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닝 룸 RHK 형사 해리 보슈 시리즈 17
마이클 코널리 지음, 한정아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제 사건 담당반인 해리

이번에 새로운 신참을 파트너로 맞는다.

그녀의 이름은 루시아 소토... 그녀는 공무 중 피격사건으로 동료를 잃고 살아남은 전력을 가지고 있다.

그녀와 해리가 맡은 첫 번째 사건은 결혼식이나 파티에서 전통음악을 연주하던 단원이 총격을 당한 사건이었다.

10년 전 거리에서 날아든 총알로 신체의 일부를 못쓰게 된 거리의 악사 메르세드가 그때의 총격이 원인이 되어 사망하면서 이제 이 사건은 살인사건으로 전환되었고 오래전 범인을 검거하지 못한 채 미제 사건으로 보슈에게 넘어왔다.

피해자의 몸에서 꺼낸 총알이 말해주는 진실은 그 총격이 이제까지 진실이라 믿었던 단순한 우발적 범행이 아니라 저격에 의한 총격이었고 어쩌면 범인이 노린 건 메르세드가 아닌 다른 사람일 수도 있음을 밝혀내면서 수사는 급물살을 탄다.

그리고 그때 당시 범인이 노렸던 상대를 찾아가 그로부터 범인을 특정할 수 있는 단서를 얻게 되지만 용의자는 권력의 중심부와 가까이 있는 사람이라 쉽게 접근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미 모든 증거는 돈과 권력의 힘으로 말끔히 없애버린 후였다.

한편 경찰을 비롯해 언론의 관심을 집중적으로 받는 메르세드 사건을 수사하면서 루시아는 또 다른 미제 사건을 조사하다 해리에게 발각된다.

그 사건은 20여 년 전에 벌어진 사건으로 평범했던 아파트 쓰레기장의 화재로 그 아파트의 불법 어린이집에 있었던 어린아이를 포함 9명의 사상자를 낸 사건이었다.

하지만 단순히 실화에 의한 화재로 알았던 사건이 누군가에 의한 방화였음이 밝혀졌을 땐 수많은 증거는 사라지고 난 뒤였고 수사는 미제 사건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다.

그때 그 화재에서 살아남은 루시아는 늘 부채감을 가지고 있었고 그녀가 경찰이 된 이유 중 하나가 그때 사건의 범인을 찾고자 한 때문이었다.

미제 사건이 된 지 수십 년의 세월이 흘러 증거는커녕 뚜렷한 단서조차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작은 조각들을 끌어모아 하나씩 그날 사건의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이 지루할 틈 없이 흥미롭게 그려져있는 버닝 룸

그 과정이 억지스럽거나 과장되지않고 사건은 어떻게 해결되는지 보여주는 그 과정이 흥미로웠다.

가끔씩 외신 뉴스를 보다 보면 수 십 년 전의 살인 사건의 범인을 검거했다는 소식을 들을 때가 있다.

수 십 년이 지났어도 잊지 않고 사건을 해결하는 모습도 좋았지만 당시에는 못 잡았어도 과학의 발전으로 이젠 작은 단서가 있으면 범인을 검거하는 게 좀 더 용이해져 범인은 언젠가는 꼭 잡힌다는 교훈을 주는 것 같아 반가웠다.

우리도 미제 사건 전담반이 있고 오래된 사건을 해결하는 경우를 봤지만 좀 더 적극적으로 미제 사건을 수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나저나 언제나 간당간당하던 해리가 이번엔 또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지 아니면 이 참에 아예 다른 길을 걷게 될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