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별 인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무라타 사야카 지음, 최고은 옮김 / 비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나 사회적 문제를 날카로운 비판과 은유로 고발해오던 작가 무라타 사야카

단순히 사회현상과 사회문제를 고발하기 보다 여기에다 작가의 상상력을 더하고 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들며 소설적인 재미를 곁들여 디스토피아를 그려내는 데 탁월한 솜씨를 발휘하고 있다.

가장 유명한 편의점 인간도 그렇고 소멸 세계에서도 그렇고 상당히 충격적이고 자극적으로 이야기를 끌어가지만 문제는 그 내용이 터무니없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더 오싹하게 느껴진다.

이 책 지구별 인간도 그 범주에서 그렇게 멀어지지 않았다.

자신을 스스로 마법 소녀라고 칭하는 나쓰키를 처음 봤을 땐 어딘가 지능이랄지 사회성이 다소 떨어지는 아이일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럼에도 언니를 바라보는 시선이라든지 할아버지 집에서의 이야기를 보면 남과 조금 다를 뿐 상상력이 풍부하고 제법 통찰력도 있는... 흔히 말하는 4차원의 사고를 가진 아이 일 수도 있겠구나 싶었다.

하지만 조금 더 들여다보면 나쓰키의 일상은 학대받는 아이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다.

언제나 감정 과잉인 상태에서 자신의 화풀이 대상으로 나쓰키를 대하는 엄마와 그런 아내를 보면서 모른 척 외면하는 방관자 아빠 그리고 자신의 외모에 대한 콤플렉스와 학교에서 어울리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분노와 좌절감을 동생에게 퍼붓는 언니... 스스로를 쓰레기통으로 칭하는 것만 봐도 이 집안에서 나쓰키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런 가족들의 학대는 나쓰키로 하여금 낮은 자존감을 가지게 했고 모든 게 자신의 잘못이라 생각하도록 만들었는데 그런 나쓰키의 위치와 감정을 재빨리 간파한 어느 누군가는 자신의 성적 만족감을 위해 나쓰키를 이용한다.

갈수록 나아지기는커녕 점점 더 고립되고 힘들어지지만 그런 나쓰키를 누구도 도와주지 않는다.

그런 그녀를 유일하게 이해해 주고 공감해 주던 사촌 유우와 좀 더 자주 만나고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면 나쓰키는 조금 달라질 수 있었을까?

하지만 두 사람은 둘만의 결혼을 한다면서 가족들을 충격에 빠뜨린 그날 이후 성인이 될 때까지 만날 수 없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자신에 대한 확신이 사라져갈 즈음 지금의 남편인 도모오미를 만난다.

도모오미 역시 폭력적인 집안에서 정서적으로 학대를 받아 성과 번식에 대해 극단적인 거부감과 혐오를 가지고 있었지만 그런 집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결혼이 필요했었고 이런 조건들이 맞아 나쓰키와 가정을 이뤘다.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그저 한 집안에서 각자의 생활을 하면서 만족하는 두 사람이지만 그런 평범한 일상도 잠시... 도모오미 역시 사회에 적응하기 쉽지 않아 결국 다니던 회사에서 해고되고 휴식을 취할 겸 해서 나쓰키의 할아버지 집으로 가게 된다.

그리고 그곳에서 어릴 적 유일하게 이해해 주던 유우를 만나 셋은 마침내 자신들에게 출산을 강요하고 공장처럼 모든 걸 똑같이 규격을 맞출 것을 요구하는 이 세계를 거부하기로 결정한다.

자신들은 지구별 사람이 아닌 다른 행성에서 온 사람들이기에....

그들 세 사람이 살기로 결정한 뒤부터 이야기는 파격적이고 충격적으로 흘러가지만 오히려 그들의 모습이 점점 더 안타깝고 슬프기까지 했다.

결국은 자신과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이 세계가 그들에게 가하는 폭력에 끝까지 저항하는 그들은 결국 이길 수 없는 싸움이라는 걸 조금만 생각해도 알 수 있지만 세 사람은 마치 어린아이들처럼 그냥 닥치는 대로 살면서도 별다른 걱정조차 하지 않을 정도로 순수하다.

그런 모습 즉 자신들과 다른 삶을 살고자하는 모습이 누군가에게는 오히려 더 두렵고 공포스럽게 느껴질 수 있음을 알기에 이들이 결국 파멸하리라는 걸 짐작할 수 있었다.

조금의 다름도 인정하지 않는 획일화된 사회에서 남과 다르다는 게 얼마나 힘들 수 있는지... 그리고 출산에 관한 문제조차도 개인의 선택이 아닌 사회 필요에 의한 강요를 받는 지금의 모습을 날카로우면서도 충격적으로 그리고 있는 지구별 인간은 처음엔 흥미롭게 읽다 뒤로 갈수록 강해지는 충격파에 다 읽고 난 뒤 정신이 멍함을 느꼈다.

어쩌면 작가의 작품 전체에 흐르는 주제...모든것에서 획일화를 강요하고 개인에게 출산을 의무처럼 느끼도록 강요하는 지금 사회에 대한 경종을 울리는 걸 작가는 스스로의 의무라고 생각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