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신학 - 역사와 정치와 구원
구스타보 구티에레즈 지음, 성염 옮김 / 분도출판사 / 197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방신학이란 남미를 중심으로 정립된 일종의 과감한 사회참여의 신학이다. 20세기 중반 남미는 극심한 부패에 시달리고 있었고(오늘날에도 크게 개선되지는 않은 것 같지만) 그 결과 엄청난 빈부의 격차가 발생하고 사회 정의가 무너지면서 힘없고 가난한 사람들이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이런 상황을 그냥 지나치는 것이 과연 교회의 신앙에 적합한가를 두고 많은 도전들이 있었고,(사실 정확히 말하면 교회는 기득권층과 결탁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결국 문제를 그냥 지나치지 않기로 결심한 이들이 나섰고, 당연히 이들의 활동에는 강한 정치적 행동이 포함되어 있었다.


해방신학은 그렇게 처음부터 실천적인 차원이 먼저였다. 하지만 어떤 운동이 계속 유지되려면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는 법, 1973년에 처음 나온 이 책(우리나라엔 1977년에 첫 번역본이 나왔다)은 당시 남미 가톨릭교회 주도의 해방신학의 창시자인 구스타보 구티에레즈가 이 새로운 운동의 신학적 근거를 정립하기 위해 쓴 책이다.





책의 1부에서는 신학의 역할이 무엇인지, 그리고 해방과 개발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정립한다. 흥미로운 건 흔히 신학에서 주요 주제로 다뤄지지 않는 ‘개발’이라는 것이 일찌감치 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그 시절 개발 중심의 사회정책이 어떻게 실패했는지를 지적하면서, 그에 대한 좀 더 확장된 개념인 ‘해방’을 신학의 주요한 주제로 제기한다.


2부에서는 성과 속에 대한 전통적인 구분과 분리가 어떻게 교회의 바른 신학적 행동에 문제를 가져왔는지를 지적하면서 이원론을 극복해야 함을 호소하고, 3부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상황에 대한 분석이 이어진다.


4부는 전통적인 신학적 용어로 해방신학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구원론, 종말론, 역사신학 등의 분과에서 해방신학의 정당성을 주장한다. 내용상으로는 이 부분이 가장 길다.





교회의 사회 참여는 어느 정도, 어느 강도로 가능할까. 오늘날 대부분의 세속국가에서는 정교분리를 기본적인 원칙으로 삼고 있지만, 이 말이 교회가 사회의 다양한 논의와 문제 해결과정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는 금지규정은 아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교회가 사회적 목소리를 내는 데 주저하는 듯하다.


물론 그 이유를 전혀 추측할 수 없는 건 아니다. 복잡한 사회문제는 필연적으로 어느 한 쪽이 무조건 옳고 다른 쪽은 틀리는 식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이 과정에서 어느 편에 서느냐는 (좁은 의미의) 정치적인 문제로 비워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교회를 정쟁의 한 가운데로 끌고 들어가는 일이 될 수도 있다. 그 결과 교회는 매우 누그러진, 그래서 누구에게도 별 도전이 되지 않는 좋은 이야기만 하는, 그래서 아무도 귀 기울일 필요를 느끼지 못하는 기관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과연 교회는 충돌이나 비난이 두려워서, 정쟁에 끌려들어가기 싫어서 이 문제를 지금처럼 둬도 괜찮을까? 보수적인 교단에서는 가톨릭에서 시작된, 그리고 지나치게 “좌파적인” 이 신학에 대해 심한 경계를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수십, 수백 억짜리 건물을 화려하게 꾸며놓은 강당을 채우는 게 교회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인지는 곱씹어 볼 일이다.


예수님은 가난한 이들의 가장 기초적인 필요를 모른 체 하지 않으셨다. 당시 성전을 누구보다 화려하게 꾸미려고 했던 인물은 헤롯이었고, 대제사장들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예수님을 죽이려고 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흥미로운 부분이다. 자신의 성전을 세우려는 이들은 하나님의 성전이신 그분을 무너뜨리려고 했다.



전반적인 신학적 전개에는 크게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다만 만인구원론을 주장하는 부분은 견해를 달리 하는데, 이 주장이 저자가 세워가고 있는 해방신학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벽돌인지는 조금 의심스럽다.


물론 저자가 이 책을 쓴 1970년대 라틴 아메리카의 상황과 오늘 우리의 상황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교회가 기득권과 한 패가 되어 있다는 비판이 존재하는 우리의 상황에서,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게 할 수 있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