 병원을 짓는 현장에서 가방에 들어 있는 어린아이 유골이 발견되고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아들과 함께 할 시간을 마련하기 위해 경찰청 근무를 그만두기로 한 맥닐 형사는 이제 근무 시간이 불과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이 사건 수사를 맡게 된다.

그리고 맥닐의 연인이자 두개골 전문가인 에이미에 의해 유골 상태인 아이의 복원이 이뤄지고 그 작업으로 인해 죽은 아이가 중국계 여자아이이자 심한 구순구개열을 지닌 채 태어난 상태임이 밝혀진다.

사방에서 걷잡을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엄청난 치명률로 죽어나가는 상황이라 동양 여자아이의 죽음에 관심을 두는 사람은 없지만 맥닐은 모든 관심과 역량을 아이에게 쏟는다.

맥닐에게는 그럴 이유가 있었는데 하나뿐인 아들과 함께할 시간을 얻기 위해 형사를 그만두지만 그 아들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손쓸 틈조차 없이 죽었기 때문이다.

그런 맥닐의 뒤를 누군가가 은밀하게 쫓는다.

그의 이름은 핑키라 불리는 킬러

그는 누군가의 명령으로 맥닐을 뒤를 쫓으며 그가 접촉하는 사람들 모두를 하나둘씩 처리해나간다.

그가 왜 그 사람들을 죽이는지는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지만 핑키에게 명령을 내린 사람은 왜 그토록 죽은 아이의 정체가 드러나는 걸 막으려 했을까?

이야기의 모두 초점은 바로 거기에 달렸다.

그들이 그토록 숨기고자 하는 아이의 정체는 뭔지 왜 그 아이는 그런 죽음을 맞아야만 했는지...

하룻밤의 기한을 남겨두고 작은 단서를 쫓아 하나둘씩 단계를 거쳐 점점 더 실체에 다가가는 맥닐

그리고 그런 맥닐의 뒤를 따르면서 그가 만났고 접촉했던 사람들을 모두 살해하며 쫓는 킬러

단 하나의 살인사건의 진실을 막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걸 보면 분명 여자아이의 죽음에는 뭔가 심상치 않은 비밀이 숨겨져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살인사건의 수사와 별개로 팬데믹이 발생한 후에 벌어지는 일련의 사태들... 사람들끼리 서로 접촉을 꺼리고 거리의 많은 상점은 약탈당한 채 폐허처럼 변하고 거리는 군인들에 의해 통제가 된 채 마음대로 왕래할 수 없는 상황 등 소설 속에서 그려지는 장면들은 우리가 요 몇 년 동안 지켜봐온 상황과 비슷해서 흥미롭다.

그래서일까

맥닐이 단서를 쫓아 하나둘씩 진실을 향해 가면서 드러나는 사실은 그다지 놀랍지 않다.

어쩌면 우리가 상상했던 그 상황과 그다지 다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맥닐이 너무 쉽게 그 실체에 다가가는 모습에 긴장감이 떨어지기도 한다.

드러난 진실 역시 생각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고 무엇보다 죽은 여자아이가 중국 출신이라는 점이 코로나19를 바라보는 작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했다.

팬데믹 상황을 다른 점 때문에 엄청 관심을 두고 읽었지만 전체적으로 너무 느슨한 전개라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점 그리고 결정적으로 어필할 만한 점이 부족하다는 게 아쉽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