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제목을 보면서 느낀 게 아... 내 마음이랑 비슷하구나 하는 동질감이었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부족한 게 개인과 개인 간의 사적인 거리 두기가 아닐까 생각한다.
누군가 혼자 있으면 같이 있어주려고 하고 뭔가 고민이 있는 건 아닌지 물어보기도 하는 등... 어찌 보면 정이 많고 타인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라고 할 수 있겠지만 혼자만의 시간을 원하거나 개인적인 공간이 필요한 사람에게 한국 사람의 이런 지나친 관심은 피곤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는 걸 간과하면 안 된다.
담담하게 자신의 감정이나 느낌을 적어내려간 에세이는 사실 지나치게 개인적으로 느껴져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데 이 책은 상당히 젊은 감성이면서도 그 삶의 통찰의 깊이가 20대라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묵직하면서도 예리하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에서 공감이 가기도 했고 놀라며 감탄하는 부분도 있었다.
이를테면 냄새가 배다 같은 글은 지나간 연예에서 자신도 모르는 새 배어버린 습관과 행동을 보면서 안쓰러움과 안타까움을 느끼는 저자의 심정이 잘 드러나있다.
특히 지나간 연예의 흔적을 김치통에 깊이 배어버린 김치냄새로 비교하는 부분에서 아... 이 작가가 상당히 예민하고 감수성이 풍부하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대부분의 글에서 깊은 우울과 자존감이 떨어져 있다는 걸 느꼈을 수 있었다.
아마도 이별을 겪은 지 얼마 안 돼서 쓴 글에 특히 그런 느낌이 강하게 들었는데 연예를 해보고 헤어짐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이런 감정을 십 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언제나 연예를 할 때는 지금 이 감정이 영원할 것 같았고 이 사랑이 끝까지 갈 거라 믿었지만 헤어짐의 순간이 오면 연애할 때의 감정은 어느새 사라지고 습관이 된 익숙함이 싫어 이별을 고한다.
그러고는 깊은 우울과 자괴감도 느껴지고 또 실패했다는 느낌에 자신이 한없이 작아지고 싫어지기도 한다.
많은 글들이 지나간 그 사람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만 질척거리는 감정이 없이 담백하게 느껴지는 점도 좋았다.
전체적으로 글은 마치 일기처럼 혹은 누군가와 대화하는 것처럼 어떤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써 내려갔는데 글 곳곳에서 지나간 연인과의 사이에서 느꼈던 감정이나 그 사람에게 이야기하는 것처럼 쓴 글도 있었고 어떤 날에 있었던 작은 단상 같은 일상도 있어서 작가의 다이어리를 몰래 같이 보는 느낌도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