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부모의 탄생 - 공동체를 해치는 독이 든 사랑
김현수 지음 / 우리학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잇따라 학부모들의 괴롭힘으로 목숨을 끊은 교사들의 이야기가 보도되면서 관련 문제의 심각성을 조금은 알게 되었다. 누구보다 나서는 걸 부담스러워하는 교사들마저 가만히 있을 수 없어 일어섰고, 초유의 대규모 교사 시위까지 벌어졌다. 처음엔 늘 하던 대로 협박과 위협으로 대충 넘기려던 정부도 결국 교사들을 일단 진정시키자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 애초부터 이런 데 익숙하지 않았던 교사들의 시위도 더 이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일단 급한 불만 끄자는 식이었던 정부의 대처는 이후에도 변변한 게 없었고, 최근에는 애초의 도화선이 되었던 한 초등학교 교사의 죽음과 관련된 학부모에게 무죄가 선고되었다는 소식도 들린다. 몇 가지 조치들이 시행되긴 했지만, 여전히 교사에 대한 학부모 괴롭힘의 문제는 그대로인 것 같다.




그런데 이런 문제가 비단 우리나라에서만 있는 건 아닌가 보다. 우리와 문화적으로 가까운 일본이나 홍콩 등지에도 비슷한 문제들이 있었고, 일본에서는 그런 학부모들을 가리켜 ‘괴물 부모’라는 직설적으로 표현하는 네이밍 센스를 보여주었다.


이 책은 정신과 전문의가 그런 일본과 홍콩 등의 실태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괴물 부모의 특징과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그리고 그것이 자녀들에게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문제 해결을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략 짐작할 수 있지만, 괴물 부모가 되는 건 단지 개인적 차원의 요인만 작용하는 건 아니다. 책에서는 독박육아와 그로 인한 스트레스, 부담감 등이 아이에 대한 과도한 애착관계로 변질되어 나타났다고 진단한다. 그 근저에는 자기 증오와 자기 연민이라는 양가적 감정이 깔려 있어 문제는 좀 더 복잡해진다.


괴물 부모는 단지 교사들만 괴롭히는 게 아니다. 과잉보호, 과잉 간섭, 과잉 통제 아래서 자란 아이들에게는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들은 상처받기 쉬운, 그리고 부모가 결정해 주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능력한 인간이 되거나, 부모에 대한 강한 원망을 품기도 한다.


그리고 당연히 괴물 부모는 자식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교사를 괴롭힌다. 별 시답지 않은 꼬투리로 자신과 같은 또 다른 새끼 괴물 부모들을 결집해 담임교사를 몰아내려 하거나, 학교 현장에 분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자신의 힘을 확인하려는 병적 욕구를 드러내거나 하는 모습은 글로만 읽어도 끔찍하다.




결론부에서 저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대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문제를 단순히 교사 개인이 입는 피해 정도로 생각하지 말고, 사회적 고발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임을 부각시켜야 한다는 것. 일본의 경우 이 주제로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해서 많은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켰다고 하는데, 얼마 전 넷플릭스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더 글로리”라는 드라마가 학교폭력에 대한 경계심과 대책마련의 여론을 불러온 것과 비슷한 모양이었나 보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애초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개선하는 일이 필수다. 그런데 이 괴물 부모의 문제의 배경에는 산업화 이후의 우리 역사와 문화가 전반적으로 개입되어 있는지라 더 풀기 어려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일이라는 건 당장 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해야 하는 거고, 교사들의 희생을 더 이상 우리 사회가 그냥 넘겨서는 안 되는 상황이기도 하니까.


전형적인 저개발국가의 공통점 중 하나는 교사나 경찰 같은 사회밀착형 공무원들의 처우가 굉장히 낮다는 점이다. 이미 우리 사회에서도 교사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고, 일부 교대의 경우 미달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은 기초교육의 질을 더욱 떨어뜨리고, 다시 교육에 대한 불신을 높여 상황을 악화시키기만 할 것이다. 이제 어서 좀 본격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텐데... 지금까지 하는 걸 보면 이 정부에서는 별 기대가 되지 않는다는 게 문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