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지 않는 여름 1
에밀리 M. 댄포스 지음, 송섬별 옮김 / 다산책방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여자친구와 은밀하면서도 금지된 장난을 하며 설렘과 장난기 가득했던 날, 마치 그런 그녀를 벌주기라도 하듯 부모님이 사고로 돌아가셨다는 부고를 듣게 되는 소녀 캐머런

갓 10대에 접어든 캠에게 어릴 적부터 친구였던 아이린과 우연인 듯 장난처럼 한 키스는 그녀 내부에 강렬한 인상을 남기게 되고 둘은 서로에게서 이제까지와 다른 강력한 성적 끌림을 느낀다.

그리고 자신들이 하는 일이 정확히 뭔지를 인지하지 못한 채 마치 아이들의 장난처럼 서로의 육체에 조금씩 가까워지는 과정을 하기도 전에 이런 끌림을 벌주듯 부모님이 돌아가시면서 스스로를 혐오하게 되고 강한 죄의식을 가지면서 스스로를 벌하듯이 아이린을 멀리하게 되지만 여자에게 끌리는 자신을 스스로도 어찌할 수 없다.

자신이 보통의 여자아이들처럼 또래의 남자아이 가 아닌 같은 여자에게 끌리고 의식한다는 걸 자각하는 순간 캠은 스스로를 부정하고 혐오하듯 외면하고 싶어 하지만 한번 깨달은 것은 되돌릴 수 없다.

자신의 안에 감춰진 성적 정체성을 고민하고 힘들어하다 결국은 받아들이게 되는 한 소녀의 성장기를 다루고 있는 사라지지 않는 여름은 캠이라는 소녀가 어느 날 문득 깨달은 자신의 성 정체성으로 인해 겪게 되는 내적 갈등과 혼란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한참 성에 대해 자각하고 의식하기 시작하는 10대 소녀가 주변의 친구들과 달리 자신이 여자친구에게 끌린다는 걸 깨닫게 되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그런 성적 취향을 들키지 않기 위해 숨기고 스스로를 부정하다 끝내는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과정이 설득력 있게 그려지고 있다.

스스로는 깨닫지 못하지만 본능적으로 자신의 성적 취향을 다른 사람에게 들켜서는 안된다는 걸 느낀 어린 소녀 캠이 부모의 사고 소식을 들으면서도 슬픔보다 먼저 찾아온 건 부모님에게 자신의 비밀을 더 이상 숨기지 않아도 된다는 강렬한 안도감이었다는 걸 보면 그녀가 가진 비밀의 무게가 얼마나 무거웠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지금은 어느 정도 다른 사람의 성적 취향을 인정해주고 있지만 소설의 배경인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 초만 해도 성적 소수자를 바라보는 시선은 차가울 수밖에 없고 그런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드러내지 않고 음지에서 내적 갈등과 정체성으로 인한 혼란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았던 만큼 지지해주는 부모도 곁에 없고 신앙으로 무장한 채 성소수자를 질병이나 전염 병자처럼 바라보는 가족이 미성년자인 자신을 대리할 수밖에 없는 캠의 처지는 훨씬 더 열악하다 할 수 있었다.

누구에게도 인정받을 수 없고 심지어 가족에게서조차 말하지 못하는 성 정체성으로 여전히 혼란스러워하는 가운데 소꿉동무 아이린 이후 처음으로 강렬한 떨림을 느꼈던 상대였던 콜리에게 피하고 피하다 더 이상 피할 수 없어 조심스레 다가가 걷잡을 수없이 빠져드는 자신의 모습을 두려워하면서도... 결국은 파국을 맞게 될 것이라는 걸 알면서도 스스로는 어찌할 수 없는 캠의 불안함이 조금은 이해되는 부분이다.

1편이 캠이 스스로의 성 정체성을 깨닫고 그걸 인정하기까지 느낀 불안과 공포 그리고 혼란을 그리고 있다면 2편에서는 그런 스스로의 모습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 그려져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자신을 둘러싼 편견과 혐오의 벽을 깨고 스스로를 찾아가는 소녀 캠의 이야기... 얼른 다음 편을 읽어봐야 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