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다운
B. A. 패리스 지음, 이수영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비바람이 거세게 몰아치는 밤 외진 숲길을 통과해 집으로 오다 길가에 세워진 차를 본 여자
뭔가 도와줘야 하는 상황이 아닐까 짐시 고민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지나쳐오고 다음날 그 차 안에 타고 있던 여자가 살해당했다는 소식을 듣는다.
이렇게 시작하는 브레이크 다운은 시작부터 강렬한 몰입감을 준다.
그리고 그렇게 스쳐 지나쳐왔던 자신을 후회하며 반성하는 캐시는 사람들이 비난할까 두려워 누구에게도 자신이 그때 그 차 옆을 지나쳤다 말하지 못하면서 그 비밀을 지키기 위해 감정적으로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우리의 정서로 봐서 그냥 그때 곁을 스쳐 지나갔는데 내려서 무슨 도움을 줄 일이 없었나 물어볼 걸 하는 가벼운 자책을 하다 말겠지만 서양은 그런 점에선 우리와 조금 다른가 보다.
도움을 청하는 사람을 보면 도와줘야 한다는 생각이 깊이 박혀있는 듯... 그래서 외진 숲속에 세워진 차를 보고도 그냥 지나친 자신을 스스로 용서하기 힘든 캐시의 심정을 완전히 이해하긴 쉽지 않았다.
게다가 차안의 그녀는 도움을 청하는 어떤 신호조차 보내지않았기에 그녀의 자책의 정도가 좀 심하다고 생각했지만 죽은 여자의 신원이 밝혀지면서 이런 분위기는 반전된다.
죽은 여자가 하필 캐시가 알던 여자였고 만난 건 얼마 안 되지만 마음이 통한다고 느꼈던 사람이라 더더욱 자책하는 캐시의 심정이 어느 정도 이해가 갈 즈음 누군가가 매일매일 그녀에게 전화를 건다.
그리고 아무런 말 없이 끊는 전화지만 그 속에서 캐시는 악의를 느껴 남편인 매튜에게도 오랜 친구인 레이철에게도 말하지만 그들은 장난전화라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결정적으로 남편이 집에 있을 땐 그 전화가 한 통도 걸려오지 않는다는 사실
매일매일 전화는 울리고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어 점점 고립되어가는 캐시에겐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자기가 한 약속이나 말을 자꾸만 잊어버리는 것인데 이 역시 남편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상태라 그럴 수도 있다고 하지만 캐시가 걱정을 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자신의 엄마가 젊은 나이에 치매에 걸려 오랫동안 고생하다 돌아가신 것인데 매튜는 이 사실을 모르고 있어 더욱 자신의 현재 상태를 숨기고 싶어 하지만 증세는 점점 악화되어 더 이상 숨길 수 없을 지경에 처한다.
걱정하는 매튜의 조언으로 의사의 도움을 받아 약을 처방받은 이후부터 더 이상 깊은 고민 없이 깊은 잠 속으로 피하지만 일상생활을 해나갈 수 없다.
처음에 말하지 않은 작은 비밀 하나로 인해 몇 달 사이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짓던 커리어 우먼에서 늘 불안에 떨고 약이 없으면 잠도 잘 수 없는 지경에 빠진 캐시의 모습은 자못 충격적이다.
이 책은 범인을 잡는 과정보다 작은 비밀을 하나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캐시가 스스로의 양심의 무게와 자책을 이겨내기 힘들어 정신적으로 서서히 침몰해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작가 특유의 무섭거나 잔혹한 장면이 나오지 않으면서도 내면에서부터 서서히 붕괴되어가는 과정이 예리하고 섬세하게 잘 묘사되어 스릴러 특유의 긴장감이 잘 표현된 작품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