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온 레인 데이브 로비쇼 시리즈
제임스 리 버크, 박진세 옮김 / 네버모어 / 2018년 11월
평점 :
절판


우연히 물에 빠진 시체를 건지게 되고 이 사건을 처리하는 관할서 경찰들의 태도에 수상함을 느낀 데이브 로비쇼 경위는 그 사건에 대해 캐묻고 다니다 생각지도 못한 일에 연루되고 만다.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조사해보면 단순한 익사 사건이 아닌 살인사건임을 알 수 있는데도 그의 주장을 들어볼 생각조차 않는 걸로 모자라 그에게 은밀한 협박을 가하는 지역경찰들의 태도를 보고 뭔가 있음을 직감하는 데이브 경위
여기에다 감옥에서 사형이 집행되기를 기다리는 사형수로부터 누군가 그의 목숨을 노린다는 말을 듣는다.
이 모든 것이 죽은 흑인 창녀의 죽음과 관련 있음을 알게 되지만 사건을 조사하면 할수록 난관이 생길 뿐 만 아니라 그에게 가해지는 압력도 점점 더 커지다가 그의 목숨마저 위협받는 지경에 이른다.
데이브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고 그렇다면 정면대결뿐이다.그것이 자신의 지위를 위협할지라도...
시작은 이렇다. 평범하다면 평범할 수 있는 소재
범죄가 벌어지고 누군가에 의해서 그 사건을 덮고자 하지만 하필이면 이 사건이 경찰서 내에서 가장 뛰어나면서 상사의 명령도 잘 말 안 듣고 꼴통 기질이 있는 형사가 이 사건과 연관이 되어 끝까지 파헤친다는 설정은 크라임 스릴러의 독자라면 너무 흔히 봐온 설정이기도 하다.
경찰이 주인공인 소설은 대체로 사건이 벌어지면 그 사건 속에서 주인공이 뭔가 이질적인 걸 느끼게 되고 그것을 쫓아가다 보면 의도치않게 거대 권력과 손잡은 엄청난 음모가 드러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주인공인 경찰은 수많은 압력을 받고 고초를 겪게 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뚝심 있게 소신을 가지고 끝까지 사건을 파헤쳐 간다.
이런 부분에서 독자들이 주인공과 동화되어 나쁜 놈을 처단하고 심지어 권력을 무릎 꿀리는 부분이나 혹은 의외의 범인의 모습을 보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되는데 아마도 현실에선 일어나기가 쉽지 않은 일이라 더 이런 주인공이 나오는 책에 열광하는 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주인공인 데이브 로비쇼 역시 세상의 온갖 험한 일과 인간의 잔인한 본성을 마주하는 경찰이다 보니 불면증은 당연하고 알코올중독에서 간신히 빠져나온데다 이혼남이고 가진 재산도 없는... 직업적으론 인정받는지 모르겠지만 사생활은 형편없는 가엾은 처지의 다른 경찰들과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그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시리즈가 21편이나 나온 걸 보면 캐릭터의 힘뿐만이 아닌 뭔가 특별한 매력이 있는듯한데 아마도 여느 크라임 스릴러의 직설적이고 자극적인 표현 위주가 아닌 은유적이고 문학적인 표현으로 인해 한층 고급스러운 느낌이 나서가 아닐지...
그래서 내지르고 직설적인 표현에 익숙한 나 같은 사람에겐 너무 느슨한 느낌이 들어 긴장감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정의감이 있지만 너무 정의롭지 않고 뚝심 있게 사건을 밀어붙이기도 하지만 도저히 안될 때 슬쩍 물러설 것을 고려해보기도 하는 적당히 도덕적이면서 융통성이 있는 데이브 로비쇼 경위를 보면서 왠지 고독한 무법자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생각나기도 했다.
시리즈의 특성으로 볼때 그의 활약은 다음 편에서 더 멋지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