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죄 : 프로파일링 심리죄 시리즈
레이미 지음, 박소정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자주 눈에 띄는 게 중화권 소설인데 이 책 프로파일링 심리죄 역시 중국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는 웹드라마 <심리죄>의 원작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소설 자체도 독자들의 흥미를 끌만한 소재인데다 주인공인 팡무라는 캐릭터 역시 대학교에서 친했던 친구들 모두 잃고 혼자 살아남은 유일한 생존자이면서 범죄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데 있어 천재적인 솜씨를 가진 인물이라는 설정이 상당히 매력적으로 느끼게 했다.
여성들만 골라 배를 가르고 피를 마시는 엽기적인 살인사건이 벌어지고 경찰이 공개수사를 하는 가운데 범인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를 제보하는 팡무
그가 추려준 용의자의 특성을 단서로 범인을 검거하게 된 경찰은 그 이후로도 팡무와 사건을 공조하면서 사건들을 해결해나가지만 이번엔 팡무가 다니는 대학교에서 연쇄적으로 살인사건이 일어난다.
연달아 일어나는 살인사건 사이에도 희생자 사이에도 공통점이 없이 수사가 난항을 겪는 가운데 마침내 죽은 희생자의 물건 중 한 가지가 다음 살인사건의 단서가 될 뿐 아니라 모든 것이 숫자와 관련 있음을 알게 되는 팡무는 여기서 더 나아가 범인의 범행 수법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연쇄 살인마들의 범죄 수법을 모방하고 있음을 밝혀낸다.
하지만 그가 찾은 단서에도 불구하고 도대체 누가 왜 이런 일을 벌이는지 범인의 정체에 대해 좀처럼 밝혀지지 않다 느닷없이 의외의 용의자가 나타나게 된다.
그는 바로 팡무와 안면이 있는 그는 내성적인 성격 탓에 출석을 부르는 것에도 두려움을 느끼던 멍판저라는 친구였지만 기숙사 안에서 고양이를 정성스레 키우면서 언젠가부터 그런 증상이 조금씩 사라져 밝아지고 있었는데 그랬던 그가 느닷없이 팡무에게 덤벼들어 죽이려고 하다 잡히게 된다.
거기에다 멍판저의 방안에는 이제껏 일어났던 살인사건의 증거물들이 있었고 모두가 그의 범죄를 인정하지만 팡무는 그가 알고 있던 멍판저라고는 친구의 성격이 그가 프로파일링 한 이번 연쇄살인의 범인의 특성과 맞지 않는다고 느껴진다.
탁월한 재능을 가진 팡무가 범인의 정체에 대해 의심을 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범인은 마치 그에게 내기를 거는 듯 혹은 잡아보라는 식으로 도발을 하면서도 범죄행위는 치밀하고 대범해서 그가 알고 있던 멍판저의 성격과 정반대적일 뿐 아니라 왠지 범인 역시 사람의 심리에 대해 탁월한 식견을 가진 사람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우려처럼 진짜 범인이 다시 범행을 시작했다.
그것도 팡무의 죄의식을 자극하는 최악의 형태로... 더 이상 물러설 곳 없는 팡무에겐 오로지 범인을 직접 잡아 처리하는 것 이외의 방법은 없고 그와 진범과의 숨 막히는 두뇌싸움과 치열했던 마지막 전투는 긴장감을 극대화하고 있다.
범인은 왜 이런 짓을 한 걸까?
그는 왜 팡무의 주변을 맴돌았을까?
사건이 연속적으로 벌어지면서 심심할 틈이 없도록 만들고 있는 프로파일링 심리죄는 책을 읽으면서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면 더 재밌을 것이라는 걸 느꼈는데 중국에서 이 책으로 만든 드라마와 영화로 엄청난 수입을 올린 이유를 알 것 같다.
자신의 주변에서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상황을 혼자서 견뎌내야 하는 고독한 천재 팡무
역시 시리즈의 주인공다운 매력이 있는 캐릭터의 탄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