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집 투자자들 - 25명의 투자 전문가가 밝히는 성공 투자 비법
조슈아 브라운.브라이언 포트노이 지음, 지여울 옮김 / 이너북 / 2021년 7월
평점 :
절판


온 세상이 주식이나 코인, 부동산을 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지난해부터 재테크 열풍이 불었는데 이 모든 게 어쩌면 미래에 대한 불안의 크기를 나타내는 게 아닐까 싶다.

고용 없는 성장, 넘쳐나는 유동성 자금 거기에다 팬데믹 상황까지 겹쳐서 앞날이 불투명하다 생각하는 젊은 층까지 모두 재테크에 올인하는 지금 상황은 분명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이번을 기회로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고 바람직한 투자를 하는 계기가 되면 좋을듯하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보다 먼저 재테크에 성공해 안정적인 위치에서 경제적 자립에 성공한 사람들 중 25명의 성공 사례를 담아 놓은 이웃집 투자자들은 현실적인 조언을 담고 있어 재테크에 관심을 가진 사람에게 도움을 준다.

각처에서 성공한 25인들의 사례를 들여다보면 사소한 부분에서는 각자가 처한 상황이나 성향 상의 이유로 다른 부분이 있지만 크게 보면 공통점이 있다.

일단 그들은 투자를 하기 전 경제적 자립을 우선했다는 점이다.

안정된 직장을 가지고 있거나 고정 수입이 있는 경우 모두 자신의 집을 가지고 있어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황에서 투자를 한다는 점이 눈여겨볼 만한 부분이다.

집을 사는 것에도 성향에 따라 누군가는 빚을 지기 싫다는 이유로 자신이 가진 돈의 범위에 맞춰 집을 사거나 대출을 받더라도 부담이 크지 않는 내에서 가급적 빨리 대출을 갚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또 다른 사람은 빚내서 집사는 걸 두려워하지 않고 레버리지를 이용해 부동산 투자를 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들 모두 집을 소유하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투자를 함에 있어 자신만의 원칙으로 투자 원칙을 세워놓고 가족 구성원의 동의하에 진행하고 있어 서로 다른 가치관의 차이로 싸움이 나는 걸 배제하는 영리함을 보여준다.

또 다른 공통점은 크든 작든 자신이 가진 돈 중 일부는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주식이나 주식용 펀드에 투자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작년부터 주식투자를 하는 계층이 넓어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저에는 주식투자를 위험하거나 투기의 일종이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다.

누군가는 퇴직하기 전까지 주식투자를 하거나 펀드에 가입하는 것을 투자라고 보는 가하면 또 다른 누군가는 그걸 투기라고 생각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투자에 있어 자신만의 가치와 신념이 있는가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투자를 할 때 자신만의 원칙이 없는 경우 주위 사람들의 말에 휩쓸려 샀다가 파는 걸 되풀이하다 보면 정작 손에 남는 건 별로 없고 이런저런 일로 스트레스만 받는다.

그런 사람들이 대부분 주식을 투자가 아니라 투기로 인식하게 되는 경우

책을 읽으면서 우리와는 너무 다른 투자환경이 부러워 한숨이 나왔다.

401K F라는 퇴직연금제도도 그렇고 오랫동안 그 가치를 평가받아온 믿음직한 투자회사나 다양한 펀드, 각종 ETF 등 수없이 다양한 종류의 투자 상품들...

돈이 있어야 좀 더 여유로운 삶을 살 수 있다는 걸 부정할 수 없다.

그렇다면 앞으로도 다양한 재테크에 관심을 가져야만 할 것이고 그러기 위해선 자신만의 투자 원칙을 세워놓고 투자하는 기본 원칙을 절대로 잊어선 안될 것이다.

제목부터 친근하게 다가온 이웃집 투자자들... 우리와 다른 부분들이 있지만 그럼에도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읽어두면 도움이 될 책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