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에프 모던 클래식
커트 보니것 지음, 황윤영 옮김 / F(에프)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화론을 설명할 때 가장 비중 있게 다뤄지는 곳이 아마도 갈라파고스가 아닐까 싶다.

다원에 의해 갈라파고스에 사는 생물들이 육지를 비롯해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그만의 독특한 종으로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통해 생물은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하도록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진화해간다는 진화론은 오늘날 모두가 다 아는 이론이 되었다.

그런 진화론의 성지나 다름없는 에콰도르의 갈라파고스제도를 배경으로 이번에는 인류의 진화를 특유의 비틀 기식 유머를 통해 선보이는 커트 보니것

소설의 시작은 엉뚱하다.

100만 년 후의 새로운 세상을 알고 있는 화자에 의해 100만 년 전 즉 1986년 인류의 종말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데 생각지도 못한 금융위기로 온 세계의 경제가 몰락한 가운데 여자들에게 아이를 낳지 못하게 하는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소리 소문 없이 퍼진다. 마치 이 이야기의 전개가 특정한 방향성이 없이 의식의 흐름대로 흘러가는 것처럼...

온 세계가 공포와 굶주림으로 미쳐가기 직전, 아무것도 모른 채 그저 진화론 속에 나오는 신기한 생물들을 구경 할 마음으로 유람선 여행을 계획했던 사람들이 하나둘씩 전 세계에서 에콰도르로 오지만 호텔 밖의 상황은 약탈과 폭동 직전의 상태로 난장판이 되기 일보 직전이다.

경제가 몰락하고 심상치 않다는 걸 알고 있는 상류층 고객은 이미 정보를 입수한 후 유람선 계획을 취소하지만 그런 정보조차 몰랐던 몇몇의 사람만이 유람선의 출항을 기다리다 굶주림으로 인해 폭도로 변한 시민들을 피해 배에 승선해서 갈라파고스로 떠나고 그들만이 살아남는다.

그 배에 승선한 사람 중 남자는 아돌프 콘 클라이스트뿐이고 그 외 임산부 그리고 살충제에 노출된 숲에서 도망쳐 온 4명의 칸타보노 소녀, 선천성 시각장애인과 가임기를 지난 메리 헵번이라는 여성뿐이었다.

생존자들 면면을 들여다보면 다 들 시각장애인을 빼면 겉으로 보기에는 건강한 사람들처럼 보이지만 유일한 남자인 클라이스트는 헌팅턴 무도병이라는 유전병의 잠재적 보인 자일 수도 있고 임산부 역시 그녀의 엄마가 원폭에 피폭된 상태로 그녀를 낳았고 그리고 칸타보노 소녀들 역시 강력한 살충제에 노출되어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점에서 잠재적으로 위험인자들만 모여있는 듯하다.

한마디로 말하면 유전적으로 대부분 열성인자나 잠재적 보유자들만이 이 세상에 유일하게 살아남았는데 그들이 처한 상황이 갈라파고스에 어떤 방법으로 건너가 그곳에 고립된 채 진화를 거듭해 이제는 유일한 종이 된 갈라파고스의 여러 생물들과 똑같은 처지... 인간도 그들이 이룩한 문명이나 환경에서 벗어나면 결국 다른 동물과 똑같이 생존을 위해 적응하고 세월에 따라 변화될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걸 말하고자 한 게 아닐까 싶다.

어찌어찌해서 물고기를 잡고 먹을 것을 구하며 섬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구했지만 햇볕이 내리쬐는 그곳에서 가장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었던 건 임산부가 낳은 온몸이 부드러운 털로 뒤덮인 아이였다.

그 부부의 예상대로 도시의 병원에서 출산을 했다면 사람들로부터 연민의 눈초리를 받을 수 있었겠지만 이제 섬에서 두 번째 수컷이 된 아이는 강한 햇빛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털에 덮인 채 편안하게 살다 번식할 수 있는 나이가 되어서는 섬에 있는 여자들은 누구라도 상관없이 마음껏 취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진다.

심지어는 그 권한을 인간에게만 특정 짓지 않기도 하지만 누구도 그 아이를 제지할 수도 할 생각도 없다.

그야말로 섬에 특화된 인간

그리고 그런 아이에게서 나온 수많은 아이와 그 아이들의 아이들들로 섬은 가득하고 어느새 처음 이곳에 고립되었던 유람선의 남은 사람도 사라져버림으로써 모든 것은 리셋되어 버린다.

이들이 이렇게 변해가는 과정을 백만 년이 흐를 동안 지켜본 화자에 의하면 백만 년 전의 인류의 문제는 쓸데없이 너무 큰 두뇌를 가져 온갖 것들로 환경을 더럽히고 스스로를 만물의 영장이라 생각하며 다른 종에 비해 우월함을 자랑하지만 결국 서로 증오하며 경쟁하다 공멸해버리는 어리석은 존재라는 것

어떤 도구도 또 그걸 활용할 만한 능력도 없는 상태로 고립된 사람들은 결국 그곳에 사는 동물들과 그다지 차이가 나지 않는 모습으로 살아남는 걸 보면 인간 역시 거친 자연환경에서는 그저 생존에 급급한 작은 존재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뚜렷한 기승전결이 있거나 스토리가 명확하지 않고 흘러가는 대로 이야기가 뻗어나가는 형식인데다 그 이야기 사이사이에 백만 년간의 변화를 한 줄로 쓱 섞어놓는 방식이라 자칫하면 흐름을 놓치기 쉬워 집중을 하며 읽어야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