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주의들과 지평들 - 다양성의 시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공공철학
리처드 마우.산더 흐리피운 지음, 신국원 옮김 / IVP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사회를 특징짓는 사상 가운데 하나가 다원주의다. 근대 이전 사회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절대적인 권위가 주장되던 시대였다. 왕과 황제들의 통치가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들도 만들어졌다. 서양에서는 기독교가 여기에 중요한 기여를 했고, 동양 각국에서는 유학(교)과 불교가 그 주된 도구였다.


하지만 군주제가 무너지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변형되었던 사상적 기초들의 절대성 주장도 함께 무너지고 말았다. 정치제도만이 아니라 사상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무엇은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여겨졌고, 이는 언뜻 모두가 공평하게 자기주장을 하는 민주적인 사상처럼 보이기도 했다.


여기에서 기독교는 큰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기독교는 본래 예수 그리스도의 유일성과 절대성을 주장하던 종교가 아니던가. 중세 기간 이 유일성의 독점성을 왕과 황제들에게 빌려준 결과였다. 뭐든 절대성을 주장하는 걸 혐오하는 다원주의 사회에서, 기독교는 독선과 오만한 주장을 펼치는 종교, 사상으로 보일 지경이 되었다.





이 책의 문제의식은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기독교는 이런 다원주의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인가, 수용한다면 어느 정도, 어떤 모습으로 수용할 수 있을까. 두 명의 저자들은 다원주의가 무엇인지부터, 그것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다원주의를 분류/분석하고, 기독교인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종류의 다원주의의 모습은 무엇인지를 제안한다.


저자들이 지적하는 다원주의의 근본적인 한계는 한 마디로 말해 “빈 성소는 비워둔 채로 놓을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성소란 최종적인 권위를 가리키는 비유인데, 다원주의는 그 정의상 성소를 인정하지 않는 사상체계이지만, 바로 이 주장, 그러니까 어떤 것도 절대적인 권위를 주장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의 타당성(권위)는 어디에서 나온단 말인가.


그뿐 아니다. 실제적인 차원에서도 다원주의는 홀로 설 수 없다. 모두가 자기의 옳음을 주장하는 사회를 어떻게 하나로 묶어 서로 협력하고 도울 수 있도록 만들 수 있겠는가. 때문에 기독교를 제거하려고 했던 루소 같은 인물조차 “공동체 축제”라는, 마치 예배와도 비슷한 의식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책을 읽으며 얻은 특별한 통찰 중 하나는 다원주의에 대한 분류이다. 저자들은 서술적 다원주의(어떤 현상이 있다)와 규범적 다원주의(어떤 방식을 따라야 한다)를 구분한 뒤, 다시 세 종류의 다원주의(방향적, 연합적, 맥락적)를 나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서로 결합하면 모두 여섯 가지의 다원주의 항목이 나온다.


저자들은 이 중에서 규범적인 방향적 다원주의를 가장 경계한다. 정의상 그것은 우리가 반드시 따라야 할(규범적인), 바람직한 전망으로서의(방향성) 다원주의다. 이런 종류의 다원주의는 우리를 궁극적인 상대주의로 몰아가고 말 것이기 때문이고, 그건 기독교에 대한 헌신을 하고자 하는 그리스도인의 삶과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종류의 다원주의를 반대해야 할까? 저자들은 맥락적 다원주의에 대해서는 좀 더 유화적인, 아니 좀 더 적극적인 수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창조 상태의 본래적인 특징이기 때문이다. 또, 연합적 다원성 역시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다. 기독교는 하나의 몸이 많은 지체로 구성되어 있다는(물론 이 구절은 일차적으로 교회를 가리킨다) 독특한 연합성에 대한 가치를 일찍부터 인정해 온 종교이기 때문이다.


기독교는 공적 영역에서 독선적이고 독단적일 필요가 없다. 물론 결국 어느 단계에서는 그리스도의 유일성을 포기하라는 압박에 대항해 자신의 믿음을 고수해야 할 때가 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외의 영역에서 우리는 겸손한 모습으로 하나님 나라가 최종적으로 완성될 때까지 감사와 인내로 기다려야 한다는 걸 잊으면 안 된다.



철학과 신학이 교차하면서 꽤나 깊이 주제를 연구해 나가는 책이어서, 읽는 게 쉽지만은 않았다. 다양한 종류의 다원주의가 존재한다는 것과 그것들을 정교하게 분리해 이해하는 것이 문제를 제대로 접근하는 방식일 수 있다는 점이 깊이 와 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