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떡하죠, 마흔입니다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마음철학 수업
키어런 세티야 지음, 김광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흔히 쓰고 흔하게 듣는 말 중 하나가 중년의 위기라는 말이다.
이미 젊지 않고 직장에서나 사회에서의 위치도 중간쯤 되지만 막상 생각해보면 딱히 이뤄놓은 게 없는 것 같은... 그래서 갑자기 쫓기는 기분이 들고 우울감이 느껴지는 나이, 중년
나 역시 한창 어릴 때는 40대의 아저씨 아줌마를 보면서 저 나이 땐 무슨 재미로 살지? 하는 의문이 들었는데 그건 아마도 내가 해보지 못해서 도저히 상상할 수 없었기에 가질 수 있는 부정적인 의견이었던 것 같다.
내가 그 나이가 되고 보니 이 나이에도 여전히 새로운 걸 보면 신기하고 즐겁기도 하고 이쁜 걸 보면 이쁘다고 느껴지는... 청춘일 때 느꼈던 기분이나 감성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걸 알 수 있었다.
그렇다. 이건 누가 뭐라 해도 본인이 그 나이가 되어 스스로 느껴봐야지만 알 수 있는 감성이기도 하다.
그래서 중년이 되기도 전에 이 나이가 되는 걸 두려워하고 우울해하고 불안해할 필요가 없다는 걸 이제 이 나이가 된 나는 안다.
실제로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중년의 위기라는 걸 연구해본 결과에도 중년이라서 위기라고 느껴지거나 혹은 심각한 우울증을 느끼거나 하는 부정적인 정서는 낮다는 게 연구결과로 나타났다고 한다.
오히려 부부관계도 좋아지고 삶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다는 사람도 많은 걸 보면 중년의 위기라는 말은 과장된 게 아닐지... 그럼에도 사람이 살아가다 보면 난관에 부딪치거나 좌절을 겪으면서 심리적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위태로운 상황이 올 수도 있다.
어찌 보면 꼭 중년일 때가 아니라도 살면서 위기라고 느껴질 때 그럴 때 어떻게 위기를 극복하면 좋을지가 이 책의 주요 내용이기도 하다.
일단 너무 자기중심적이어서는 안되고 자기만의 행복이 아닌 타인의 행복 혹은 뭔가를 행할 때 그 과정을 즐기는 게 좋다고 한다.
또한 살면서 사람들은 많은 상실을 경험하게 되는데 그럴 때는 작은 것이라도 대안을 찾아야 하고 과거에 실수나 후회가 되는 것에 너무 몰두해서 현재의 삶을 놓치는 우는 범하지 말아야 한다.
실수를 인정하고 실수를 한 자신을 용서하고 자신과 화해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스스로를 인정하는 데서부터 새로운 시작 또한 가능하다는 걸 잊어서는 안된다.
중년으로 접어들면서 느끼는 가장 큰 문제점은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돌아보면 아무것도 한 것이 없는 것 같은 공허감이 아닐까 싶다.
나이는 들었고 아이는 다 커서 내 손을 떠났는데 남은 시간을 뭘로 보낼까 하는 두려움은 젊었을 땐 못 느꼈던 감정이다.
이런 공허감이 커지면 방황하게 되고 의욕이 없으며 삶이 우울해지는 데 이런 게 중년의 위기라고 말한다면 작게나마 나 역시 이런 감정을 가진 때가 있었다.
이럴 때의 해결책 역시 제시하고 있는데 그 방법이란 게 우리도 잘 알고 있는 것들이다.
산책하기, 취미를 만들기, 여행하기 등등인데 일상에서 큰 변화를 주는 것이 아닌 우리가 보는 관점을 조금만 달리하면 된다는 것이다.
삶을 바라보는 관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만족도 역시 달라진다.
물론 그 관점을 일과 과제의 성공에 맞추든 혹은 진행하는 과정에 맞추든 정답은 없다.
삶에 완전한 정답은 없다. 그저 조금은 더 즐겁게 조금 더 행복하게 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결과를 위해 노력하는 자신을 인정하고 결과를 받아들일 수만 있다면 어느 날 문득 찾아온 우울감과 공허함을 이겨낼 수 있지 않을까?
거창한 표현을 쓰거나 마음 울리는 표현은 없지만 오히려 작가의 덤덤한 문체가 그래서 더 마음에 와닿았다.
조금 못해도 꼭 성공하지 않더라도 괜찮다는 작가의 말이 조금은 위안이 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