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 받으라
박해로 지음 / 네오픽션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전작 살: 피할 수 없는 상갓집의 저주라는 책을 아무런 정보 없이 읽고는 후덜덜했던 기억이 있어 신간이 나왔다는 소식에 이번엔 또 얼마나 무서울까 하는 기대가 컸다.

전작이 워낙 강해서인지 아니면 어느 정도 예상을 한 덕인지 생각보다 무섭지는 않았는데 그럼에도 우리 주변에서 흔히 듣는 말인 빙의니 신들린 이야기 같은 소재를 이용해 작가 나름대로 콘텐츠를 만들어내지 않았나 싶다.

그래서 앞으로도 작가의 이름을 들으면 오컬트적인 소재나 빙의같이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무속신앙에서 말하는 초자연적인 현상을 소재로 다루는 작가라는 기억은 하게 될듯하다.

상갓집에 가서 재수 없게 살을 맞은 후 벌어지는 무시무시한 이야기를 다룬 살과 달리 이번에는 대를 이어오는 저주에 대한 이야기여서 닮은 듯 다른 이야기이다.

1836년 섭주에서 누군가의 갑작스러운 처형이 결행된다.

처형당한 이는 장일손이라는 이름의 남자로 그의 죄명은 나라에서 금한 천주교를 믿은 죄라 하지만 진실은 그가 사술을 행해 원하는 사람과 영혼을 바꿀 수 있다는 사교의 교주이고 이를 아는 마을의 현령 김광신이 그를 즉결 처형한 것인데 장일손이 죽으며 그에게 어마어마한 저주를 내리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리고 지금 현재 1976년 섭주에는 깊은 신앙심을 가지고 마을 사람들에게 교리를 전해주려 열심히 포교활동 중인 김정균 목사가 마을 사람들과 겪는 일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이야기의 중심은 마을 무당의 딸 묘화가 성령을 받았다 주장하면서부터 벌어지는 일이다.

그전까지는 모든 마을 사람들로부터 따돌림과 외면을 받는 걸로 모자라 묘화가 교회에 오고 싶어도 들어올 수조차 없도록 막았던 마을 사람들이 그녀에게서 아픈 사람들을 낫게 하는 기적을 본 후로는 맹목적으로 그녀를 믿고 받들려는 사람과 이제까지 그녀를 꺼렸던 그대로 그녀의 기적을 절대로 믿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로 나뉘면서 마을 사람들 사이에 긴장감이 고조되기 시작한다.

이런 와중에 마을에서 신임이 두텁던 목사 정균이 갈등이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나서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녀 묘화와의 만남을 꺼리는 이상한 태도는 그들의 갈등을 더욱 부추기는 것으로 작용하는데 그가 이렇게 어정쩡한 태도를 취하는 동안 묘화는 자신을 괴롭히던 아이들의 꿈에 나타나 저주를 퍼붓고 그 꿈이 실현되어 한 아이가 죽는 일까지 발생하면서 갈등은 폭발하기에 이른다.

묘화가 그 아이 즉 이미 죽었던 아이를 눈앞에서 살려내는 걸 본 사람들은 두려움과 함께 묘화를 신처럼 받들기에 이르렀고 정균은 더 이상 모른 척 외면 하수 없는 처지에 몰려서야 그녀와의 만남을 허락하지만 하필이면 그와의 만남이 그녀의 마지막이 되면서 마을 사람들은 극단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면서 파국으로 치달아가는 과정이 숨 가쁘다.

이렇게 작은 마을에서 벌어지는 극단적인 편가름과 갈등의 중심에 무당의 딸 묘화와 신의 아들이라 칭하는 목사 정균이 있는데 마치 신 구간의 종교갈등으로도 보일수 있지만 서로 극단적인 두 사람의 처지는 알고 보면 같은 처지나 다름없다는 게 이 이야기의 퍼즐의 한 부분이다.

자신이 아닌 누군가에 의해 조정되는 삶을 살고 있거나 살았던 경험이 있는...

서로 극단적으로 대치하고 마치 양진영에 우두머리를 모셔두고 패가 갈려 전쟁하는 것처럼 묘화와 정균을 중심으로 모여든 사람들은 왜 같은 마을에서 평화롭게 살았던 자신들이 이렇게 분노하고 서로를 증오하며 분열하게 된 건지 연유도 제대로 모른 채 서로에게 칼끝을 겨누며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화약고처럼 부글부글 끓어오른다.

그리고 이런 사람들을 지켜보면서 그들이 이렇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이야기하는 화자로 소설가를 등장시켜 이 마을에 내려오는 장일손의 저주와 그가 가졌던 악마적인 힘 그리고 이 모든 일의 원인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 시대적 배경이 막 선진화가 되고 있지만 시골에까지 미치지는 않았던 1970년대라는 점, 즉 아직까지는 마을 곳곳에서 토속 신앙의 힘이 작용하고 사람들 마음속에 무속신앙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하고 있을 때라는 걸 생각하면 지금과 달리 충분히 있을 수 있었던 일이라는 게 더 무섭게 느껴졌다.

한국 사람들의 마음속에 내재되어 있는 설명이 불가능한 초자연적인 현상에 대한 공포를 슬쩍 건드려준 작가의 작품들을 보면서 역시 여름밤엔 공포물이 더위를 잊게 하는 데 최고라는 걸 새삼 확인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