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에 남겨진 동물들 - 죽음의 땅 일본원전사고 20킬로미터 이내의 기록
오오타 야스스케 지음, 하상련 옮김 / 책공장더불어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큰 쓰나미 피해를 입은 후쿠시마 지역.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그 지역에 있었던 핵발전소가 파괴되면서 엄청난 양의 방사능이 누출되었고, 인근 주민들은 모두 이주되었다.

     하지만 사람은 어찌 피했는지 모르나, 그 곳에 살던 수많은 동물들은 별다른 조치도 없이 그대로 남겨지고 말았다. 이 책의 저자는 그 지역의 동물들이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자원봉사들과 함께 버려진 가축들과 반려동물들에게 먹이를 공급하고 구조하는 일을 하며, 그들의 사진을 찍어 블로그에 올리기 시작했다. 이 책은 그 사진들을 중심으로 엮은 에세이다.

 

 

 

2. 감상평 。。。。。。。

     표지에 실려 있는 고양이 두 마리의 표정 때문에 도서관 서가에서 꺼내들었다. 바로 앞에 놓인 고양이 먹이 캔에 입을 가까이 대면서도 눈은 카메라를 들고 있는 작가를 경계하듯 바라보는 모습이, 이 즈음 그 지역에 남은 동물들의 심정을 잘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 반려견, 반려묘로 살아왔기에 스스로 먹이활동을 하는 것이 어려워져 (사실 지역 전체가 폐허가 되다보니 나가도 별다른 것을 찾기 어렵다) 굶주리는 녀석들은 누군가의 도움이 간절히 필요하지만, 또한 인간에 대한 두려움을 품고 있다.

     집에 살던 가족 모두가 떠난 지 오래 되었지만 여전히 집을 지키며 굶주림과 싸우고 있는 반려견들, 축사에 갇혀 동료의 시체들 사이에서 버텨내고 있는 소와 돼지, 말들.. 굶주림으로 인한 영양실조와 각종 질명들은 방치된 채 폐허가 된 거리와 마을들 사이를 떠돌고 있는 녀석들을 괴롭힌다.

     책은 주로 사진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 장 한 장에 오랫동안 눈이 머문다. 오랫동안 사람의 돌봄을 받지 못했는데도, 지나가는 자원봉사자들을 보면 반갑게 꼬리를 흔들고 눈을 돌리지 못하는 강아지의 사진을 보고 어떻게 그냥 넘어갈 수 있을까. 온몸에 상처가 나면서도 야생화된 개들의 침입으로부터 집을 지켜내는 녀석은 마음을 아프게 만든다. 비쩍 마른 고양이들은 또 어떻고... 목이 말라 물을 찾다가 농수로에 빠져서 나오지 못하고 죽어버린 젖소들의 이야기는 비참하기까지 하다.

 

     바울은 로마서에서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다고 말한다. 그 원인은 결국 사람의 죄다. 사람 때문에 온 자연과 동물과 식물들이 고통당하고 있는 세상, 우리는 이 구절의 실제 예를 후쿠시마에서, 서울에서, 인간들이 살고 있는 곳 어디에서라도 쉽게 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각종 동물성 전염병을 이유로 멀쩡한 가축들까지도 대량으로 살육하는 일이 거의 매해 일어나고 있다. 물론 다들 매뉴얼에 따라서, 또 사정이 있는 것은 안다. 하지만 그런 식의 대량살육이, 그것을 일선에서 담당하는 사람들과 그 소식을 반복적으로 듣는 사람들에게-그들의 마음과 성품에-정말 아무런 영향도 주지 않는 걸까?


      어쩌면 동물을 대상으로 한 이런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학대가 점점 서로를 대하는 사람들의 심성마저 망가뜨리고 메마르게 만들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C. S. 루이스는 동물에 대한 잔혹 행위를 정당화하는 가운데, 우리는 우리 자신도 동물의 수준으로 내려놓고 있다고 말한다. 정말로 그렇지 않은가.


댓글(6)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캐모마일 2017-04-01 01: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 나라의 위대함과 도덕적 진보는 그 나라에서 동물이 받는 대우로 가늠할 수 있다. 간디의 명언이라고 합니다. 예전에 다른 회원님의 서재에서 만난 책이었는데, 다시 봐도 마음이 짠한 책이네요.

노란가방 2017-04-01 17:28   좋아요 0 | URL
네 마음이 참.... 안타까운 책이에요.

2017-04-01 19: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02 19: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4-02 19: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5-02 19:2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