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회병동
가키야 미우 지음, 송경원 옮김 / 왼쪽주머니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늘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이 남아서 그때 그랬더라면... 하는 마음을 먹곤 하지만 그런 미련은 특히 지금 현재 자신의 모습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불만족스러울수록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미련은 더 크기 마련이다.

그래서 아주 오래전 두 갈래 선택의 길에서 이쪽을 선택했을 때와 또 다른 쪽을 선택했을 때의 모습을 보여줬던 예능이 인기를 끌었던 기억이 난다.

이 책 후회 병동 역시 인생에 있어서 어떤 기억이나 행위에 대한 후회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특히 제목에서부터 병동이 등장하는 만큼 후회를 하는 사람들이 삶의 시한이 정해져있다는 제한을 두고 있다.

왜 이런 제한을 둔 건지에 대한 의문은 그들을 안 가본 길로 인도하는 신비한 청진기의 등장으로 풀 수 있다.

이 청진기는 사람의 마음속 말들이 들리고 원한다면 과거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당연하게도 이 비밀은 삶이 얼마 남지 않은 사람들에게만 베풀어지는 특혜이다 보니 병원에 있는 사람 누구도 이 비밀을 알지 못한다.

신비한 청진기의 주인은 사람들이 대부분 여의사에게 남자 의사에게는 기대하지 않는 상냥함이나 싹싹함 혹은 애교 같은 걸 기대한다는 점에서 늘 손해를 보고 있는 루미코라는 여의사이다.

그녀가 환자에 대해 불친절하거나 퉁명스럽거나 한다기보다 단지 좀 눈치가 없고 아픈 사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한 요령이 부족하다고 보면 되는데 그래서 늘 환자나 보호자로부터 클레임이 자주 들어와 곤욕을 치르고 있던 중 우연히 주은 청진기가 알고 보니 환자의 마음속 이야기가 들리고 심지어는 찰나의 순간에 과거로 돌아가 후회했던 일을 되살아 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런 사실을 알고 나서 적극적으로 환자들에게 다가가 죽음이 목전에 다가와서도 후회하고 미련이 남은 일을 과거로 돌아가 새로운 선택을 해서 가보지 않았던 길에 대한 미련을 떨치고 편히 죽음을 맞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런 과정을 많이 거치면서 사람들의 심정을 잘 이해하지 못했던 루미코는 조금씩 그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사람의 마음을 살필수 있는...아픈 몸만이 아닌 마음까지 돌볼줄 아는 진짜 의사가 되어가고 그런 그녀의 변화는 어릴적 헤어져 원망만이 남았던 아빠와의 화해를 돕게 된다.

마흔이 넘어서까지 결혼을 하지 않고 있는 딸을 둔 노부인의 회한... 그때 그토록 딸아이가 결혼하고 싶어 하던 남자가 비록 한심하고 형편없는 남자라 할지라도 결혼을 반대하지 않고 시켰어야 했다는 것인데 루미코는 노부인의 원을 들어줘 과거를 바꾸러 문을 열고 들어간다.

젊은 나이에 어린 아들과 아내를 두고 죽음을 앞두고 있는 가장의 회한... 왜 좀 더 가족과 같이 시간을 보내지 않았을까? 열심히 일을 한 이유가 가족과 함께 좀 더 여유롭게 살기 위함이었는데 어느샌가 그걸 잊어버리고 일에만 시간을 보내다 보니 가족이 모여도 더 이상 할 이야기도 없고 이제는 함께할 시간마저 없다.

그 역시 과거로 돌아가 지금과 다른 인생을 살다 온다.

이렇게 각각의 에피소드에는 계속 마음에 남아 후회가 되는 일을 과거로 돌아가 다시 한번 다른 삶을 살 기회를 줌으로써 그때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위안을 받거나 혹은 다른 선택을 해서 미련이 남지 않도록... 그래서 편안한 죽음을 맞도록 도와준다.

그 청진기가 다른 인생을 살 기회를 준다고 해서 진짜로 새로운 인생을 살 수 있다거나 죽음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건 아니다.

단지 얼마 남지 않은 삶에 회한이나 후회를 적게 남기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달까

재밌는 건 그 문을 열었다고 해서 모두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온다는 건 아니다.

오히려 몰랐어도 좋았을 아내의 본모습을 알게 된 남자의 이야기는 그 후 어떤 인생을 살게 될지 자못 궁금해진다.

따뜻한 느낌에 감성을 자극하고 여기에다 이야기를 좀 더 동화처럼 만들어주는 요소인 신비한 청진기라는 소재를 이용해서 말로는 할 수 없었던 속마음을 들여다보고 후회가 남지 않도록 도와준다는 설정은 평범함에다 약간의 조미료를 넣음으로써 조금은 특별한 맛이 되었다고 하는 그런 느낌이다.

확실히 가독성도 좋았고 읽고 난 뒤에도 입가에 미소를 짓게 하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