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레이브
존 맥아더 지음, 박주성 옮김 / 국제제자훈련원(DMI.디엠출판유통)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요약      

 

     저자는 오늘날 많은 성경(영역본)들이 그리스도와 그분을 따르는 사람들 사이를 규정짓는 ‘노예’(그리스어로는 ‘둘로스’)라는 단어를 잘못 번역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원래 이 단어는 slave로 번역하는 것이 옳지만, 많은 번역가들이 servant(종)로 번역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원래 성경의 저자들이 표현하고자 했던 내용이 약화되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책의 전반부는 그리스도인들의 ‘그리스도의 노예됨’에 관해 성경적인 근거를 살피면서 강한 어조로 강조한다. 또 이것이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어떤 실제적인 적용점을 주는지를 차분하게 살핀다. 후반부에서는 그리스도의 노예가 어떻게 하나님의 자녀로 전환되는지에 좀 더 힘을 준다.

 

 

2. 감상평    

 

     책의 목표는 비교적 명확하고, 그 대상은 한 지점에 맞춰져 있다. 교회에서 선언하는 ‘당신은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라는 말만 기억한 채 그리스도에 대한 어떤 헌신도 원하지 않고 자신만을 위해 살아가는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이 바로 그들. 이들에게 있어서 하나님, 혹은 예수님은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분으로 전락하고, 자기 삶의 주인은 철저하게 자기 자신으로 여겨진다. 책은 그런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거짓된 자의식을 매우 직접적으로 공격하며 깨뜨리는 데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 책을 읽는 중에 떠오른 질문 하나.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의 노예라는 것은 실제적인 상태와 지위를 가리키는 진술인가 아니면 상징적인 표현인가. 책의 전반부는 강경한 어조로 이 설명이 우리의 실제 지위에 관한 설명인 것처럼 강조하지만, 후반부로 넘어가면서 부터는 다시 ‘아들 됨’으로 강조점이 옮겨진다. 어떤 사람이 주인의 아들인 동시에 노예일 수 있는가? 책 안에서도 노예가 주인에게 입양되는 즉시 그의 이전 신분은 삭제된다는 표현이 등장한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은 어디쯤 서 있는 걸까? 저자는 이를 성경이 담고 있는 역설(13장)이라는 개념으로 돌파를 하려 하지만 그게 정말 유효한 방식일까.

 

     사실 성경은 매우 다양한 표현으로 그리스도인들의 상태를 서술하고 있다. 각각의 표현들은 저마다 진리의 한 모습들을 담고 있고. 물론 그 중에서 한 상태, 지위에 관한 설명을 강조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그게 나머지 모두를 삼켜버리면 미처 예기치 못했던 난점이 나타날 수도 있다. 

 

 

     요컨대 성경에서 그리스도인들을 하나님의 노예라고 표현하는 것들은 그분에 전적인 ‘주되심’을 강조하려는 의도다. 이 책에서 자세히 풀어 놓고 있는 내용들은 이런 차원에서 성경의 진리를 잘 강조하고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바로 이 부분이 문제라고 하는 건 과한 부분도 있다. 물론 앞에서 내가 언급했던 사람들에겐 꼭 필요한 메시지이겠지만.(아, 이런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고 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편한 기독교’를 믿으면서 안심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과연 이 책을 추천한다고 해서 손에 들 지는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