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첩보전 1 - 정군산 암투
허무 지음, 홍민경 옮김 / 살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지라고 하면 완독한 사람은 많지 않지만 그 내용을 모르는 사람 또한 거의 없을듯하다.

도원결의를 맺은 유비 관우 장비의 이야기를 비롯해 조조와 제갈공명 동탁 등등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영웅호걸을 비롯해 온갖 전술과 전략으로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천하를 얻고자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바로 삼국지

그 중 특히 사람들이 좋아하고 관심을 많이 가진 부분은 이 들 각국의 인물들이 서로 나라의 명운을 걸고 임한 전투에서 보인 온갖 전술과 전략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책 삼국지 첩보전은 바로 그 부분 ...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좋아하는 이름난 전투에 숨겨진 이야기와 그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다른 나라에서 정보를 훔치고 때로는 속임수를 쓰는 등 전투만큼 치열했던 은밀한 첩보전을 다루고 있다.

저물어가는 왕조인 한나라에서 세 개의 나라로 쪼개어진 위. 촉, 오는 서로를 겨누고 있는 관계다

그중에서도 가장 세력이 큰 조조의 위나라는 한나라 왕가의 핏줄이라 칭하는 촉의 유비와 대립관계이지만 자신들에 비해 열세라고 생각해 무시하고 있던 중 명장 하후연이 이끈 35만의 부대가 전략상 중요한 요지인 정군산전투에서 생각지도 못한 패배를 하고 하후연 마저 목숨을 잃는다.

이 전투에서 한선이라는 첩자가 나타났으며 군사기밀이 이 한선에 의해 노출되었음을 알게 되지만 그 누구도 한선의 정체를 아는 사람이 없다.

위왕 조조가 촉과의 전쟁을 이끌기 위해 대군을 이끌고 간 한중에서도 생각지도 못한 촉의 반격에 변변한 승리를 거두기는커녕 허도로 돌아갈 길마저 여의치 않다.

이곳 역시 촉의 첩자가 활약하고 있어 중요한 정보가 술술 세 나가고 있었고 위왕과 그의 책략가인 정욱은 양수에게 의심의 시선을 돌린다.

양수는 바로 위왕의 아들 조식의 오른팔 격인 인물로 집안 대대로 나라에 충성하고 개국공신의 집안이었을 뿐 만 아니라 부와 명예에 관심이 없어 가장 의외의 인물이지만 그렇기에 그가 바로 촉의 간자로 선택된 배경이기도 하다.

가장 믿을 수 있는 인물이자 가장 의심받지 않을 인물

그리고 그런 인물들을 선택해 오랫동안 누구도 의심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조직에 녹아들게 해 필요할 때 적재적소에 그 쓰임을 다하도록 하는 사람 그 사람이 바로 베일에 가려져있는 한선이다.

위왕이 없는 허도에서는 자신이 아닌 조비가 세자로 책봉된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던 조식에게 누군가가 암살 시도를 했고 그 사건을 수사하는 일을 하는 것이 바로 세자 조비가 이끄는 첩보조직 진주조의 교위인 가일이었다.

그 역시 사건을 수사하면서 한선의 흔적을 발견했을 뿐 만 아니라 조식이 한의 이름뿐인 왕과 결탁하고 뭔가 책략을 꾸미고 있었다는 걸 눈치채지만 증좌는 없고 심증만 갈 뿐이었다.

물밑으로 뭔가 진행되고 있지만 제대로 실체를 파악하기도 전 암살범의 공격을 받고 죽음의 위기를 겪으면서 한선이라는 인물의 정체에 한 발 다가가지만 생각지도 못했던 인물들이라 그조차 자신이 맞는 건지 의심한다.

생각지도 못했던 의외의 인물이 짠 작전에 휘말렸다는 걸 허도의 성이 불타고 사람들이 혼란에 빠진 상황에서야 알게 되나 자신이 마음을 준 전천의 죽음 이후 삶에 별다른 미련이 없었던 가일은 죽음조차 각오하지만 그런 가일을 구해준 건 뜻밖에도 한선이었고 그의 도움으로 가일은 모든 비밀을 간직한 채 위를 버리고 촉으로 와 또다시 치열한 정보전의 선두에 서게 되는 내용이 2편으로 연결된다.

누구도 믿을 수 없고 누구도 예외를 두어 선 안되는 치열한 첩보 전쟁은 세 나라가 자신의 나라 존폐를 걸고 있기에 그만큼 치열하고 인정사정 봐주지 않는다.

그런 치열함 속에서 가일이나 양수와 같은 인물은 그저 장기판의 졸일 뿐 그 쓰임새를 다하면 흔적 없이 사라져가야 하는 그런 존재지만 한선의 뜻에 의해 또다시 촉에서 정보전에 뛰어든 가일이 어떤 활약을 펼칠지 궁금해진다.

그리고 한선이라는 인물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 정체 역시 궁금해서라도 얼른 다음 편을 읽어야 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