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이 무슨 소용이냐고 묻는 이들에게 - 지혜, 안녕, 경이의 탐구와 신학의 쓸모에 관하여
알리스터 맥그래스 지음, 이은진 옮김 / 포이에마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신학’하면 떠올리는 전형적인 비판적 시각이 있다. 하나는 원래 기독교는 단순하고 순수한 신앙이었는데 신학이 이를 괜히 복잡하고 어렵게만 만들었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런 신학 작업이 정작 하는 일이란 실제 신앙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그들만의 학문이나 토론주제에 불과하다는 생각이다.


이 중 두 번째 비판은 중세에 전성기를 맞이했던 스콜라 철학/신학(당시에는 철학과 신학이 크게 구분되지 않았다)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바늘 끝 위에 천사가 몇 명이나 올라갈 수 있을 지를 두고 벌어진 의미 없는 논쟁이 그 대표적인데(사실 이 논쟁은 겉보기와 달리 중요한 철학적 주제를 다루고 있긴 하지만), 확실히 신학계 일부에서 벌어지는 다툼은 더 좋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것과는 전혀 상관없는 내용이기도 하니, 여전히 이 비판은 유효한 면이 있다고도 하겠다.


그러나 이 비판은 신학 자체가 쓸모없음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 신학이 잘못된 방식으로 그 작업을 하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라고 봐야 한다. 보다 근본적인 신학 자체에 대한 비판은 첫 번째 쪽일 텐데,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심지어 그리스도인들조차도) 이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것 같다.


이 책의 저자인 맥그라스는 신학이 (신앙생활에, 또는 오늘날 사람들의 삶에) 무슨 소용이냐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책은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뉘는데, 전반부는 좀 더 큰 그림을, 후반부는 좀 더 구체적인 이유들을 제시하는 데 사용된다.





저자는 신학을, 성경 본문에 관한 연구와 해석들이 모여 만들어진 오래된 기독교 전통으로 본다. 신학에는 교회가 보존해 온 풍성하고 귀중한 유산이 담겨 있다. 그걸 무시하는 사람은 바로 이 유산을 버리고 새 집을 지으려는 사람과 같다. 신학은 과거와 오늘을 이어주는 다리 역할을 하고, 복음이 변하지 않도록 지켜주는 울타리이기도 하다.


사실 초기 기독교의 역사는 신학 발전의 역사이기도 했으니 저자의 이 말은 크게 틀리지 않는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무시하는 바로 그 신학(정통 신학)을 지켜내기 위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했는지를 생각해 보면(뭐든 뒤집어엎는 걸 좋아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에는 그 시절 이단들에게만 피해자 서사를 입히기를 즐겨하지만, 실제 역사와는 좀 다르다), 오늘날의 상황이 살짝 민망할 정도다.


21세기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은 성경에서 바로 튀어나온 게 아니라, 2천 년을 버텨온(여기에는 바른 신학이 그 뼈대가 되었다) 동안의 신앙 공동체의 유산을 받아 일어난 후계자들이다. 내가 누구인지는, 그냥 내가 선언하기에 따라 결정되는 게 아니라 내가 어떤 유산과 역사를 이어 받았는지로 결정되는 법이다.


저자는 또한 신학이 온통 흩어지고 조각나 있는 세상에 대한 큰 그림을 그려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신학은 성경을 좀 더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창을 제공하기도 하고, 이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지도가 되기도 한다.


이렇게 큰 그림을 그린 후, 책의 2부에서는 지혜와 안녕, 경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신학이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어떤 유익을 주는지를 아름답게 서술한다. 개인적으로는 이 중에서도 세 번째 주제인 ‘경이’ 부분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신학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와 우리가 공부해 가는 그분이 얼마나 크신지를 깨닫게 함으로써, 더 멀리까지 바라보도록 우리를 이끈다. 인생의 목표를 제시해주는 것이다!






책 말미에서 저자는, 그러므로 모두가 신학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대신, 한 발 더 나아가 이미 우리 모두가 신학자라고 선언한다. 이 책에서 저자가 말한 신학의 필요성, 신앙생활에서의 신학의 가치 등을 두루 고려해 보면, 이미 우리는 신앙생활을 함으로써 어떤 식으로든 신학 작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의미다.


신앙생활을 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신학과 만나야 한다. 신학의 도움을 받아 성경을 읽고 해석하며, 나아가 적용을 한다. 문제는 많은 사람들이 그런 신학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이뿐이 아닌데, 우선 실천적 차원에서는 교회에서 그 공동체의 구성원들에게 제대로 신학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이나 자리가 부족하다.(개별 교회가 그런 교육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얼마나 가지고 있을지 모르겠다) 또, 학문적 차원에서는 너무나 분산되어 있는 현대 신학계에서 도대체 무엇을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하는지 엄두가 나지 않기도 하다.


또, 신학이 교리와 동일시되는 오해도 조심해야 할 부분이지 않나 싶다. 물론 어떤 교리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결사적으로 지켜야 하지만, 또 다른 교리들 중에는 견해의 차이, 또는 현재 상황에서는 추측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것들도 있으니까.


이런 복잡한 상황 속에서도 우리는 여전히 신학을 공부해야 한다. 이미 좋은 개론서나 입문서들이 많이 나와 있으니 그것부터 시작해 볼 일이다. 부디 그 안에서 경이로움을 발견하고, 더 깊은 신앙생활로 나아가는 이들이 많아지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