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율리 체 지음, 이기숙 옮김 / 그러나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두 아이를 둔 아빠 헤닝은 부자는 아니지만 직장이 있고 안락한 집도 있으며 1년에 한두 번 가족이 함께 휴가를 갈 수 있을 정도의 여유가 있는 평범한 가장이다.

아이 때문에 시간차 재택근무를 선택하게 되면서 급료가 줄었지만 이것 또한 아내와의 협의를 통한 결과이기에 부부간의 갈등은 없다.

이렇게 남들이 봐도 평범한 헤닝 부부이지만 최근 헤닝에게 생긴 변화는 그들의 평온을 깼다.

느닷없이 찾아오는 그것

언제 올지 어떨 때 올지도 모른 채 늘 불안에 떠는 헤닝에게 그것은 공포 그 이상이지만 언제부턴가 헤닝은 자신의 이런 상태를 모두에게 숨기고 평온을 가장한다. 심지어는 아내에게 조차도...

책을 읽으면서 정체가 뭔지도 밝히지 않은 채 그저 헤닝이 그토록 두려워하는 그것이 뭔지 궁금할 즈음 드디어 생각지도 못한 그것의 정체가 밝혀진다.

헤닝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거나 압박감을 느낄 때 현대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바로 그 병 스트레스성 압박감 혹은 공황장애에 시달리고 있었고 언제부턴가 그런 자신의 상태를 모두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면서도 절대로 정신과적 치료를 받지 않으려 거부한 채 곧 나을 거라고 자기 암시를 걸고 있다.

언제 또 공황발작이 올지 몰라 두려워하면서도 병이라고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는 헤닝의 태도는 자신의 병을 인정하면 그 순간 남자로서 가장으로서의 힘을 잃어버리고 경쟁에서 밀려날 거라는 걱정 때문인듯하다.

그의 이런 불안은 아내인 테레자의 사소한 거부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심한 가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우연히 알게 된 란사로테섬에서의 휴식으로 새해를 새롭게 시작하고 싶었던 헤닝이 스스로의 상태를 이겨내기 위해 자전거를 타고 페매스로 가는 언덕을 오르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가벼운 마음으로 언덕으로 오르던 헤닝은 생각지도 못한 경사로 고생하며 갈증으로 괴로워하다 그 언덕 외딴곳에 있는 집을 발견하고 집주인의 배려로 집안에 들어서면서 순간적으로 기시감을 느낀다.

자신이 이곳 페매스에 온 적이 있었다는 걸 문득 깨닫게 되면서 이야기는 급속도로 빨라지기 시작한다.

언덕에 오르기 전의 헤닝은 자신의 일과 그것 때문으로 인한 고민을 하면서 여유롭게 올라온 것처럼 이야기 자체도 여유롭지만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았다면 의외로 험한 길로 인해 갈증과 근육의 떨림으로 고통받는 순간 생각지도 못한 아내의 이별 통보를 받으면서 서서히 긴장감이 높아지기 시작하고 마침내 그 집에서의 과거가 번개처럼 내리치듯 깨달으면서 이야기는 장르가 변한 것처럼 긴박감이 넘친다.

헤닝은 왜 그렇게 이곳 페매스에서의 기억을 깜쪽같이 잊고 있었던 걸까

서서히 드러나는 진실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라도 분노할 만큼 엄청난 일이었고 헤닝의 마음속 깊은 곳의 암연이 드러나면서 그가 왜 그토록 불안 증세와 공황발작을 일으킬 수밖에 없었는지 그 트라우마의 근원이 밝혀진다.

깊고 맑은 바다와 그곳을 내려다볼 수 있는 조용하고 그림 같은 집에서 벌어진 폭력은 보는 내내 아슬아슬한 긴장감이 느껴질 정도로 그 대비가 극적이었고 비극적이었다.

가족이라는 게 서로에게 얼마나 상처를 줄 수 있는지... 단단해 보이는 가족이란 형태가 얼마나 쉽게 깨질 수 있는지를 새삼 느꼈고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인간의 삶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헤닝 남매를 통해 새삼 알게 되었다.

조용하게 시작했단 벼락처럼 뒷통수를 치는...결말조차 의외여서 신선하게 다가 온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