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보는 미술관 - 나만의 감각으로 명작과 마주하는 시간
오시안 워드 지음, 이선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씩 시간을 내서 전시회에 가보면 생각했던 것보다 사람들이 많아서 그리고 조용히 혼자서 감상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에 놀랄 때가 많다.

그래서 많은 전시품 중 마음에 드는 작품을 보면 조용히 조금 더 보고 싶다 가도 옆에 있는 사람들이 신경 쓰여 한 작품에 오래 시간을 들여 감상하기가 쉽지 않다.

어차피 그 사람들도 나처럼 유명하다 입소문난 전시회를 마음먹고 찾아온 것이 이에 짧은 시간 많은 작품에 눈도장을 찍고 싶은 건 마찬가지리라.

아쉬운 건 이런 사정은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는 점이다.

마음먹고 외국을 가서 찾은 전시관이나 미술관은 오히려 더 치열해서 유명한 작품은 그야말로 스치듯 바라볼 수밖에 없어 그저 보고 왔다는 만족감만 가질 수 있을 뿐이었다.

그런 덕분에 그림에 대해 제대로 감상하기도 쉽지 않고 그림에 대해 알 기회조차 쉽지 않은 나 같은 사람에게 그림을 감상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이런 책이 어렵기도 하지만 고맙기도 하다.

그림은 그저 눈에 보이는 대로 보는 것도 나쁜 건 아니지만 제대로 알고 그림을 감상한다면 그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저자는 오랫동안 갤러리에서 전시물을 총괄하는 책임자로 일했고 미술평론가로도 활동하고 있어 더더욱 그림을 제대로 보는 법을 가르치는 가이드로서 안성맞춤이 아닐까 생각한다.

저자는 작품 그중에서도 고전 미술을 볼 때 자연스럽게 몸이 반응하도록 놔두고 적극적으로 작품을 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앞뒤로도 왔다 갔다 하면서 그림을 감상하는 것이 한자리에 머물러 집중해보는 것보다 오히려 나을 수 있으며 어떤 작품이든 쉽게 다가갈 수 있어야 그림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는 설명은 의외였다.

작품을 감상할때에는 조용히 그리고 가만히 서서 보는 것이라 알고 있었는데...

그런 의미에서 그는 고전미술을 독창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방법 타불라 라사를 제시하고 있다.

타불라 라사는 아무것도 쓰여있지 않는 백지상태를 뜻하는 데 예술작품을 감상할 때 선입견 없이 백지상태에서 작품을 감상하면서 무의식에서 떠오르는 것들을 해석하라는 의미로 T, A, B, U, L, A, R, A, S, A는 작품 감상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약자이기도 하다.

시간, 관계, 배경, 이해하기, 다시 보기, 평가하기를 거치고 나서 리듬, 비유, 구도, 분위기를 적용하면 고전미술을 독창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고 한다.

책의 서두에 이런 설명을 거친 후 본격적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과 어떤 식으로 그림을 보면 좋을지에 대한 제대로 된 설명이 보충되어 있는데 그가 제시하는 방법을 따라가면 좀 더 재밌고 흥미롭게 볼 수 있는 것은 확실한듯하다.

 

발이 묶여 있는 양을 그린 프란시스코 데 수르바린의 하나님의 어린 양은 곧 죽을 운명인 양을 통해 죽음을 처량하게 묘사한 듯 보이지만 그가 제시한 작품 감상 방법의 원리 즉 리듬, 알레고리, 구도, 분위기를 활용해 보면 단순해 보이던 양을 묶은 다리가 십자 모양이고 배경의 색조가 대조되면서 전체적인 분위기가 달라짐을 느낄 수 있다.

좀 더 종교적인 느낌이 난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제목이 납득이 간다.

그림에 대한 설명 중 특히 눈에 들어와 흥미로웠던 부분은 보이는 그대로, 마음이 느낀 대로 진짜 같은 그림을 그렸던 19세기 사실주의 화가들의 이야기와 작품에 관한 설명이었다.

노동자들의 현실을 그리는 사실주의는 산업혁명 이전의 좀 더 단순했던 농업사회의 하층민의 위치를 재평가했는데 그들의 그림에서 그 시대의 시대상을 볼 수 있었지만 정직하게 그린 그림은 판매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고 이런 현실은 시대의 관습을 깬 작품에서 더 두드러졌는데 이런 간극을 무시하고 영국에 처음 도착한 타히티 사람으로 유명 인사가 된 오마이를 그린 그 시대의 탁월한 초상화가인 레이놀즈의 작품은 그가 영국 왕립 미술원의 전시회에 그림을 그릴 정도로 탁월한 작가임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그가 죽을 때까지 팔리지 않았다는 걸 보면 그림 한점으로도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조금은 알 수 있는 것 같다.

 

화폭 속에 마치 드라마를 보는듯하게 연출해 내는데 탁월한 화가도 있었다.

그들은 그림을 마치 연극 무대 속에서 조명을 받고 빛나는 주인공처럼 역동적이고 드라마틱 하게 표현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작가가 우리도 익히 알고 있는 카라바조다.

그들은 성경의 내용에 상상력을 더해 역동적이면서도 눈에 확 들어오는 그림을 주로 그렸는데 그들의 드라마틱 한 연출은 확실히 관람자의 눈을 사로잡는 매력이 있다.

이렇게 마치 드라마적인 연출을 하는 작가가 있는가 하면 사람들의 공포와 두려움을 이용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각인시키는 화가도 있었는데 이들의 그림은 연출 방법이 어떻든 간에 그들이 전하고자 하는 바는 뚜렷하게 각인시킨 반면 진짜 목적을 드러내지 않아 그 의도가 궁금한 화가도 있었다.

대표적인 작품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디에고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이다.

이 작품은 화가는 몰랐지만 그림은 여러 곳에서 본 적이 있는데 단순히 왕가의 모습을 그린 걸로 만 알고 있던 나에게 저자가 여러 가지 숨겨진 의미를 설명하는 글을 보고서야 이 그림이 왕실을 풍자했다는 걸 알 수 있었는데 설명을 듣고 보면 새롭게 보이는 듯하다.

처음 보는 그림도 설명을 읽어가며 보니 더 흥미로웠고 알고 있던 그림도 설명을 읽으며 보니 새삼 달리 보이는 걸 보면 역시 뭐든 알고 보면 재미가 배가되는 건 확실한듯하다.

생생한 그림과 복잡하지 않은 설명 그리고 시대적 배경까지 곁들여 놓아 확실히 그림을 보는 재미를 배가 시키고 있는 것은 물론 책에 나오는 그림을 실제로 보고 싶다는 마음이 커지는 것은 나만이 느끼는 것은 아니리라.

그런 의미에서 저자가 목적한 바를 이룬게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