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월
존 란체스터 지음, 서현정 옮김 / 서울문화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안가를 콘크리트 벽으로 둘러싸고 밤낮없이 경계를 서는 이곳에 2년간 경계병으로 의무를 다 하기 위해 온 남자 조셉 카바나

벽 위에서의 근무 중 추위를 견뎌야 하는 것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힘든 건 12시간 동안 혼자서 잠시도 한눈을 팔지 않고 경계를 서야 하는 것이다.

만약 끊임없이 벽을 넘어 이곳으로 오기 위해 시도하는 상대를 놓친다면 그곳을 지켜야 했던 경계병들은 벽을 넘어온 상대의 수만큼 이곳에서 상대가 넘어온 바다로 추방되고 그것은 곧 생명의 위협을 받는다는 걸 의미하기에 한시도 경계의 눈길을 놓쳐선 안된다.

이렇게 음산한 모습을 그리고 있는 더 월의 배경은 섬 전체를 둘러싼 장벽을 두고 지키려는 자와 넘어오고자 하는 사이의 목숨을 건 투쟁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지켜내지 못하면 자신이 쫓겨나야 하는 만큼 서로에게 절실한데도 카바나가 지키는 벽의 모습은 조용하고 고요하기만 하다.

그래서 웃음기 없이 엄격하게 규율을 강조하는 대위의 모습에도 불구하고 바다를 보며 경계를 서는 모습은 긴장감이 별로 없었는데 이런 분위기가 변한 건 카바나가 몇 번의 휴가를 얻고 보초를 서는 것에 익숙해질 즈음 궂은 날씨를 틈타 상대가 침입해오면서이다.

상대 역시 생존이 달린 문제다 보니 그만큼 절박하기 마련이고 서로를 향해 총부리를 겨누지만 상대의 침입을 눈치챈 카바나의 빠른 판단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이로 인해 팀은 훈장을 받게 되지만 당연하게도 카바나 일행의 불운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점점 드러나는 벽이 가진 의미와 진실은 씁쓸하기 그지없다.

해수면이 상승하고 기후변화로 인해 언젠가부터 줄어든 한정된 자원을 두고 전쟁 아닌 전쟁이 벌어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 이로 인해 섬 전체를 둘러싼 벽이 생겼으며 이런 환경을 만든 기성세대에 대한 반감은 부모 자식 간을 멀어지게 만들었고 대부분의 젊은 사람들은 출산을 기피했으며 2년간 벽에서 보초를 서야 하는 의무가 생겼다.

지키려는 자도 벽을 넘어서려는 자도 기성세대도 현재의 세대도 모두가 벽을 세우고 서로를 향해 전쟁을 벌이고 있는 모습은 암울하기 그지 않지만 지금의 우리와도 크게 다르지 않다.

언젠가부터 자국민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국제사회가 서로를 향해 무역의 벽을 높이 세우기 시작했고 빈부의 차이는 점점 더 심해지고 있으며 빨리 변해가는 세상으로 인해 세대 간의 벽도 두꺼워져 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래서인지 섬 전체를 둘러싸 콘크리트로 벽을 세워 바다로부터 오는 상대를 목숨 걸고 지키는 모습이 난민이나 이민자를 향해 세운 날카로운 경계 같기도 하고 고갈된 자원으로 인해 추위에 떨고 지금까지와 다른 생활을 해야 하는 모습은 한정된 자원과 자연을 아낄 줄 모르고 함부로 사용하는 우리의 미래를 향한 경고로 보인다.

카바나 일행이 추방되어 상대의 입장에 설 것이라는 건 당연히 예상한 결과였기에 놀랍지는 않았다.

하지만 석유가 없고 전기가 없어 어둠과 추위 속에 떨면서 바다를 떠도는 모습도 그렇고 그런 이유로 음식조차 익혀 먹지 못해 아주 오래전 원시시대를 사는 사람처럼 날 것으로 먹어야 하는 모습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이라 낯설게 느껴졌는데 가만 생각해보면 늘 우리 곁에 있어 소중함을 몰랐던 전기나 불이 없다면 이런 방식의 음식 섭취는 당연하다. 그렇게 보면 카바나 일행이 처한 상황이 더 잔인하게 느껴졌다.

게다가 그나마 남은 걸 차지하기 위해 서슴없이 총을 겨누고 약탈하는 해적의 등장은 작게 남은 희망의 불씨마저 꺼트릴 정도로 암울하게 느껴지는데 단순히 그들이 처한 모습을 그린 것만으로도 소설 속 미래의 모습이 얼마나 어두운지 알 수 있다.

소설에서는 물리적으로 콘크리트로 벽을 세워 외부로부터의 모든 접근을 막는다는 설정이지만 지금 현재 지구 곳곳에서 벌어지는 모습을 그렸다는 걸 알 수 있기에 생각해야 할 부분이 많았다.

카바나처럼 언제든 내가 상대가 될 수도 있음을...작가가 말하고자하는 건 이런게 아니였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