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광
렌조 미키히코 지음, 양윤옥 옮김 / 모모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범죄와 가장 무관하고 안전할 거라고 믿었던 집에서 대낮에 한 아이가 실종되었다.

그 아이의 곁에는 치매를 앓고 있는 노인 한 사람뿐이었고 아무도 그 아이의 행방을 알지 못한다.

아이의 행방을 찾는데 가장 도움이 될 노인은 증언을 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고 가족들이 몇 시간을 찾아 헤맸지만

결국 아이는 싸늘한 시신으로 발견된다.

그것도 집안에서...

아이가 집안의 나무 밑에서 매장된 채 발견되었기 때문에 집안사람들 모두 용의선상에 오르게 되고 각자의 알리바이를 각자의 입으로 진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백광은 작가의 다른 작품과 마찬가지로 심리묘사가 탁월할 뿐 아니라 특유의 아름다운 문체로 어른들의 욕망과 질투라는 가장 추악할 수 있는 감정을 끄집어 내고 있다.

가족들의 증언이 나오면 나올수록 이야기의 흐름은 좀처럼 종잡을 수도 짐작할 수도 없는 방향으로 끌려간다.

자신의 아이를 귀찮아하던 엄마는 대낮에 아이를 언니에게 맡기고선 한다는 짓이 자신보다 휠씬 어린 남자와의 밀회를 즐기는 것이었고 매번 자신에게 귀찮은 일을 맡기고선 방종한 생활을 즐기는 동생이 너무 싫으면서도 한마디도 싫다는 거절을 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한 언니는 동생을 향한 질투와 미움이 절정을 치닫고 있었다.

자매의 관계가 이렇게 애증으로 서로를 향하고 있다면 두 사람의 남편은 이런 상황을 방관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언니의 남편은 회사에선 냉철하고 유능하지만 집에선 말도 없고 별다른 애정을 표현하지도 않으면서 곧잘 불륜을 저지르는 뻔뻔한 모습으로... 그리고 동생의 남편은 늘 화려한 생활을 하면서 줄곧 남자를 바꿔가며 즐기는 아내에게 한마디도 못한 채 묵묵히 견디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들여다보면 모두가 이렇게 어딘가 삐뚤어지고 엉클어진 채 서로를 견디고 있지만 언제 무너져도 이상하지 않았던 상태... 아이의 죽음은 결국 이런 두 가족의 위태로움을 무너뜨리는 계기가 된다.

겉으로는 아이와 함께 단란한 가정을 꾸리며 살아가는 듯했던 두 가정의 실상은 이렇듯 속속들이 곪아 있을 뿐 아니라 서로를 못 견뎌하면서도 누구 하나 이 연극을 그만두려 하지 않았고 서로 상대가 멈춰주기를 바라기만 했었다.

서로를 참지 못했던 미움과 원망 그리고 질투의 화살은 결국 이 들 중 가장 연약하고 스스로를 방어할 능력이 없었던 4살짜리 아이에게로 향했고 끝내는 아이의 죽음이라는 파멸적 결말을 불러온 게 아니었을까

책 속에 등장하는 치매 노인의 환각에는 늘 찌를듯한 햇살과 눈이 부시게 밝은 정글의 태양이 나온다

그리고 그 찌를듯한 햇빛 아래 자행되었던 그날의 범죄를 회상하는 장면은 이 사건의 복선처럼 느껴진다.

단순해 보이는 사건이 이야기를 진술하는 사람에 따라 범인이 달라지고 조금씩 빠진 부분이 보충되면서 맞춰진 전체적인 그림은 처음 생각했던 것과 완전히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아이를 죽인 범인이 누구였는지 끝까지 가서야 밝혀지지만 어느 누구 한 사람도 혐의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들 각자에게는 아이를 죽일만 한 동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들여다보면 웬만한 막장 드라마보다 더 얽힌 이 들의 관계는 자칫하면 진부한 삼류 드라마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작가의 필력은 이 막장 드라마조차도 개연성 있게 그려서 독자들을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끝까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범인의 정체까지도 어느 것 하나 허술 한곳이 없는 작품이었다.

읽고 범인의 정체에 놀라지않았다면 환불하겠다는 출판사의 자신감이 이해되는 부분

오래전 읽은 책이었지만 다시 읽어도 좋았던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