즈우노메 인형 히가 자매 시리즈
사와무라 이치 지음, 이선희 옮김 / arte(아르테)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작인 보기 왕이 온다는 전형적인 일본식 호러물이었고 그 맥락 없고 근본도 없는 공포가 독자를 사로잡았다면

후속작인 이 책 즈우노메 인형은 읽으면서 오래전 읽은 공포 소설의 스테디셀러인 링을 많이 연상케했다.

책 속에서도 드러내놓고 작품 링에 대한 찬사를 보내고 있는데 이 즈우노메 인형의 저주 역시 링처럼 저주가 담긴 물건을 본 사람 여기서는 원고가 되겠지만 그 원고를 읽은 사람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저주를 받아 죽는다.

검은 후리소데를 입고 얼굴에 붉은 실을 칭칭 감은 인형이 찾아와 그 사람을 죽이는데 걸린 시간은 원고를 읽고 불과 4일!

원고를 읽고 4일이면 그 사람은 죽는다.

게다가 눈앞에 그 저주의 인형이 시시각각 자신과의 거리를 좁혀오는 게 보이는데 무서운 건 다른 사람들의 눈에는 그 인형이 보이지 않고 오로지 저주의 대상만이 그 인형을 볼 수 있다는 게 공포의 가장 강력한 요소다.

도시에 떠도는 수많은 저주에 대한 기사를 주로 싣고 있는 잡지사 월간 불싯의 작가 중 한 사람이 원고를 마감하지 않은 채 연락이 두절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그리고 그 작가의 집을 찾아 간 두 사람이 발견한 건 두 눈이 사라진 채 죽어 있는 작가였고 그의 곁에는 불에 타다 만 원고가 있었다.

그다음은 이미 짐작한 대로 그 원고를 사건 현장에서 몰래 가져온 남자가 잔인하게 죽임을 당하지만 그가 죽기 전 작가의 집에 같이 간 동료이자 작가의 편집자인 후지마에게 원고를 보여주며 읽어보라고 권했을 뿐 아니라 나중에는 어서 빨리 읽으라는 재촉 통화를 하던 중에 이상한 비명과 함께 죽어버렸다.

그제서야 심각성을 인지한 후지마의 눈에도 어느샌가 그 인형이 보이기 시작했고 그런 그와 같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작가의 후임으로 온 오컬트 작가 노자키와 그의 약혼녀 히가 마코토가 힘을 합해 저주의 시발점이 된 원고에 대해 조사하기 시작한다.

원고에는 한 소녀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집에서도 사랑받지 못하고 학교에서는 지독한 왕따에 시달리던 그 아이 기스기 리호

오컬트 소설이나 공포소설을 좋아하던 중학생 여자아이는 또래와 다르다는 이유로 심한 따돌림을 당하고 있었을 뿐 만 아니라 당시 유행하던 소설 원작의 영화 링에 나오는 저주의 주인공을 본떠 사다코라 불리고 있었다.

그 아이가 일기처럼 써 내려간 원고에 자신처럼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했지만 자신과 마찬가지로 무서운 이야기나 괴담을 좋아해 도서관에 와서 책을 찾아 읽던 아이... 역시 자신과 마찬가지로 사다코라 불리던 아이와의 교류 노트를 통해 도시 전설인 즈우노메 인형에 대해 알게 된다.

즈우노메 인형의 이야기가 도시 전설이 된 과정은 알게 되지만 그 저주를 풀 수 있는 방법은 요원한 상태로 점점 더 인형은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이제는 편집자인 후지마 뿐만 아니라 자신을 돕기 위해 같이 원고를 읽은 노자키와 그 약혼자인 마코토 세 사람의 목숨이 경각에 달린 상황...

더 이상 어찌해볼 수 없는 상황에서 특단의 조치를 취하고자 하는데 과연 그 게 뜻대로 될까?

원고 속의 소녀 리호가 처한 상황은 누가 봐도 안타까울 수밖에 없다.

한 부모 가정으로 사는 게 팍팍하고 엄마는 밖으로만 돌며 집을 늘 비우는 상황이라 자신이 학교에서 당하는 따돌림에 대해 의논조차 할 수 없어 자신이 좋아하는 소설만 파고들지만 그것조차 평범하지 않다는 이유로 모두에게 외면받는 소녀의 심경이 잘 드러난다.

공포의 밑바닥에는 자신을 공격하는 무엇의 정체를 알 수 없거나 혹은 왜 자신에게 이런 짓을 하는지를 모를 경우 해결책을 찾을 수 없기에 더더욱 두렵고 공포스러울 수밖에 없는데 저자 사와무라 이치는 그런 부분을 잘 건드린다.

보기 왕에서도 그렇고 저주받아 목숨이 위태로운 사람이 왜 이런 상황에 처하게 된 건지 뚜렷한 이유가 없어 해결책도 없이 그 대상과 마주해야하는 공포스러운 상황... 그 상황에서 필연적으로 느끼는 극한의 두려움과 공포를 실감 나게 묘사하고 있다.

자신이 어찌해볼 수 없는 상황에서 시시각각 목을 죄어오고 더욱 두려운 건 그런 두려운 대상이 오로지 자신의 눈에만 보일 뿐 아니라 매일매일 그 거리를 좁혀온다는 걸 자신만 안다는 것

저주의 원인을 알 수 없어 더 공포스러울 수밖에 없고 단순히 원념을 품은 저주가 아니라 대상조차 구분되지 않는 무차별적인 공격을 가해 온다는 점에서 지극히 일본스러운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