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동네 닭갈비집에 가서 식사를 했다. 숯불닭갈비라고 써 있긴 했는데, 점심에는 안 한다고 한다. 하는 수 없이 점심특선 철판닭갈비 세트를 주문했다. 강남 한복판 테헤란로 오피스 건물이 즐비한 동네인지라 점심이면 직장인들이 동시에 쏟아져 나와서 그런지, 조리는 거의 끝난 상태로 음식이 나왔고 그냥 살짝 데워 먹는 수준. 뭐 음식 맛은 나쁘지 않았지만...

점심 시간 끝물에 식당에 들어가서인지 우리 테이블까지 포함해서 네 테이블만 차 있었다. 식당 주인으로 보이는 아저씨가 금세 음식을 가지고 나왔고 불 위에서 몇 번 휘저으시면서 친근하게 말을 거신다. 그런데 내용이 좀...ㅋㅋ

요지는 최저임금에 주휴수당까지 줘야 해서 장사를 해 봐야 남는 게 없다는 거다. (그걸 갑자기 왜 나에게...) 그렇게 자꾸 임금을 올리면 차라리 장사 시간을 줄이는 게 이익이라고, 그래서 자신은 주말에도 가게 문을 열고 싶은데 열 수가 없단다. 그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일하는 사람에게도 (돈 벌 시간이 줄어드니) 손해가 아니냐고 열변을 토하신다. 내가 반응이 썩 미지근 했는지, 다른 테이블로 가서 또 같은 이야기를 쏟아내신다.(자연스럽게 정치 이야기로도 옮겨간다)

최근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대충 봐도 내가 누구 월급 줄 사장처럼 생기지는 않았을 텐데, 굳이 나에게... 그런데 생각해 보면 여기 강남 한복판에서 가게를 열어 장사를 하시려면 대충 임대료도 다른 데에 비해 어마어마하지 않을까? 가게 수입감소가 과연 최저임금, 주휴수당 때문에 감소하는 거 맞나? 임대료가 훨씬 문제일 것 같은데? 그리고 최저임금 아직 시간 당 만원도 안 되지 않나?

어차피 이 동네는 주로 직장인 장사를 하는 곳들이고, 주말이면 대부분 사무실들은 문을 닫아서 직장인들이 올 필요가 없다.(실제로 주말엔 동네가 평화롭다) 문을 열었다고 해서 놀러오는 사람들이나 동네 주민 조금 있을 텐데, 뭔가 놀려고 한다면 굳이 선릉역쪽보다는 강남역이나 삼성역 쪽을 선택하지 않나. 애초에 상권 분석을 어떻게 하고 계시는지 모르겠지만, 대충 계산을 해봐도 좀 허술하다.

문제는 그러니까 민주당이 정권을 잡으면 안되고, 이재명이 되면 안되고로 이어지는 사고회로를 돌리신다는 건데.... 아.. 이런 분들도 한 표를 갖고 있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루이스는 하나님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모든 기록을 볼 때,

그분이 우리를 꾸짖고 책망하신 적은 자주 있지만

우리를 경멸하신 적은 한 번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분은 가장 깊고 가장 비극적이며 돌이킬 수 없는 방식으로 우리를 사랑하여,

황송할 정도로 극진한 대접을 해주셨습니다.


- 캐스린 린즈쿡, 『C. S. 루이스와 기독교 세계로』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설 연휴에도 불이 꺼지지 않는 역삼동 센터필드.

다들 뭘 하느라 불을 켜 놓은 걸까..


그나저나 오늘 날씨 정말 춥다.

귀가 떨어지는 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종주의, 성차별, 사회적 불의, 경제적 불평등 따위에 대한 비난은

정전기가 튀듯 따끔하게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근심 걱정에서 벗어나기, 행복 추구, 자긍심 갖기,

일과 가족의 적절한 균형 도모 등을 위한 여타의 방법론들 또한 넘쳐난다.

그러나 너무 많이 먹고 마시는, 영화나 TV를 너무 많이 보는, 문제와 관련하여

사람들의 양심을 찌르려는 예언자가 있다면,

그는 아마 조만간 강단을 내려와야 할지도 모른다.


- 제라드 리드, 『C. S. 루이스를 통해 본 일곱가지 치명적인 죄악과 도덕』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사는 세상은 정말 비이성적인 행동으로 가득한 곳이었다.

우리는 그 가난한 살림에서 지출을 늘려나간다.

거대한 텔레비전과 아이패드를 산다.

이자가 센 신용카드나 고리대금을 얻어서 자식들에게 좋은 옷을 입힌다.

필요하지도 않은 집을 매매하고

그걸로 재융자를 받아 소비를 더욱 늘리다가

결국 쓰레기로 가득찬 집을 떠나며 파산 선고를 받기에 이른다.


- J. D. 밴스, 『힐빌리의 노래』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