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다
파울로 프레이리 외 지음, 프락시스 옮김 / 아침이슬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페다고지』로 유명한 브라질의 교육학자 파울루 프레이리와 1930년대 “하이랜더” 성인교육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던 마일스 호튼의 대화집이다. 두 사람 모두 교육과 관련된 일로 유명한 인물인지라 자연스럽게 대화의 주제는 교육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만, 자연스럽게 그들의 성장기라든지 하는 개인적인 일화도 등장한다.


프레이리에 대해서는 그가 쓴 책을 앞서 몇 권 읽어본 적이 있는지라 대략적으로 알고 있다고 생각했었는데, 호튼에 대해서는 이 책을 읽으며 처음 알게 된 내용이 많았다(여전히 내 지식은 얕다). 그가 시작했던 “하이랜더”는 흑인들의 문해교육을 하기 위해 시작한 학교 밖 교실이었다.


당시 미국 테네시주는 투표권자 등록을 위해 글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요구했는데, 이 때문에 많은 수의 흑인들과 노동자들은 투표에 참여할 수 없었다. 호튼과 그의 동료들은 이들에게 글을 가르치기 위한 교실을 열었는데, 이 때 그 교육의 이념은 철저하게 교육을 받는 사람을 중심으로 세워져 있었다. 전문가가 나서서 무엇인가를 가르치려고 하는 대신, 배우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배워야 할 필요를 느끼도록 하고, 그들의 요구에 따라 자연스럽게 함께 학습해 나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점에서 프레이리와 통하는 면이 있는 것 같다. 프레이리 역시 체제를 강화하기만 하는 공교육의 방식과 내용에 반대하며 조금은 다른 방식의 교육을 꿈꾸던 사람이었으니까. 예컨대 프레이리는 “공부란 사랑과 비슷하다”고 말하면서, 정해진 수업 시간표에 따라서 학습을 요구받는 행위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사랑에는 시간표가 있을 수 없”으니까(58).




가르치는 사람이 전문가의 권위를 덧입은 채, 일방적으로 무엇인가를 주입하려는 모습은 오늘날에도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와 학원, 심지어 교회 안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발견되지 않던가. 하지만 우리는 대단이 있느냐며, 현재의 방식을 그냥 되풀이할 뿐이다.


물론 여기엔 현재 권력을 누리고 있는 사람들의 권력과 권위를 유지하려는 심리도 있을 것이다. 내가 어떻게 해서 교수가 되었는데, 내가 어떻게 해서 이런 저런 전문가가 되었는데 하는 식의. 문제는 이런 식의 테크노크라시가 지나치게 확산되면서, 너무나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일을 소수의 몇몇 기술관료들이 멋대로 결정하는 일이 벌어지곤 한다는 점이다. 요컨대 각종 세금이 줄줄 새는 건 소수의 사람들이 자기들끼리 큰 이권이 걸린 일들을 결정해 버리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공론화라는 작업이 좀 더 관심을 받고 있는 것 같다. 단순한 여론 조사와 달리 조금 더 깊이 사람들의 의견을 물어 일을 결정하겠다는 건데, 여기에도 반발이 적지 않다. 재판 과정에 일반인들이 배심원으로 참여하는 일을 우리나라 법조계에서는 여전히 극렬하게 반대한다. 지난 정부 때 원자력발전소를 계속 지을 것인가 하는 문제를 두고 일반 시민들을 모아 공론화 위원회를 만들어 의사를 물었던 적이 있었다. 이에 대해서도 자칭 원자력 전문가들이 나서서 그 사람들이 복잡한 원자력 발전의 개념에 대해 뭘 안다고 결정을 하느냐는 식으로 꼰대짓을 했었다. 정작 그 일로 영향을 받는 건 그 “아는 게 없는 수많은 보통 사람들”인데도.




호튼과 프레이리가 제안하는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분명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표준적인 교육과정을 만들어 평균적인 수준의 지식 주입으로 필요한 노동자를 양산하겠다는 산업화 시대의 교육모델과는 크게 다르다. 노조운동이니, 시민운동이니 하는 반발은 산업발전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긴 독재적 정권에게도 눈엣가시였을 게 분명하고.


하지만 이미 정보화사회로 넘어가고, 인공지능이 사람이 하던 수많은 일들을 대신하게 될 미래가 코앞에 다가와 있는 지금, 여전히 그런 과거의 교육 패러다임에만 매몰되어 있는 건 분명 문제가 아닐까. 어쩌면 이 시대에는 스스로 배울거리를 찾아나서고, 탐구하는, 진정한 공부가 무엇인지 알게 해주어야 한다는 이 두 사람의 주장이 더욱 적합할 지도 모르겠다.


이미 이곳저곳에서 공교육이 흔들리고 무너지고 있다는 뉴스들이 들려온 지 오래다. 이제 한계가 보이기 시작한 상황이란 말인데, 우리는 좀 새로운 길로 나아갈 준비가 되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