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소철나무
도다 준코 지음, 이정민 옮김 / ㈜소미미디어 / 2020년 1월
평점 :
품절


십수 년이라는 세월을 그저 참회하고 사죄하며 보내는 남자 마사유키는 3대째 대를 이은 조경사이다.

그런 그의 묵묵한 참회는 누군가의 눈에는 강직하게 보일지도 모르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집착이고 강요로 보일 뿐이다.

그가 십수 년이나 참회를 해야 할 만큼 무슨 큰 죄를 지었을까 하는 의문이 자연스럽게 드는 것이 마사유키의 성격이나 성품으로 봐서는 그가 그렇게 큰 죄를 지었을 거라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괴리감이 느껴진다.

하지만 중학생인 료헤이가 무슨 짓을 해도 마사유키는 그저 자신의 탓이고 자신의 잘못으로 말하는 걸 보면 그가 사죄해야 할 대상은 료헤이임을 짐작할 수 있다.

머리가 하얗게 센 30대의 남자가 중학생인 료헤이가 저지른 사고를 수습하면서 피해자들에게 대신 사과하고 잘못을 비는 모습은 누가 봐도 자연스럽지 않은 것이 그는 료헤이의 아버지도 가족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누가 봐도 아이의 잘못이 분명한 일인데도 아이를 나무라기보다 오히려 자신 스스로에게서 잘못을 찾는 모습을 보면 이 남자가 도대체 왜 이렇게까지 하는 걸까 의문이 들었다가 나중에는 그의 고집스러운 태도가 어리석고 답답하게 느껴질 정도로 료헤이의 문제에 있어서는 누구의 말도 듣지 않을 정도로 바보스럽다.

하지만 그런 그라도 정원의 조경 문제에 있어서는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정도로 열정적이고 성실하며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랑하는 전문가의 모습을 하고 있다.

자신의 일에 있어서는 누구보다 뛰어난 그가 먹고 난 밥그릇에다 담배꽁초를 아무렇게나 버리는 게 잘못된 행동인 지도 모를 정도로 왜 이렇게 실생활에선 바보같이 느껴질 정도로 서툰지 답답할 정도인데 그가 살아온 집안의 내력과 배경을 보고서야 비로소 납득이 갔고 그런 그에게 연민을 느낀 사람들의 심정이 이해가 갔다.

마사유키가 몸담고 있는 소가 조원의 실질적인 주인이자 이 모든 사단의 원흉인 마사유키의 할아버지는 조경 실력은 누구보다 탁월하지만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지도 이해할 능력도 없는 사람이라는 게 모든 비극의 시작이었다.

그는 오로지 순간의 쾌락만 추구할 뿐 자식도 여자에게도 아니 그 누구에게도 관심따윈 없다.

그런 할아버지의 밑에서 자란 마사유키의 아버지는 아비로부터 사랑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어 했지만 돌아온 건 차디찬 경멸과 무관심일 뿐이었고 자신의 아들인 마사유키가 태어난 후로는 조경에 있어서는 아들보다 못한 무능력자로 낙인찍히면서 자신이 가졌던 모든 희망을 놔버리고 자포자기해버린 결과가 바로 자신을 돌아봐주지 않는 사람과의 강제 동반자살이었다.

당연하게도 그런 아비의 죄까지 마사유키는 짊어지고 있다.

이렇게 누구에게나 자신의 죄를 사죄하고 누가 봐도 그의 책임이 아닌 일에도 스스로 책임지고자 하는 마사유키의 태도는 주변 사람들뿐만 아니라 희생자의 가족인 료헤이조차도 부담스러워하지만 그는 자신의 태도를 굽히려 하지 않는다.계속적인 사죄는 폭력일 수도 있다는 것조차 깨닫지 못 할 정도로 그는 이런면에선 우직하다.

그런 그가 다가올 7월 7일을 손곱아 기다리고 있다. 그날이 가까워지자 떨려서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그날이 오기만을 기다리는 데 그가 기다리는 게 뭘까 하는 궁금증은 후반부에 가서야 비로소 알 수 있었다.

그에게도 사랑하는 사람이 있었음을... 그리고 그녀가 돌아오기만을 기다리고 기다리고 또 기다렸음을... 이 모든 게 그녀를 위한 일이기도 했음을...

그런 그의 모습은 누군가의 말처럼 개를 닮아있다.

자신을 바라봐 주고 인정해주는 주인에게 무조건 충성하는 개

마사유키에게 그녀는 그런 존재였던 것이다. 자신도 몰랐던 외로움을 깨닫게 해 준 사람 자신을 돌아봐줌으로써 구원해준 사람...

이야기 전반에는 마사유키의 우직스러움이 답답하게 느껴졌다면 중반을 넘어서부터는 그의 바보스러울 정도의 우직함이 어느 정도 이해가 되었다고 할까

전체적으로 고즈넉하고 잘 가꿔진 일본의 정원을 보는 것처럼 아름다워서 슬프고 안타깝게 느껴진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